[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고율 관세를 피하기 위해, 중국 기업들이 자국 제품을 동남아시아를 경유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무역 통계 자료에 따르면 5월 중국의 대미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중국의 전체 수출은 4.8% 증가했다.
![]() |
수출입 컨테이너 [사진=블룸버그] |
대미 수출 감소분을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유럽연합(EU) 수출 증가로 상쇄한 것이다. 중국의 아세안 수출은 15%, EU 수출은 12% 각각 늘었다.
최근 베트남과 무역합의에서 미국은 베트남을 경유하는 제3국 환적 상품에 대해 40%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는데, 이는 중국산 우회 수출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실제로 컨설팅업체 캐피털이코노믹스의 분석에 따르면 지난 5월 한 달 동안 약 34억 달러(약 4조 6407억 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이 베트남을 거쳐 미국으로 우회 수출됐으며, 이는 전년 동월보다 30% 증가한 수치다.
인도네시아를 통한 우회 수출도 같은 기간 8억 달러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다.
인도의 경우에는 애플이 이르면 내년부터 미국 판매용 아이폰을 전량 인도에서 조립하기로 결정하면서, 5월 대미 수출이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동시에 인도의 중국·홍콩발 수입도 22.4% 증가해, 글로벌 공급망이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동 지역에서도 변화가 뚜렷하다. 아랍에미리트(UAE)의 5월 대중국 수입은 전년 대비 11억 달러(20%) 증가했다. 스마트폰·노트북 수입이 가장 많았다.
유럽에서도 중국발 수출물량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미국이 800달러 미만 소액 물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던 '소액면세제도(de minimis)'를 폐지하자, 중국에서 미국으로 향하던 저가 상품 물량이 크게 감소한 반면, 유럽으로는 급증했다.
이에 EU도 자체 소액면세제도를 폐지하고, 소포 1건 당 2유로의 물류 처리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