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기 "법이 정한 절차와 방식으로 수사"
임성근 전 사단장 소환한 채해병 특검
'국무회의' 집중 조사 나선 내란특검팀
[서울=뉴스핌] 백승은 이현구 홍석희 김영은 기자 = 3대 특별검사(특검)팀이 수사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앞으로 3대 특검은 준비기간을 포함해 최장 140~170일간 조사에 착수한다.
2일 김건희와 채해병(순직해병) 특검팀은 같은 날 현판식을 하고 수사를 개시했다. 또 내란특검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소환해 조사를 진행했다.
김건희 특검팀은 ▲도이치모터스·삼부토건 등 주가조작 연루 의혹 ▲코바나컨텐츠 협찬 관련 뇌물 수수 의혹 ▲코바나컨텐츠 협찬 관련 뇌물 수수 의혹 등 총 16개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수사 대상에는 특검법에 따라 '수사 과정에서 인지한 범죄 행위'와 '특검 수사 방해 일체 행위' 등도 포함된다. 현재 검찰청, 국가수사본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으로부터 관련 사건을 모두 이첩받았다.
민중기 특검은 이날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웨스트 빌딩 2층에서 진행한 현판식에서 "모든 수사는 법이 정한 절차와 방식에 따라 이뤄질 것이다"라며 "지나치거나 기울어지지 않게 진행하겠다"라고 강조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최지환 기자 = 해병대원 순직 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왼쪽)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의혹 관련 사건을 맡은 민중기 특별검사가 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초한샘빌딩·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서 현판식을 하고 있다. 2025.07.02 yym58@newspim.com, choipix16@newspim.com |
이날 해병대원 순직 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채해병 특검팀도 서울 서초구 서초한샘빌딩에서 현판식을 가졌다. 이명현 특검은 "철저하게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채해병 특검팀은 총 4개 팀으로 구성된다. 1팀은 고 채해병 사망 사건을, 2팀이 임 전 사단장 등의 구명로비 의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호주대사 임명 과정 불법행위 의혹을 담당한다. 3팀은 채해병 사망 사건에 대한 대통령실의 은폐 및 외압 의혹을, 4팀은 박정훈 대령 '항명 사건' 재판의 공소유지를 맡는다.
수사 개시와 동시에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을 소환했다. 임 전 사단장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집중적으로 조사하되, 구명로비 의혹 등에 대해서도 조사할 계획이다.
같은 날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 중인 내란특검팀은 한 전 총리와 안 장관을 소환해 조사했다.
한 전 총리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묵인·방조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날 내란특검팀은 비상계엄 선포 전 열린 국무회의와 이후 상황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이날 오전 서울고검 청사에 모습을 드러낸 한 전 총리와 안 장관은 취재진의 질문에 어떤 대답도 하지 않고 청사로 들어갔다.
한 전 총리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 전 총리는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기 전 대통령 집무실에 들어가 "다른 국무위원들도 불러서 이야기를 더 들어봐야 하지 않겠냐고 대통령을 설득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일각에선 국무회의 정족수를 채워 비상계엄 선포 요건을 갖추려 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내란 특검팀은 오는 5일 오전 9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2차 소환조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이날 특검팀 출석 요구에 응할 예정이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팀의 전날 소환조사 통보에 불응했고, 5일 오전 9시로 재통보를 받자 출석 시간을 1시간 미뤄달라고 요청했으나 특검팀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특검팀 윤 전 대통령이 5일 조사에 재차 불응할 시 체포영장을 재청구하겠다는 입장이다.
서보학 경희대 로스쿨 교수는 "(윤 전 대통령이) 수사에 협조하더라도 1~2회 수사한 뒤 특검은 구속영장 청구 수순으로 돌입할 가능성이 높다. 다음주 쯤 특검이 영장을 청구할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서 교수는 "특검이 출범한 1차적 목적이 윤 전 대통령 체포라는 시각도 있다"라며 "(출석한다 해도) 관련 혐의에 대해 자백을 하지 않고 다른 이야기를 할 가능성이 높아 (체포를 통한) 압수수색을 통해 증거를 확보하려는시도도 계속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한덕수 전 국무총리. [사진=뉴스핌DB] |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