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부동산 건설

속보

더보기

'지난해 최대실적' 두산건설, 올해 1Q 매출·영업이익 '삐걱'

기사입력 : 2025년05월15일 17:40

최종수정 : 2025년05월15일 17:40

매출 4247억·영업익 82억…전년 동기 대비 감소
수주잔고 9.4조원 유지…부채비율은 소폭 상승
"대형 프로젝트 준공 기저 효과…차후 실적 개선"

[서울=뉴스핌] 송현도 기자 = 지난해 최대 경영 실적을 달성했던 두산건설이 올해 1분기 매출·영업이익에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한 실적을 보였다. 다만 두산건설 측은 이같은 결과에 대해 지난해 대형 프로젝트 준공 이후 기저 효과로 감소한 것이라며 차후 사업이 본격 가동과 함께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두산건설 CI. [자료=두산건설]

1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두산건설은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4248억원, 영업이익 82억원을 기록했다.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당기순이익은 2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및 직전 분기(2024년 4분기)와 비교해 전반적으로 감소한 수치다.

2025년 1분기 매출액은 4247억7600만원으로, 전년 동기(2024년 1분기) 4964억 280만원 대비 약 14.4%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2억4300만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262억4900만원에 비해 68.7% 줄었다.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당기순이익 역시 29억 400만원으로 전년 동기 128억3600만원보다 77.3% 감소하며 수익성이 악화된 모습을 보였다.

직전 분기인 2024년 4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2024년 연간 매출액(2조1753억원)의 분기 평균치(약 5438억원)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영업이익 또한 2024년 연간 영업이익(1081억원)의 분기 평균치(약 270억원)에 크게 못 미쳤다. 연간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2025년 1분기 실적은 다소 부진한 출발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두산건설은 2024년 매출 2조1753억원, 영업이익 1081억원, 당기순이익 198억원을 기록하며 10년 만에 최대 경영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두산건설의 2025년 1분기 말 연결 기준 부채총계는 1조4539억원, 자본총계는 3603억원으로 부채비율은 약 403.5%를 기록했다. 이는 2024년 말 378.2%에서 소폭 상승한 수치다. 긍정적인 부분으로는 분기 말 기준 계약 잔액이 약 9조4865억원(연결 기준)에 달해 안정적인 일감을 확보하고 있다는 점과 최근 한국기업평가와 NICE신용평가로부터 기업어음 신용등급이 기존 B에서 B+로 한 단계 상향 조정된 점을 꼽을 수 있다.

잠재적 위험 요인도 존재한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과 관련하여 약 7810억원의 신용보강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특정 조건 발생 시 기한이익상실 사유가 포함돼 있다. 지난해 말 기준 PF 신용보강 제공액은 8421억원이었다.

또 32개 사업장에 대해 총 도급금액 약 7조7957억원 규모의 책임준공 약정을 부담하고 있어, 미이행 시 채무인수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2024년 말 기준 책임준공 약정 사업장은 29개, 총 도급금액은 약 7조3305억원이었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매출의 경우 2024년 대형 프로젝트 준공 이후 기저 효과로 감소한 것이고, 올해 공정이 본격 가동되면 지속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부채 상승은 선수금 증가로 인한 일시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doso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재명의 사람들] 원조 친명' 김영진 [서울=뉴스핌] 이영태 선임기자 =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원조 친명'으로 분류되는 김영진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직언과 '쓴소리'를 할 수 있는 정치인으로 손꼽힌다. 이 대통령도 김 의원의 쓴소리는 합리적이라고 판단해 경청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2022년 대선 패배 이후 이 대통령이 인천 계양에 출마하겠다고 했을 때 반대했고, 지난해 당대표직 연임에 대해서도 "이 대표가 계속 '설탕'(감언이설)만 먹고 있다면 이빨이 다 썩을 수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냈었다. 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를 국회 취임식장으로 안내하는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2025.06.23 [사진=김영진 블로그] 이로 인해 둘 사이가 껄끄러워졌다는 얘기도 있었지만 주변 사람들 사이에선 "그래도 (이 대통령이) 당내에서 진심으로 의지한 인물은 김 의원뿐"이라는 말이 돌았다. 김 의원은 중앙대를 졸업한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이다. 이 대통령이 아끼는 중대 후배 중 하나로 내각 구성을 포함한 각종 인선 시나리오에 1순위로 회자된다. 운동권 출신으로 졸업 후 취업이 안 될 때 당시 변호사였던 이 대통령이 취업을 지원했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로 인연이 깊다. 그는 2017년 대선부터 이 대통령을 지원한 '원조 친명' 7인회(김영진·문진석·정성호 의원, 김병욱·김남국·이규민·임종성 전 의원) 중 한 명이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때 선대위 상황실장, 이번엔 정무실장을 맡아 '전략통'으로 활약했다.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2025.06.23 [사진=김영진 블로그] 김 의원은 중앙대 총학생회장을 지낸 후 김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상임의장직을 맡을 때 그를 보좌했다. 1998년 국회 인턴을 시작으로 조세형 의원 비서, 조한천 의원 비서관, 김진표 의원 보좌관 등을 지냈다. 국회의원 보좌진 외에도 민주당 경기도당 대변인 등을 지내면서 주로 당에서 근무하거나, 보좌관으로 활동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 수원시 병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첫 뱃지를 단 후 2017년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후보 대세론이 굳어지던 민주당 후보 경선에서 대학 선배인 이재명 후보 캠프에 참여해 '진짜 친명'으로 불린다. 2018년 당 전략기획위원장직을 맡아 지방선거를 압승으로 이끌었고, 2년 후에도 다시 한 번 전략기획위원장을 맡았다. 이 대통령이 당내에서 전략적 조언을 구하는 소수의 인물 중 한 명으로 '이재명 당대표 1기' 당시 정무조정실장을 맡아 근거리에서 보좌했다. 2016년 처음 국회에 입성한 이후 수원병에서 22대까지 내리 3선에 성공했다. 여러 선거를 승리로 이끈 전략통으로, 경제정책과 실물경제 흐름에 밝다는 평가를 받는다. 민주당 관계자는 "실물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점이야말로 김 의원과 이 대통령의 닮은 점이자 잘 통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1967년 충남 예산 출신으로 유신고와 중대 경영학과(86학번)를 졸업했다. medialyt@newspim.com 2025-06-23 09:01
사진
"이란 의회, 호르무즈 봉쇄 승인"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이란 의회가 호르무즈 해협 봉쇄안을 승인했다고 이란 국영방송 프레스 TV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다만 최종 결정은 이란 최고 국가안보회의에서 내려져야 한다고 방송은 전했다.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석유 및 천연가스 수요의 약 20%가 통과하는 곳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이라크, 쿠웨이트산 원유가 이곳을 지난다.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는 전 세계 원유 공급 압박으로 작용하며 유가를 띄울 가능성이 크다. MST마키의 사울 카보닉 선임 에너지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몇 시간, 며칠 동안 이란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많은 것이 달려 있지만 만약 이란이 이전에 위협했던 대로 대응한다면 유가는 배럴당 100달러 수준으로 치솟을 수 있는 길에 들어설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 출신 의원인 에스마일 코사리는 인터뷰에서 "해협 봉쇄는 안건에 올라가 있으며 필요할 때 언제든 실행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덴마크 해운회사 머스크는 이날 성명에서 자사 선박들이 여전히 호르무즈 해협을 통과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이를 재검토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해당 지역에서 선박들이 직면한 안보 위협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필요시 운영상 조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설명했다. 호르무즈 해협을 지나는 선박.[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6.22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6-22 22: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