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관세 갈등 지속될 듯
"추가적인 상승보다 조정 가능성"
美주요 경제지표·기업 실적 주목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국내 증시는 이번주에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4월 마지막주, 5월 첫 주 거래를 시작한다.
시장에선 미국의 상호 관세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증시 상단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번주 예고된 주요 경제지표 발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관측이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5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3.97포인트(0.95%) 상승한 2546.30으로 거래를 마쳤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한·미 '2+2 통상협의'후 25일 오후 코스피 지수가 전 거래일 종가보다 23.97포인트(0.95%) 오른 2,546.30으로, 코스닥 지수는 3.61포인트(0.50%) 오른 729.69로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25 yym58@newspim.com |
국내증시는 이번주에도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이 지속되면서 변동성 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관세 불확실성이 여전하기 때문에 추가 상승 여력보다는 상단이 막힐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5일(현지시간)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 참석을 위해 이탈리아 로마로 향하는 전용기 내에서 취재진에게 "중국에 부과한 145%에 달하는 관세에 대해 중국이 시장을 개방하는 양보를 하지 않으면 철회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역시 지난 2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가진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미국과 중국 간 협상이 안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더 연기되더라도 경제적인 비용은 굉장히 크다"고 우려를 표했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트럼프가 상호 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한 이후 글로벌 주식시장은 4월 하락을 대부분 만회한 상황"이라면서도 "다만 글로벌 주식시장이 주요 저항선에 근접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증시는 추가적인 상승보다는 조정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고 전망했다.
이상준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트럼프와 베센트의 온건적 발언으로 미중 갈등 완화 기대가 높아졌으나 실제 협상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며 "이른 시일 내에 양측의 갈등 국면이 반전될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고 예상했다. 다만 이 애널리스트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트럼프의 완급 조절 등을 고려할 때 4월 초중반 변동성이 가장 심한 구간은 지나갔다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주 미국 펀더멘털을 반영하는 주요 경제지표와 함께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는 관측이다. 오는 30일에는 미국 1분기 GDP, 미국 3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발표된다. 또 5월 1일에는 국내 증시가 휴장하는 가운데 한국 4월 수출입동향과 미국 4월 ISM 제조업지수, 2일에는 미국 4월 고용보고서 발표가 예정돼 있다.
아울러 미국에선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애플이, 국내에선 한화오션, 현대건설, 삼성전기, 두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G화학, 아모레퍼시픽, 삼성물산 등의 1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김유미 키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번주에는 미국 펀더멘털에 관심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현재 관세에 대한 우려가 인플레이션 주로 맞춰져 있지만 선구매에 따른 재고 축적 등을 고려할 때 수요 둔화가 지표로 좀 더 빨리 반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애널리스트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1분기 실적 발표에도 주목해야 한다"면서 "실적에서는 관세 영향 확인이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