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세계 시의 날, 1020세대 구매 2년 연속 증가
감각적인 언어로 쓰인 짧은 시에 관심
'필사' 열풍 뒤이어 필사 시집 화제, 윤동주· 헤세·괴테까지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매년 3월 21일은 유네스코가 제정한 '세계 시의 날'이다. 시인도 많고 시집도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지만 시의 인기가 예전만 못하다. 그러나 최근 주춤했던 시 분야의 판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짧고 강렬한 숏폼 영상이 인기를 얻고 있듯이 시도 짧고 간결한 시가 주목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왼쪽부터 고선경의 '심장보다 단단한 토마토 한 알'과 '샤워젤과 소다수', 차정은의 '토마토 컵라면'. 2025.03.21 oks34@newspim.com |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세계 시의 날을 맞이해 최근 시집 판매 동향을 살펴보고, 어떤 트렌드와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분석했다.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잠시 주춤했던 시 분야는 2024년부터 다시 판매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46.4% 증가했고, 2025년에도 33.7% 상승했다.
▲ 시집 구매자 중 약 20% 차지하는 1020세대
시 분야는 전통적으로 50대가 구매 연령대 1위를 차지(2018~2025)하지만, 최근에는 1020세대의 약진이 돋보였다. 예스24 집계 결과, 1020세대의 구매 비율은 최근 6년 간 매년 증가해 2025년에는 5년 전인 2020년의 2배에 가까운 20%가량을 기록했다.
이처럼 1020세대의 시집 구매가 늘어난 것은 X(구 트위터) 등 SNS나 연재 플랫폼을 통해 1020세대 팬덤을 확보한 시인들의 인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젊은 작가들의 톡톡 튀는 감성이 1020세대에게 공감대를 불러 일으켰고, 시인들의 시를 SNS로 공유하는 문화로 해당 작품들이 널리 알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독서가 힙하다는 인식을 불러 일으킨 '텍스트 힙' 열풍이 확산되기 시작한 작년부터 1020세대의 시집 구매량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 한국시의 미래로 불리는 젊은 시인들 시집 약진
올해 들어서는 젊은 시인의 시집 3권이 10권 내에 자리했다. '독자들이 먼저 알아본 한국시의 미래'라고 불리는 고선경 시인의 '심장보다 단단한 토마토 한 알', '샤워젤과 소다수'가 각각 3위와 5위를 기록했다. 알파세대의 사랑을 한 몸에 받은 차정은 시인의 '토마토 컵라면'이 9위를 차지했다. 해당 도서들의 1020세대 구매 비율 분석 결과, '토마토 컵라면'은 60.9%, '샤워젤과 소다수' 51.9%, '심장보다 단단한 토마토 한 알'이 45.9%를 기록해 시집 판매량에 1020세대가 미치는 영향력을 증명했다.
더불어 10대 청소년 시인으로 화제를 모은 백은별(기억하는 한 가장 오래)과 유선혜(사랑과 멸종을 바꿔 읽어보십시오), 유수연(사랑하고 선량하게 잦아드네), 이제야(진심의 바깥) 등 다수의 젊은 시인들이 1분기 시집 베스트셀러 30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독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들 시인들의 시집의 공통점은 짧고 강렬한 언어로 톡톡 튀는 감성을 노래한 것이 특징이었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