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오늘A주] 관세전쟁 확대에 하락...허싸이-벤츠 협력에 라이다 관련주 급등

기사입력 : 2025년03월12일 16:34

최종수정 : 2025년03월12일 16:34

상하이종합지수 3371.92(-7.91, -0.23%)
선전성분지수 10843.23(-17.93, -0.17%)
촹예반지수 2191.27(-12.76, -0.58%)
커촹반50지수 1092.71(-8.03, -0.73%)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12일 중국 증시는 소폭 하락했다. 미국발 관세 전쟁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불확실성이 증대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0.23% 하락한 3371.92, 선전성분지수는 0.17% 하락한 10843.23, 촹예반지수는 0.58% 하락한 2191.27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서명한 철강·알루미늄 관세 관련 포고문의 효력이 미국 동부 시간으로 12일 0시 1분(한국 시간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됐다. 철강의 경우는 25%의 관세가 부과됐고, 알루미늄은 10% 관세가 25%로 인상됐다.

미국이 그동안 관세를 부과한 나라는 사실상 중국 한 곳뿐이었지만, 이날 관세 발효로 미국의 관세 부과는 전 세계로 확대됐다.

이에 대해 EU 집행위원회는 12일(현지 시간) 미국의 관세에 대한 대응 조치로 약 260억 유로(약 41조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해 4월부터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캐나다와 영국도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 조치를 하겠다고 밝혔다. 미국발 관세 전쟁이 전 세계로 확대되면서 이날 중국 증시는 하락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12일 추이

이날 특징주로는 라이다(LiDAR)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선퉁커지(神通科技), 융신광쉐(永新光學), 중허커지(衆合科技)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이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주변 환경을 3D로 인식하는 기술로, 자율주행차에 사용된다. 메르세데스-벤츠가 중국의 라이다 기업인 허싸이커지(禾賽科技)의 라이다를 사용해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스마트카를 개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벤츠는 지정학적 위험 때문에 수개월 고심했으나, 결국 이같이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에 상장된 허싸이커지의 주가는 50% 이상 상승했다. 이 같은 영향으로 관련주의 주가가 폭등했다.

컴퓨팅 관련주도 상승했다. 랑커커지(朗科科技), 후베이광뎬(湖北廣電), 닝샤젠차이(寧夏建材)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13일 항저우(杭州)에서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생태계 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중국의 AI 기업들이 대거 참석해 AI의 응용 시나리오들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대회에서 AI가 광범위한 산업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발생하면서 관련주 주가가 상승했다.

한편 인민은행 산하 외환 거래 센터는 이날 위안화 기준 환율을 달러당 7.1696위안으로 고시했다. 전 거래일(7.1741위안) 대비 0.0045위안 내린 것이며, 위안화 가치로는 0.06% 상승한 것이다.

중국 증시 자료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