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19일 '2024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 발표
20대 이하 -14.6만·40대 -6.7만…통계 작성 후 '최대' 감소
도소매·건설업 등 내수 업종 부진 영향…보건·사회복지↑
1분기 31.4만→2분기 25.4만→3분기 24.6만…증가폭 축소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지난해 3분기 20대 이하와 40대 임금근로 일자리가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소매·건설업 등 내수 업종이 부진한 사실이 영향을 미쳤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 수는 전년 동기보다 24만6000개 증가했다. 같은 해 1·2분기를 지나며 증가폭이 점차 축소됐다.
◆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24.6만개↑…20대·40대 줄고 60대 늘어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78만8000개로 전년 동기(2054만2000개)보다 24만6000개 증가했다.
![]() |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 및 증감 추이 [자료=통계청] 2025.02.19 rang@newspim.com |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뜻한다. 이는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사람을 뜻하는 '취업자'와는 다른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주중에 회사 사무직으로 일하고 주말에는 학원 강사로 근무할 경우, 취업자는 한 명이지만 일자리는 두 개가 된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지난해 매 분기를 지나며 증가폭이 점차 축소됐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은 지난해 1분기 31만4000개를 기록했으나 2분기에는 25만4000개로 앞자릿수를 바꿨고, 3분기에는 24만6000개로 거듭 감소했다.
지난해 3분기(24만6000개)에 기록한 증가폭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2분기(21만1000개) 이후 가장 작은 수준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이하 일자리가 전년 동기 대비 14만6000개 줄어들면서 2017년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직전 2분기(-13만4000개)에 이어 연속으로 역대 최대 폭 감소를 경신했다.
![]() |
연령대별 일자리 동향 [자료=통계청] 2025.02.19 rang@newspim.com |
40대 일자리는 전년 동기보다 6만7000개 줄었다. 20대 이하 일자리와 마찬가지로 직전 2분기(-5만6000개)에 이어 거듭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전년 동기와 비교해 30대 일자리는 6만6000개, 50대 일자리는 11만9000개 각각 늘었다. 60대 일자리도 27만4000개 증가했다.
30대 일자리 증가폭은 2분기(5만9000개)보다 3분기(6만6000개)에 더 커졌다. 60대 일자리 증가폭도 2분기 26만1000개에서 3분기 27만4000개로 늘어났다. 다만 50대 일자리 증가폭은 2분기(12만4000개)와 비교해 3분기(11만9000개)가 더 작았다.
20대 이하와 40대 일자리 사정이 좋지 않은 것은 도소매·건설업 등 내수 업종이 부진한 사실을 배경으로 한다. 20대 이하 일자리는 도소매(-2만2000개)에서, 40대 일자리는 건설업(-2만8000개)에서 가장 크게 감소했다.
전체 일자리 대비 비중은 50대가 23.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40대(22.6%), 30대(21.4%), 60대 이상(18.2%), 20대 이하(14.7%) 순으로 나타났다.
◆ 보건·사회복지 13.8만개 '최다' 증가 …건설업·부동산 일자리 한파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13만8000개) ▲협회·수리·개인(3만2000개) ▲운수·창고(3만1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4만7000개)과 부동산(-8000개) 등은 감소했다.
산업별 일자리 비중은 제조업이 20.7%로 가장 컸다. 다음으로는 보건·사회복지(12.5%), 도소매(10.4%), 건설업(9.1%), 사업·임대(6.9%) 순이었다.
![]() |
2024년 3분기 산업별 임금근로 일자리 증감 [자료=통계청] 2025.02.19 rang@newspim.com |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에 한해 증감폭을 살펴보면 ▲선박·보트 건조업(1만개) ▲기타 삭품(6000개) ▲통신·장비(4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반면 섬유제품(-5000개)과 전자통신(-3000개), 인쇄·기록매체(-2000개) 등은 줄었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 중 전년 동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95만9000개(72.0%),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35만4000개(16.1%)로 집계됐다.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47만5000개(11.9%), 기업체 소멸이나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2만9000개(10.7%)로 나타났다.
성별 기준으로 일자리 증감 현황을 보면 남자는 3만2000개, 여자는 21만4000개 증가했다. 증가폭은 여자가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전체 일자리 대비 비중은 남자(56.0%)가 여자(44.0%)보다 컸다.
남자는 보건·사회복지(2만7000개)와 제조업(2만2000개), 운수·창고(1만7000개) 등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여자 일자리는 보건·사회복지(11만2000개)와 협회·수리·개인(2만3000개), 숙박·음식(1만6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 |
2024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형태별 분포 [자료=통계청] 2025.02.19 rang@newspim.com |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