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콘텐츠 개방 훈풍…엔터주 급등
3거래일 하락했던 '조·방·원' 반등
"증시 조정은 일시적" 전망도 나와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최근 종목별 희비가 엇갈렸던 국내 증시가 나흘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K-엔터테인먼트주가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 해제 기대감과 정부의 문화콘텐츠 지원 정책에 힘입어 급등했고, 한동안 조정을 받았던 조선·방산·원전(조·방·원) 테마주도 일제히 반등세에 합류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콘텐츠 수입 규제 완화 움직임과 이재명 대통령의 K콘텐츠 산업 육성 의지가 맞물리며 엔터주 전반에 강한 모멘텀을 불어넣은 것으로 분석했다. 동시에 방산·원전·조선 등 상반기 주도주에 대한 구조적 성장 기대가 이어지면서 저가 매수세가 유입돼 증시 회복을 이끌었다는 평가다.
◆ 中 콘텐츠 개방 소식에 '엔터株' 급등… 정부 지원도 호재
중국 정부가 해외 드라마 등 외산 콘텐츠 수입·방송을 확대하겠다고 밝히며 국내 엔터주가 강하게 반등했다. 지난 18일 중국 국가광파전시총국(광전총)이 우수 해외 프로그램 도입을 독려하는 방침을 내놓자, '한한령 해제' 기대감이 커지면서 그간 위축됐던 한류 콘텐츠의 중국 진출 가능성이 부각되며 투자심리가 빠르게 개선됐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아시아씨엠은 전 거래일보다 29.94% 급등한 881원에 전날(21일) 마감했다. NEW도 9.36% 오른 2745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대원미디어(3.82%), SAMG엔터(3.89%) 등 중소형 콘텐츠 제작주들도 상승세를 보였다.
![]() |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아리랑TV의 케이팝 미래 담론 특집 프로그램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8.20 photo@newspim.com |
정부의 정책 지원도 기대감을 키웠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0일 방송된 아리랑국제방송 특별 프로그램 'K-Pop: The Next Chapter'에 출연해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며 "정부의 역할은 간섭이 아닌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문화콘텐츠를 국가 주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구상도 밝힌 바 있다.
이러한 호재가 겹치며 주요 기획사들도 동반 상승했다. 와이지엔터테인먼트(YG Ent.)는 이번주 들어 10% 가량 상승하며 주가가 10만원대에 안착했고, 큐브엔터(3.66%), 에프엔씨엔터(2.84%), 하이브(1.75%), JYP Ent.(0.13%) 등이 전날 상승 마감했다. K-팝 스타들의 글로벌 활약과 함께 중국 시장 재진출 기대가 겹치며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시장 평가가 재조명되고 있다.
◆ 주춤했던 '조·방·원株' 반등...구조적 성장성 '여전'
이번주 들어 3거래일 연속 하락했던 조선·방산·원전 테마주가 일제히 반등세로 돌아섰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한국전력기술은 전일대비 15.29% 급등하며 단숨에 낙폭을 회복했다. 한전KPS(7.69%), 두산에너빌리티(7.14%), 한신기계(5.98%) 등도 동반 상승 마감했다. 방산주에서는 LIG넥스원(4.10%), 한화시스템(3.76%), 한화에어로스페이스(2.21%), 현대로템(1.82%)이 상승했다. 조선업 대장주인 HD현대중공업(4.77%)과 한화오션(5.89%)이 오르며 조·방·원 테마 전반의 강세를 이끌었다.
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최근 하락을 주도했던 원전·방산·조선 등 주도주들이 반등하며 지수 회복에 기여했다"며 "특히 다음 주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일정에서 조·방·원 관련 이슈들이 주요 의제로 논의될 가능성이 커, 기대감과 경계심이 맞물린 가운데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 |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 전경. [사진=한화오션] |
최근 3일간 조·방·원 테마 종목은 단기 조정을 거친 상태였다. 현대로템은 지난 18일부터 20일까지 5.01% 하락했고, 두산에너빌리티(-12.37%), HD현대마린엔진(-6.14%), 한화에어로스페이스(-7.59%), 풍산(-6.44%), LIG넥스원(-5.93%) 등도 약세를 기록했다.
이 같은 하락은 원전 수출 관련 우려와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겹친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한전이 웨스팅하우스와 체결한 합의서 내용이 과도한 로열티 부담 등 국내 기업에 불리하다는 지적이 제기되며, 관련주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우·러 3자 회담 추진 발언 이후, 방산주를 중심으로 차익 실현이 가속화됐다.
하지만 증권가는 조정은 일시적일 뿐 구조적 성장 스토리는 여전하다는 시각이다. 이한결 키움증권 연구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휴전되더라도 무기 수출은 계속될 것"이라며 "유럽 현지 생산기지를 설립 중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등은 내년에도 수출 기회가 열려 있다"고 분석했다.
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방산업체들의 이익률은 아직 정점을 지나지 않았다"며 "천무(다연장로켓)의 유럽 점유율 확대, 사우디와의 20조원 이상 무기 수출 계약 등도 하반기 가시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선업도 긍정적이다. 김용민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국내 조선업체들이 미국 해군향 함정 블록 수주를 통해 더 큰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며 "'MASGA 프로젝트'는 한미 조선 협력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