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종합지수 3318.06(-4.11, -0.12%)
선전성분지수 10557.62(-73.63, -0.69%)
촹예반지수 2152.73(-31.15, -1.43%)
커촹반50지수 1024.41(-12.36, -1.19%)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3거래일 연속 상승했던 중국 증시는 11일 소폭 하락하며 조정을 받았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0.12% 하락한 3318.06, 선전성분지수는 0.69% 하락한 10557.62, 촹예반지수는 1.43% 하락한 2152.73으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중국을 상대로 10% 관세 인상을 단행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미국 현지 시간)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으나, 중국 내에서는 철강 관세 인상 조치가 중국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중국의 대미 철강과 알루미늄 직접 수출은 수십만 톤에 불과해 관세의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하지만 관세 인상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고착화할 것이라는 예상은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물가가 잡히지 않으면 미국 금리 인하 시기가 늦어질 것이라는 예상에서다.
미국 관세 인상의 직접적인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중국 증시에 호재이지만, 미국 금리 인하 연기는 악재 요소로 인식된다. 이에 더해 A주의 단기적인 상승에 대한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이날 증시는 하락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차이신(財信)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현재 중국 A주는 봄철 랠리가 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딥시크 테마주를 중심으로 시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발굴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1분기 거시경제 데이터는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상하이종합지수 11일 추이 |
이날 특징주로는 문화콘텐츠주가 대거 상승했다. 광셴촨메이(光線傳媒), 화수촨메이(華數傳媒), 펑위주(風語築), 위안룽야투(元隆雅圖) 등이 대거 상한가를 기록했다.
중국의 애니메이션 영화 '너자(哪吒) 2'가 역대 최대 박스오피스(영화 티켓 판매액)를 기록한 데 이어, 10일 10억 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관련 주가 상승했다. 너자 2의 제작사인 광셴촨메이는 역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너자 2는 2019년 개봉한 너자의 속편으로, 명나라 시절 소설인 '봉신연의'에 나오는 신화 속 영웅 신 '너자'를 소재로 한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휴머노이드(인간 유사 로봇) 관련 주도 대거 상승했다. 카이얼다(凱爾達), 메이거즈넝(美格智能), 푸라이신차이(福萊新材)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중국 내 휴머노이드의 저변이 넓어지고 있으며, 호재가 지속 출현하면서 전반적인 로봇주가 상승했다. 로봇 벤처기업인 차오넝지치런(超能機器人)은 10일 돌봄 휴머노이드 제품인 '샹장(湘江) 1호'를 공개했다. 해당 제품은 노약자를 돌보는 기능에 특화된 세계 최초의 휴머노이드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한편 인민은행 산하 외환 거래 센터는 이날 위안화 기준 환율을 달러당 7.1716 위안으로 고시했다. 전 거래일(7.1707) 대비 0.0009 위안 올린 것으로, 위안화 가치로는 0.01% 하락한 것이다.
중국 증시 자료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