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 SME에 물건 많이 파는 기업을 사라②

기사입력 : 2024년12월19일 15:04

최종수정 : 2024년12월19일 15:05

메타, 인튜이트, 트림블 등 주목

이 기사는 12월 17일 오후 3시2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오상용 글로벌경제 전문기자 = *①편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4. 메타와 인튜이트

매그니피센트 7의 일원인 메타(META)의 경우 빅테크 중에서도 중소기업 매출 비중이 높다. 회사 전체 매출의 75%가 중소기업에서 발생한다. 메타는 매출의 대부분(96%)을 여전히 광고 수입에 의존하는데 그 가운데 중소기업의 광고 비중이 3분의 2를 웃돈다. 내년 이들의 업황이 살아나면 광고집행 역시 늘어날 수 있다.

트럼프 정부 출범으로 경쟁사인 틱톡의 존립은 (미중 갈등의 연장선에서) 한층 위태로워질 수 있다. 올 들어 틱톡의 미국내 광고매출은 123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틱톡 사용 금지가 현실화할 경우 메타는 상당한 반사 이익을 누릴 수 있다. 틱톡 사용자들이 메타의 `인스타그램 릴스(숏폼 영상 공유 플랫폼)`로 이동, 릴스 이용시간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서다.

아직 속단할 일은 아니지만 주요 경쟁사가 사라질 경우 메타의 광고 단가 인상도 수월해진다. 이는 회사의 영업이익과 마진 확대로 이어질 것이다. 최근 3개월 44명의 애널리스트 가운데 40명이 메타에 매수 의견을, 3명이 보유 의견을, 나머지 1명이 매도 의견을 피력했다. 이들의 12개월 평균 목표가는 666.21달러로, 약 7%의 상승 여력을 가리킨다.

메타의 기업 로고 [사진=블룸버그]

재무관리와 세무(세금정산) 소프트웨어로 유명한 인튜이트(INTU) 역시 중소기업 매출 비중이 66%에 달한다. 회사는 주력 서비스인 터보택스(TurboTax)와 크레딧 카르마(Credit Karma), 퀵북스(QuickBooks), 그리고 메일침프(Mailchimp)에 인공지능(AI)을 결합해 고객 편의와 접근성을 끌어 올리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의 활용도가 높은 퀵북스와 메일침프의 경우 회사 사업부 중 가장 빠른 성장세(19%)를 보이고 있다. 내년 소기업 업황이 개선될 경우 한층 재미를 볼 수 있다.

회사의 2025 회계연도 1분기(8~10월) 매출은 전년동기비 10% 늘어난 33억달러를 기록해 시장 예상을 1억6000만달러 상회했다. 비일반회계(Non-GAAP) 기준 주당순익(EPS)은 2.5달러를 기록해 역시 예상치(2.36달러)를 웃돌았다.

지난 석달 21명의 애널리스트 가운데 17명이 이 회사에 `매수` 의견을, 나머지가 `보유` 의견을 피력했다. 이들의 12개월 목표가 평균은 742.47달러로, 11% 더 상승할 여력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분기 실적 발표 직후인 지난 11월22일 제프리스는 강력 매수 의견과 함께 목표가를 790달러에서 800달러로 상향했다. 이는 19%의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바클레이즈는 기대에 못미친 `회계연도 2분기`의 실적 가이던스를 반영해 목표가를 800달러에서 775달러로 낮췄지만 여전히 15%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봤다.

참고로 메타와 인튜이트는 월가에서 `AI 진화 3단계 진입에 따른 테마주`로도 꼽힌다. 월가에서는 그간 엔비디아를 포함한 `AI 1단계 종목군(주로 반도체)`과 `AI 2단계 종목군(AI 인프라군)`에 수혜가 집중됐지만, 내년에는 AI 3단계 종목군, 즉 AI 활용으로 매출 증대가 기대되는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플랫폼 기업으로 온기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

중소기업 매출 비중이 높은 유망주 7選 [자료=팁랭크스, 코이핀, 골드만삭스]

5. 트림블과 MLM

위치 기반 솔루션 기업인 트림블(TRMB)의 경우 중소기업 고객이 전체 매출의 74%를 차지한다. 지리 정보 시스템(GIS)과 GPS 및 위성 네비게이션 기술, 정밀 위치 추적 및 자율주행 농업기계 기술 등에 특화돼 있다.

회사는 최근 수년간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며 경영 효율화에 박차를 가했다. 그 성과는 실적 개선으로 나타나고 있다. 3분기 매출은 자산매각 영향으로 8.5% 감소한 8억7580만달러에 그쳤지만 시장 예상보다는 1130만달러 많았다. 일회성 요인을 제거한 유기적 성장률은 3%를 나타냈다.

특히 알짜 고객이 늘면서 유기적 ARR(연간반복매출) 성장률은 14%에 달했다. 비일반회계 기준 3분기 주당순익은 예상보다 0.08달러 많은 0.70달러를 나타냈다.

최근 3개월 월가 애널리스트 5명 가운데 4명이 이 회사에 `매수` 의견을 나머지 1명이 보유 의견을 피력했다. 이들이 제시한 12개월 목표가 평균은 80.88달러로 10%의 추가 상승 여력을 가리킨다.

이달 들어서는 투자은행들의 목표가 상향이 줄을 잇고 있다. JP모간은 12월4일자 보고서에서 "비용 효율성과 매출 성장 기대가 커지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보유에서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가도 종전 74달러에서 92달러로 높였다. 이는 24% 상승 여력을 가리킨다.

베어드 역시 목표가를 82달러에서 90달러로 높였다. 번스타인과 오펜하이머도 동참했다. 번스타인은 목표가를 82달러에서 85달러로, 오펜하이머는 77달러에서 88달러로 상향했다.

트림블 기업 로고 [사진=트림블]


마틴 메리어트 머티리얼즈(MLM)는 골재·건축 자재회사다. 전체 매출에서 중소기업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0%로 절반 이상이다.

3분기 실적은 기대에 못미쳤다. 매출은 전년동기비 5% 감소한 18억9000만달러로 시장 예상을 5000만달러 밑돌았다. 비일반회계 기준 주당순익(EPS) 역시 예상보다 0.19달러 적은 5.91달러를 나타냈다. 다만 시멘트와 골재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 월가의 실적 개선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JP모간은 11월27일자 보고서에서 이 회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비중확대`로 상향하고 목표가도 515달러에서 640달러로 높여 잡았다. 이는 12월16일 종가에서 17% 상승할 여력을 가리킨다. JP모간의 애드리안 후에타 애널리스트는 "회사가 지닌 매력적인 입지 조건, 그리고 골재 수요 증가와 판매가격 인상 잠재력은 중장기 투자 매력을 더하는 요소"라고 했다.

UBS 역시 `강력매수` 의견과 함께 목표가 730달러를 제시했다(34% 상승 여력). 루프 캐피탈도 목표가를 종전 600달러에서 680달러(24% 상승 여력)로 상향했다. 팁랭크스에 따르면 최근 3개월 12명의 애널리스트 가운데 11명이 `매수` 의견을, 나머지 1명이 보유 의견을 피력했다. 이들이 제시한 12개월 목표가 평균은 672.75달러로, 12월16일 종가에서 23% 상승할 여력을 보여준다.

보육 서비스 제공업체 `브라이트 호라이즌 패밀리 솔루션(티커: BFAM)`역시 중소기업에 대한 매출 의존도가 50%에 달한다.

2020년 코로나 팬데믹은 회사 매출에 큰 상처를 입혔지만 이후 빠른 복원력을 보여주고 있다. 회사가 제공하는 핵심 서비스는 `풀 서비스 보육(Full-Service Childcare)`이다. 부모의 출퇴근 시간에 맞춰 아이 돌봄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별도로 `백업 케어 솔루션(Back-up Care Solution)`을 통해 시간외 추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불규칙한 회사 업무 때문에 일정이 유동적인 부모들로부터 호평을 사고 있다.

☞ 관련기사 

회사의 3분기 실적은 서프라이즈급이었다. 매출은 11.3% 증가한 7억1900만달러로, 예상보다 585만달러 많았다. 3분기 비일반회계기준 EPS도 예상보다 0.05달러 많은 1.11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3개월 월가 애널리스트 9명 가운데 6명이 매수 의견을, 2명이 보유 의견을, 나머지 1명이 매도 의견을 피력했다. 이들의 목표가 평균(141달러)은 이 회사 주가가 향후 12개월 30% 상승할 여력을 지녔음을 보여준다.

 

osy75@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첫 미국출신 교황… 즉위명 '레오 14세'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미국 태생의 로버트 프랜시스 프레보스트(70) 추기경이 8일(현지시간) 제267대 교황에 선출됐다.  가톨릭 역사상 미국인 교황이 탄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바티칸 교황청은 새 교황의 즉위명을 '레오 14세'라고 발표했다. 가톨릭에서 '레오'는 라틴어로 '사자'를 뜻한다. 강인함과 용기, 리더십을 상징한다. 8일(현지시간) 교황에 선출된 레오 14세. [사진=로이터 뉴스핌] 레오 14세는 선출 공식 발표 직후인 오후 7시 20분쯤 바티칸시티 성베드로 대성당 2층 '강복의 발코니'에 등장해 광장을 가득 메운 군중들을 향해 손을 흔들었다. 감정이 북받힌 듯 울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탈리아어로 말한 그의 첫 마디는 "평화가 여러분 모두와 함께 하기를(La pace sia con tutti voi)"이었다. 그는 이어 "이 평화의 인사가 여러분의 마음속에 스며들어 여러분의 가족과 모든 사람, 어디에 있든, 모든 민족, 그리고 온 세상에 전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레오 14세는 이날 시스티나 예배당에서 실시된 콘클라베 이틀째 투표에서 교황으로 선출됐다.  전 세계 70개국에서 모인 133명의 추기경들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참석자의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는 후보를 탄생시키기 위해 투표를 계속했다.  오전에 실시된 두 차례 투표에서는 선출이 무산됐다. 오전 11시 50분쯤 시스티나 예배당 굴뚝에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추기경단은 오후 4시 투표를 재개했다. 오후 두 차례 투표가 끝나고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던 오후 6시 8분쯤 굴뚝에서 흰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어 성베드로 대성당에서 장엄한 종소리가 울려 퍼졌다. 오후 7시 10분쯤 선임 부제 도미니크 맘베르티 추기경이 성베드로 대성전 발코니에 나와 "하베무스 파팜(Habemus Papam·우리에게 교황이 있다)"을 외치며 새 교황의 탄생을 알렸다.  1955년 미국 시카고에서 태어난 레오 14세는 1982년 사제로 서품했다. 이후 성직자로서의 경력 기간 대부분을 남미 페루에서 보냈다. 2015~2023년까지 페루 북서부 치클라요에서 주교로 재직했다. 2015년에 페루 시민권을 취득했기 때문에 이중 국적을 갖고 있다.  그는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소속이다. 이 수도회가 교황을 배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전임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 2023년 그를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교황청 주교성 장관에 앉혔다. 신임 주교 선발을 관리·감독하는 자리이다. 그는 프란치스코 교황을 가까이서 보좌하며 그의 개혁정책 추진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신학적으로는 중도 성향으로 분류된다. 프란치스코 교황 시절 갈등이 심했던 보수와 진보 세력 사이에서 균형을 잡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에 "그가 첫번째 미국인 교황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정말로 영광"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얼마나 흥분되는 일이고, 우리나라에 얼마나 큰 영광인가"라며 "교황 레오 14세를 만나길 고대한다. 매우 의미있는 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ihjang67@newspim.com   2025-05-09 04:20
사진
김문수,대선후보 지위 확인 가처분 신청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8일 오전 법원에 대통령후보자 지위 인정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다.  김 후보는 이날 KBS에 출연해 "대통령후보 지위 확인 가처분 신청을 서울남부지법에 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미 합법적인, 정당한 절차를 거친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인 제가 있는데 지금 무소속 한덕수 후보하고 빨리 단일화를 하라고 한다"며 이유를 밝혔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8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05.08 yooksa@newspim.com 국민의힘 지도부는 오는 10일 또는 11일 제6차 전당대회를 소집한다고 공고했다. 당 지도부는 오는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선 후보 등록이 마감되기 전 단일화를 마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서울남부지법에서는 국민의힘 책임당원이 신청한 '전당대회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 심문기일이 진행됐다. 이들은 국민의힘이 김 후보에 한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한 압력을 행사하기 위해 전당대회를 연다고 보고 있다.  김 후보는 현재 단일화 문제로 당 지도부와 갈등하고 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토론회에 참가해 "무소속 등록도 안하겠다는, 입당도 안하겠다는 그런 사람을 상대로, 유령과 단일화하라는 이것은 올바른 정당민주주의냐, 저는 알 수 없다"고 비판했다. geulmal@newspim.com 2025-05-08 17:1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