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콘진원,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 성료

기사입력 : 2024년11월14일 08:22

최종수정 : 2024년11월14일 08:22

수출상담 117건·상담액 2218만 달러 달성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은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벤쿠버에서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는 북미 주요 시장인 캐나다에서 K애니메이션의 공동제작 및 투자유치를 목표로 현지 주요 바이어와의 만남의 장을 마련한 신규 행사로, ▲피칭 쇼케이스 ▲비즈니스 상담회 ▲스튜디오 현장 상담으로 진행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콘진원)은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캐나다 토론토·벤쿠버에서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를 성황리에 마쳤다. [사진=콘진원] 2024.11.14 alice09@newspim.com

캐나다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IP를 보유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많고, 세금 감면과 인건비 보조 정책으로도 유명하다.

나아가 이번 행사는 그동안 난공불락으로 알려진 미국 애니메이션 시장 공략을 위한 우회전략으로도 의미가 있다. 미국과 공동제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캐나다 스튜디오와의 협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장이었기 때문이다.

이번 쇼케이스는 캐나다의 주요 애니메이션 산업 도시인 토론토와 벤쿠버에서 열렸으며, 국내 8개 애니메이션사가 참가해 자사 대표 IP를 소개하는 피칭 세션을 진행했다.

캐나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의 공동제작은 글로벌 수준의 참신한 기획력과 제작 능력이 없이는 추진하기 어렵기에 웹툰, 웹소설 등 참신한 IP를 보유하고, 그간 다른 국가와 공동제작 경험이 많은 기업들이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씨제이이엔엠 '뱀파이어소녀 달자' ▲로커스 '히트 레이서' ▲도파라 '버스킹스타' ▲드림팩토리스튜디오 '잭과 와일드 버니' ▲청담미디어 '엘라게이터' ▲탁툰엔터프라이즈 '울리우드핍' ▲로코 '스노우캣' ▲스튜디오더블유바바 '헬로피닉스맨' 등 총 8개사의 저력 있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 자리에는 캐나다 ▲CBC Kids와 글로벌 키즈 애니메이션을 보유한 ▲WildBrain ▲Guru Studio ▲Epic Story Media 등 북미의 주요 바이어들이 참석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996만 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와일드브레인(WildBrain)의 디지털 프로덕션 디렉터 브라이언 헐름(Brian Hulme)과 Epic Story Media의 CEO 켄 페이어(Ken Faier)가 직접 참석해 국내 애니메이션의 배급 및 공동제작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또한 비즈니스 상담회를 통해 약 2218만 달러(한화 약 312억 원 규모)의 수출 상담이 이루어졌다.

콘진원은 글로벌 제작 경험이 풍부한 현지 스튜디오에서의 현장 피칭을 진행하며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퍼피구조대(Paw Patrol)' 시리즈를 제작한 ▲Guru Studio, '다이노(Dino) Kids' 시리즈를 제작하고 약 200개국에 유통한 ▲Sinking Ship Entertainment 등 4곳에서 맞춤형 상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지 스튜디오로부터 공동제작 제안을 받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콘진원은 이번 쇼케이스에서 거둔 성과를 기반으로, 내년에도 참여 기업들의 제작 지원과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캐나다 비즈니스센터와 협력하여 공동제작 및 수출 계약을 위한 후속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인남 콘진원 방송영상본부장은 "이번 글로벌 쇼케이스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 한국 애니메이션의 높은 잠재력을 확인했다"라며 "앞으로 캐나다뿐 아니라 미국, 유럽, 중화권, 남미 등 세계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후속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