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콘진원,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 성료

기사입력 : 2024년11월14일 08:22

최종수정 : 2024년11월14일 08:22

수출상담 117건·상담액 2218만 달러 달성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은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와 벤쿠버에서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는 북미 주요 시장인 캐나다에서 K애니메이션의 공동제작 및 투자유치를 목표로 현지 주요 바이어와의 만남의 장을 마련한 신규 행사로, ▲피칭 쇼케이스 ▲비즈니스 상담회 ▲스튜디오 현장 상담으로 진행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와 한국콘텐츠진흥원(원장직무대행 유현석, 콘진원)은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캐나다 토론토·벤쿠버에서 'K-애니메이션 글로벌 쇼케이스 in 캐나다'를 성황리에 마쳤다. [사진=콘진원] 2024.11.14 alice09@newspim.com

캐나다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IP를 보유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많고, 세금 감면과 인건비 보조 정책으로도 유명하다.

나아가 이번 행사는 그동안 난공불락으로 알려진 미국 애니메이션 시장 공략을 위한 우회전략으로도 의미가 있다. 미국과 공동제작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캐나다 스튜디오와의 협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는 장이었기 때문이다.

이번 쇼케이스는 캐나다의 주요 애니메이션 산업 도시인 토론토와 벤쿠버에서 열렸으며, 국내 8개 애니메이션사가 참가해 자사 대표 IP를 소개하는 피칭 세션을 진행했다.

캐나다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와의 공동제작은 글로벌 수준의 참신한 기획력과 제작 능력이 없이는 추진하기 어렵기에 웹툰, 웹소설 등 참신한 IP를 보유하고, 그간 다른 국가와 공동제작 경험이 많은 기업들이 이번 행사에 참여했다.

이를 통해 ▲씨제이이엔엠 '뱀파이어소녀 달자' ▲로커스 '히트 레이서' ▲도파라 '버스킹스타' ▲드림팩토리스튜디오 '잭과 와일드 버니' ▲청담미디어 '엘라게이터' ▲탁툰엔터프라이즈 '울리우드핍' ▲로코 '스노우캣' ▲스튜디오더블유바바 '헬로피닉스맨' 등 총 8개사의 저력 있는 작품들을 선보였다.

이 자리에는 캐나다 ▲CBC Kids와 글로벌 키즈 애니메이션을 보유한 ▲WildBrain ▲Guru Studio ▲Epic Story Media 등 북미의 주요 바이어들이 참석해 깊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996만 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와일드브레인(WildBrain)의 디지털 프로덕션 디렉터 브라이언 헐름(Brian Hulme)과 Epic Story Media의 CEO 켄 페이어(Ken Faier)가 직접 참석해 국내 애니메이션의 배급 및 공동제작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또한 비즈니스 상담회를 통해 약 2218만 달러(한화 약 312억 원 규모)의 수출 상담이 이루어졌다.

콘진원은 글로벌 제작 경험이 풍부한 현지 스튜디오에서의 현장 피칭을 진행하며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퍼피구조대(Paw Patrol)' 시리즈를 제작한 ▲Guru Studio, '다이노(Dino) Kids' 시리즈를 제작하고 약 200개국에 유통한 ▲Sinking Ship Entertainment 등 4곳에서 맞춤형 상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지 스튜디오로부터 공동제작 제안을 받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콘진원은 이번 쇼케이스에서 거둔 성과를 기반으로, 내년에도 참여 기업들의 제작 지원과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캐나다 비즈니스센터와 협력하여 공동제작 및 수출 계약을 위한 후속 지원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인남 콘진원 방송영상본부장은 "이번 글로벌 쇼케이스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 한국 애니메이션의 높은 잠재력을 확인했다"라며 "앞으로 캐나다뿐 아니라 미국, 유럽, 중화권, 남미 등 세계 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후속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100% 자율 '의대 증원' 논란 재점화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규모를 대학에서 100% 자율로 결정하도록 하겠다는 보건복지부(복지부) 방침이 나오면서 대학 내 갈등 조짐이 예상된다. 특히 의대 증원에 대한 결정권을 누구에게 부여할지를 놓고 의료인력 주무 부서인 보건복지부(복지부)와 대학 업무를 맡고 있는 교육부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향후 논란이 전망된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2회 국회(임시회) 제6차 본회의에서 의대정원 증원 추진과정에 대한 감사요구안이 가결되고 있다. 2025.02.14 mironj19@newspim.com 19일 대학가에 따르면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KAMC)는 각 대학 총장에게 '증원 전 정원 규모인 3058명으로 해야 한다'는 취지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복지부는 국회 보건복지위 법안 심사 소위에서 '의료 인력 수급 추계위(추계위)' 관련 법안 심사 과정에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특례 조항'을 법안 부칙에 담을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2026학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100% 자율로 결정하도록 하자는 것이 골자다. 지난해 늘어난 모집 인원의 50%까지 줄일 수 있도록 허용했는데, 올해는 100% 자율로 결정하게 하자는 뜻이다. 해당 안이 받아들여질 경우 각 대학은 지난해 정부가 증원한 2000명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증원 규모를 결정하게 된다. 이 경우 기존 3058명에서 5058명으로 올해보다 더 늘어난다. ◆의대 교수들 "증원 0명 돼야" vs. 대학 총장 "이미 예산 투입" 문제는 지난해 벌어졌던 대학 내 갈등이 올해도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 있다. 의대협회·KAMC 측은 각 대학 총장에게 '정원은 3058명으로 해야 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 압박하고 나섰다. 증원 전 정원 규모로 회귀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의대교수들은 현재 시설로는 증원된 규모의 의대생들을 교육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유지해 온 반면 대학 총장들은 예산 확보를 통해 교육 시설을 확충했다고 반박하고 있다. 수도권의 한 대학 총장은 "의대 증원 규모를 고려해 교수진을 추가로 확보하는 등 의대 교육을 위한 투자가 시작됐다"며 "원점으로 되돌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강조했다. 정부 부처간 입장도 갈리고 있다. 의대 증원과 관련해 대학에 100% 자율권을 줘야 한다는 복지부와는 다르게 교육부 내부에서는 '의대 문제를 대학에 떠넘겨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의대생 복귀와 학사 정상화를 위한 정부 차원에서의 노력이 있지만, 복지부 방안대로 진행할 경우 갈등 구조가 대학으로 확산되는 꼴이 된다"며 "그럴 경우 책임을 대학이 떠안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지난해 의대 증원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신뢰에 큰 타격을 받은 대학이 올해도 같은 상황을 반복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편 복지부 측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은 원칙적으로 보건의료기본법 개정 또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을 통해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에서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wideopen@newspim.com 2025-02-19 20:21
사진
이재명 "민주당 중도보수" 정체성 논쟁 [서울=뉴스핌] 지혜진 박찬제 윤채영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때아닌 이념 정체성 논란에 휘말렸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민주당은 중도보수 정당"이라고 규정하고 나서면서다. 이 대표는 19일 "민주당은 원래 성장을 중시하는 중도보수 정당이다. 국민의힘은 극우보수 또는 거의 범죄정당이 돼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이 대표가 전날 유튜브 채널 '새날'에 출연해 "우리는 진보가 아니다. 민주당이 중도보수 정권으로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고 말한 데 대해 기자들이 발언의 의미를 묻자 답한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스핌DB] 당 지도부는 이 대표의 말에 힘을 보탰다.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이날 SBS라디오에서 "(민주당의) 정치 성향을 구태여 규정하자면 중도보수적인 스탠스가 맞지만 당은 진보적인 지향을 갖고 있다"면서 "현실적으로 민주당보다 더 진보적인 입장을 갖고 있는 정당들이 있다"고 했다. 5선의 정동영 의원은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유럽식 기준으로 보면 민주당은 진보정당이 아니다"고 거들었다. 당 안팎에서는 이 대표 발언을 두고 반응이 엇갈린다. 중도층 포석을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는가하면 민주당이 추구해온 진보적 가치를 부정하는 경솔한 발언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초선 의원은 "대표께서 말한 것은 결국 운동장을 넓게 쓰자는 것 아닌가. 조기 대선을 앞두고 운동장을 넓게 써서 나쁠 것은 없다고 본다"고 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지금 정치권이 합리적 보수가 설 자리가 없는 상황이 아닌가. 보수가 제대로된 정치세력으로서 역할을 못하고 있으니 민주당이 합리적 보수 진영이 해야할 기본적인 부분까지 같이 고민하자는 뜻 아니겠나"라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중도 확장성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고 했다. 이에 반해 한 3선 의원은 "(중도보수 정당 스탠스가)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 (민주당은) 복지는 진보적이고 국방·경제는 보수적인 면도 많다"면서 "우리가 중도라고 해서 중도층 표가 오는 건 아니다. 중도는 정치인의 태도나 자세를 제일 먼저 본다"고 지적했다. 야권 잠룡으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페이스북에서 "이 엄중한 시기에 왜 진보-보수 논쟁을 끌어들이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유구한 역사를 가진 우리 민주당의 정체성을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이다. 비민주적이고 몰역사적"이라고 비판했다. 김 전 총리는 "김대중 대통령은 민주당을 '중산층과 서민의 정당'이라고 했다. 노무현 대통령은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라고 했다"면서 "민주당은 강령에 '서민과 중산층을 대변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강령은 당의 역사이자 정신입니다. 충분한 토론과 동의를 거쳐야 한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진보의 가치를 존중하며 민주당을 이끌고 지지해온 우리 당원들과 지지자들의 마음은 어떻겠나"라고 반문했다. 비명(비이재명)계 대선주자 연대 플랫폼인 '희망과 대안' 이사장을 맡은 양기대 전 민주당 의원은 "이 대표의 민주당 정체성 발언은 즉흥적"이라며 "제가 아는 민주당은 적어도 중도를 아우르는 진보개혁정당"이라고 꼬집었다. 양 전 의원은 "민주당과 이 대표가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총선에서 '진보 개혁'을 외치며 표를 얻었는데 이제 와서 갑자기 민주당의 정체성을 중도보수 정당으로 규정하는 모습을 보니, 그가 과연 어떤 정치 철학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고 했다. 이어 "조기 대선을 앞두고 '우클릭' 등의 연장선에서 나온 즉흥적인 발언으로 여겨진다. 이재명 정치의 본질이 드러났다고 비판하는 목소리가 들리는 것도 당연하다"며 "이 대표가 당의 정체성을 무시한 채 상황에 따라 말을 바꾸고 필요할 때마다 정당의 가치를 뒤집는다면 어느 국민이 그 정당을 신뢰하겠나"라고 했다. 그는 "이 대표는 마치 자신의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민주당의 정체성을 손쉽게 바꿀 수 있는 것처럼 행동하고 있다"면서 "아무리 급해도 당의 정체성을 바꾸는 얘기를 공개적으로 하려면 당내의 토론과 숙의 과정을 거쳐야 했는데 유튜브 채널에서 불쑥 얘기한 것도 사당화된 민주당의 현주소를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heyjin@newspim.com 2025-02-19 15:3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