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아주대 병원도 응급실 진료제한 운영
현장에 남은 교수가 버티는 상황에 불과한데
진료제한병원 1.2%에 불과해 괜찮다는 정부
3차 병원 유입 기피 이어져 이탈 가속화 전망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정부가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에 문제가 없다고 했지만 강원대병원 등 응급실 진료제한이 이어지고 있다.
2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의 입장과 다르게 강원대병원, 아주대 병원 등 응급실 진료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정부는 최근 응급실의 진료제한 현상에 대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복지부에 따르면 응급의료기관 408곳 중 일시적으로 진료제한이 발생한 곳은 5곳으로 1.2%에 해당한다. 병상 측면에서 보면 408개 응급의료기관 중 응급실 병상 운영이 감소한 곳은 28곳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의대 교수들이 사직서를 제출한 지 한 달이 돼 사직 효력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25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 응급실로 환자가 이송되고 있다. 2024.04.25 pangbin@newspim.com |
병사 수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응급실 병상수는 6000개 대비 축소된 병상수는 170개로 약 3%에 해당한다. 특정 시간에 진료제한 메시지를 표출한 기관은 최근 한 주 동안 평균 52곳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정브리핑에서 "비상진료체제는 원활하게 가동되고 있다"며 "의료 현장을 가보라"라고 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도 "응급의료기관이 붕괴된다든지 도미노로 운영이 중단된다고 하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며 "국민의 불안을 증폭시킬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의 인식과 의료 현장은 간극이 존재한다. 통계상 진료제한 발생 비율이 약 1%에 불과하지만 이는 현장에 남아있는 교수들이 최대한 버티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익명을 요청한 지역 국립대병원 교수는 "응급 환자를 한 명 볼 때 다른 의사가 없는 상황"이라며 "이러다가 사고 날 것 같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돈 문제가 아니라 예전에는 전공의도 있고 인턴도 있었는데 일할 사람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궁인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지금도 혼자 당직을 서고 있는데 혼자 일을 하는 현상은 말이 안 되는 현상"이라며 "방금도 심정지 환자 두 명과 심근경색 한 명, 뇌경색 환자 두 명이 1시간 이내에 동시에 왔는데 버티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진료제한 1.2%에 불과하다는 정부 입장에 대해 이 교수는 "병원입장에선 진료를 제한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다"며 "막상 전화하면 안 되거나 실제로 못받는 상황이 일어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진료 제한이 2%라 문제가 없다면 응급실 뺑뺑이 현상이 안 일어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교수들은 정부의 입장과 달리 앞으로 응급실 진료제한 현상을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권역응급의료센터 등은 최중증 환자가 모여 진료 난이도가 높은데 인력이 이탈되는 상황이라 갈 수록 힘들다는 입장이다.
이 교수는 "업무를 남은 교수 인력이 하니까 일부러 들어오는 사람이 없는 것"이라며 "대우받을 필수의료진이 이탈하는 추세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