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서울 지역 오피스텔 소유자 10명 가운데 6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지역 오피스텔 소유자 10명 가운데 6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내 한강변 아파트 모습 [사진=뉴스핌DB] |
15일 한국부동산개발협회가 집계한 '오피스텔 거주가구 특성과 소유자 특성' 분석 결과 오피스텔 소유자의 60%가 50~60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개발협회는 서울 오피스텔 1500개, 약 36만실에 대해 조사했다.
우선 거주가구 특성을 살펴보면 오피스텔 거주 가구의 69.1%는 20~30대 청년층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92.9%는 1·2인 가구, 거주형태는 82.9%가 전월세로 나타났다.
거주 면적은 79.8%가 40㎡ 이하로 1인 가구는 전용 40㎡ 이하 오피스텔 거주비율이 90.3%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소유자 특성의 경우 소유주의 60%가 50대 이상으로 나타났다. 평균 보유기간은 8.8년으로 자가점유 비중은 2.5%로 대부분 임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자본수익률은 2.5%, 소득수익률은 5.6%로 대부분 안정적 월세수입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정책연구실은 주택가격이 급등하던 시기 오피스텔이 투기성 재화로 간주돼 주택 수 산입대상에 포함되면서 매입수요 감소 및 공급 축소가 발생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그간 한국부동산개발협회는 도심 내 청년가구 및 1·2인 가구의 주거사다리 회복을 통한 주거안정 제공을 위해 오피스텔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금융·조세 합리화가 매우 시급하다고 정부 등에 지속 건의해 왔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지난 1·10대책에서 향후 2년간 준공되는 신축 오피스텔을 구입하거나 기축 오피스텔을 구입해 등록임대할 경우 해당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서 제외하는 세제완화 정책을 발표했다.
다만 2023년 12월 31일에 준공되거나, 구축 오피스텔을 구입한 경우 이를 인정받지 못하면서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승배 협회장은 "이번 분석을 통해 오피스텔은 투기재가 아닌 도심 내 임대차시장 안정에 기여하는 임대수익 목적의 투자재임을 다시 한번 분명히 확인했다"며 "지난 1·10 대책은 주거시장에서 오피스텔의 순기능을 인식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규제정책으로 오피스텔 공급(인허가)이 축소됐다는 점에서 신규공급(인허가)을 확대하려면 세제완화 대상을 '2년 내 준공'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공사비 인상을 고려해 금액기준도 현실에 맞게 상향돼야 한다"며 "형평성과 거래활성화를 위해 기축 구입시점 제한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