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스타톡] 문별 "제 음악과 목소리의 재발견이라 하고 싶어요"

기사입력 : 2024년02월20일 07:00

최종수정 : 2024년02월20일 07:00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솔직한 심정으로는 문별의 재발견이지 않을까요? 아직 저를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누군가에게 새로운 걸 들려드린다는 마음으로, 모두에게 저를 알리고 싶어요."

2014년 그룹 마마무로 데뷔해 올해로 10년차를 맞은 문별이 첫 정규 솔로 앨범을 발매한다. 그의 첫 번째 정규앨범 '스타릿 오브 뮤즈(Starlit of Muse)'에는 아티스트로 거듭난 문별의 작품인 12곡이 빼곡하게 담겼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마마무 문별 [사진=RBW] 2024.02.19 alice09@newspim.com

"일단 정규앨범을 발표한다는 것 자체가 가수로서 의미가 커요. 정규앨범을 내면서 저의 정체성을 더 담으려고 노력했어요. 기대도 되고, 설렘도 있지만 걱정도 있죠. 많은 분들이 좋아해주셔야 좋은 음악이 되는 건데, 좋은 음악으로 많은 분들에게 알려지고 싶어요. 그래서 이번 정규가 정말 잘됐으면 좋겠어요(웃음)."

문별에게 있어서 정규앨범은 처음이지만, 솔로 아티스트로서는 다수의 앨범을 발매해왔다. 미니앨범과 달리 정규앨범은 10곡 이상이 수록되기 때문에 그만큼 오랜 시간이 걸린다. 지난해 마마무와 유닛 마마무+로 투어를 한 만큼 바쁜 시간을 쪼개 '스타릿 오므 뮤즈'를 완성시켰다.

"본격적으로 앨범을 준비한 건 마마무 미주투어 하면서였어요. 제가 무조건 2월에 나와야 한다고 했거든요. 솔로로 활동을 하면서 가장 행복했을 때가 '루나틱' 발매했을 때였는데, 그때도 1~2월이었어요. 이번에도 그렇게 행복했던 날을 만들어보고자 한 마음이 있었던 거죠. 또 설이 지나면서 띠의 운세가 좋아진다고 하더라고요. 하하. 그래서 2월로 했죠."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마마무 문별 [사진=RBW] 2024.02.19 alice09@newspim.com

'스타릿 오브 뮤즈'는 '문별(뮤즈)의 작품(별빛)'이라는 의미가 담겼다. 그리스 로마 신화 각 분야의 아홉 여신인 뮤즈를 문별 안의 다채로운 모습으로 투영해 하나의 '뮤즈'로 완성시켰다. 대개 아티스트에게 뮤즈는 영감을 얻는 대상이지만, 문별은 뮤즈를 자기 자신으로 지칭했다.

"사실 데뷔 때부터 제 뮤즈는 팬들이에요. 제가 팬들에게 '나 자신을 사랑하자'라는 말을 많이 했거든요. 그래서 이번에 저 자체를 뮤즈로 삼아보면 어떨까 싶었어요. 저를 뮤즈로 정했을 때, 음악을 펼치면 무슨 노래가 나올지 궁금해졌고, 다양한 걸 해볼 수 있을 거란 생각이 들더라고요. 음악에도 정말 다양한 장르가 있잖아요. 제 안에 있는 여러 자아를 음악으로 펼쳐보려고 했죠."

앨범에는 더블 타이틀곡 '띵크 어바웃(Think About)'과 '터친 앤 무빈(TOUCHIN&MOVIN)'을 포함해 각기 다른 장르의 12곡이 수록됐다. 더블 타이틀곡 역시 다른 장르의 곡이다. '띵크 어바웃'은 포근한 설렘을 노래했다면, '터친 앤 무빈'은 과감한 펑키 곡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마마무 문별 [사진=RBW] 2024.02.19 alice09@newspim.com

"처음부터 더블 타이틀로 하려고 했던 건 아니었어요. '터친 앤 무빈'을 정해놓고, 한 곡을 더 수록하려고 해서 김도훈 대표님께 곡을 부탁드렸는데 '띵크 어바웃'을 주셨어요. 제가 잘할 수 있는 장르였고, '터친 앤 무빈'과 상반된 곡이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준비 과정이 많아서 힘들기도 했지만 재미있었어요(웃음)."

문별은 첫 솔로 정규앨범 발매를 기념한 특별전을 개최했다. 지난 15일부터 20일까지 스페이스 소포라에서 팬들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한 이색 프로모션을 준비하기도 했다.

"전시는 정말 감회가 새로웠어요. 그동안 제가 회사와 이야기하면서 꿈 꿔오고 기획했던 것들이 하나씩 실현되는 걸 보니까 뭉클하더라고요. 첫 번째가 앨범이고, 두 번째가 전시였거든요. 준비된 걸 보는데 뿌듯하고 감동스럽더라고요. 뮤즈라는 어원이 뮤직, 뮤지엄이라는 뜻도 있는데 그걸 담고 싶어서 전시회까지 생각하게 됐어요.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저만의 공연이에요. 하하."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마마무 문별 [사진=RBW] 2024.02.19 alice09@newspim.com

마마무로 활동을 하면서도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넓혀갔다. 이번 앨범에도 작사, 작곡에 참여한 문별은 그간 10년의 활동을 돌아보며 달라진 점에 대해 "성숙해진 것 같다"고 답했다.

"'루나틱'때는 마냥 해맑고 신났던 것 같아요. 신남으로 100% 채워졌다면, 지금은 성숙함이 100%인 것 같아요. 이전에는 김장김치를 담금 다는 만족감이라면, 지금은 잘 담근 김치가 잘 익었다는 100%의 만족감이지 않을까 싶어요(웃음). 예전에는 자존감도, 자신감도 낮았던 것 같아요. 저에 대한 의심도 많았고요. 또 보컬 멤버들 사이에 있다 보니 '나만 왜 래퍼이지?'라는 생각을 많이 했어요. 그래서 보컬 레슨을 꾸준히 받았고 '두 번째 세계'에도 나갔거든요. 그 프로그램이 앞으로 미래에 대해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던 계기가 된 것 같아요."

래퍼에서 보컬로 성장을 했다. 이제는 랩과 보컬 어느 것 하나 부족함 없이 소화할 수 있는 올라운더가 됐다.

"솔직한 마음으로는 '문별의 재발견'이지 않을까요? 제 목소리와 음악이 10년차에 재발견 된 게, 저에게는 큰 의미가 될 것 같아요. 아직 제가 어떤 걸 하는지 모르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해요. 누군가에게 새로운 걸 들려드린다는 생각으로, 모두에게 저를 알리고 싶은 마음이 있어요. 이번 앨범을 내면서 잡은 목표는, 저의 음악성을 인정받는 거예요. 그래서 이 앨범이 사랑받는다면 저에겐 정말 큰 선물이 될 것 같아요."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