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르노리카코리아, 별도법인 기준 최대 실적 경신
'윈저' 뗀 디아지오코리아도 1500억대 매출로 선방
위스키 시장, 2008년 기점 10여년 하락 딛고 반등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2008년 이후 10여년째 내리막길을 걷던 위스키업계가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MZ세대를 중심으로 위스키 열풍이 불면서 시장 침체를 딛고 강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위스키업체 페르노리카코리아는 최대 실적을 달성했고 윈저를 떼 낸 디아지오코리아도 실적 성장을 이어갔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결산법인인 페르노리카코리아의 2022년 회계연도(2022년 7월~2023년 6월) 매출액은 1853억원으로 전년 대비 15.9% 성장했다. 지난 2019년 매각한 기존 임페리얼 법인 실적을 제외한 페르노리카코리아 별도법인 기록으로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51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윈저'를 떼 낸 디아지오코리아도 호실적을 냈다. 디아지오코리아는 2022년 회계연도(6월 결산법인) 매출액은 1534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233억원이다. 해당 실적은 디아지오의 로컬위스키 브랜드 윈저 매출을 제외한 결과다. 앞서 디아지오코리아는 지난해 7월 '윈저'사업부를 매각을 위해 '윈저글로벌'을 독립법인으로 분사했다.
기존 디아지오코리아 윈저의 비중은 50% 수준으로 알려진다. 관련해 윈저 실적을 포함한 디아지오코리아의 2020년도 결산법인(2020년 7월~2021년 6월) 매출액은 1932억원이다. 전체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던 '윈저'를 제외하고도 1500억원대 매출을 내며 실적 성장을 이어간 셈이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6일 서울 강남구 앤드트리메타에서 개최된 발베니 60년 론칭을 기념한 '발베니 헤리티지 전시' 포토콜 행사에서 전세계 71병 한정 생산된 3억원 상당의 60년산 위스키가 공개됐다. 2023.10.06 yym58@newspim.com |
위스키업계에서 최근의 시장 반등은 고무적인일로 평가된다. 국내 위스키시장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여년 넘게 내리막길을 걸어왔기 때문이다. 관련해 위스키 수입액은 2007년 2억7029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속 하락하면서 시장 규모가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그러다 코로나19 사태와 함께 등장한 '홈술' 인기에 힘입어 반등이 시작된 것이다. 지난해 국내 위스키 수입액은 2억6000여만달러로 200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올해 1~8월까지 1억8301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5.7% 늘었다.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말까지 역대 최대 수입액을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젊은 MZ세대 중심으로 위스키 인기가 이어진 점이 주 요인이다. 코로나19 당시 확산했던 홈술 문화로 유입된 위스키 수요가 엔데믹 전환된 이후에도 지속된 것이다. 최근에는 억대에 달하는 초고가 프리미엄 위스키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다. 위스키브랜드 발베니가 이달 초 국내에 2병 들여온 병당 3억원에 달하는 발베니 60년산은 론칭과 함께 완판됐다. 또 페르노리카코리아가 지난 5월 선보인 위스키 '로얄살루트 포시스 오브 네이처 바이 케이트 맥과이어' 1병도 1억2000만원의 가격에도 불구하고 공개 현장에서 곧바로 판매됐다.
업계에서는 국내 주류 문화 변화가 위스키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고 보고 있다. 또한 중저가 제품과 초고가 제품으로 몰리는 '극과 극' 양상도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젊은 세대들이 즐기는 하이볼을 즐기는 수요와 프리미엄 위스키를 수집하는 콜렉터족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위스키는 과거 4050 세대가 마시는 술에서 최근 2030 세대가 즐기는 술로 변화했다"라며 "소맥(소주+맥주) 위주의 주류 문화에서 다양한 주종을 즐기는 방향으로 옮겨온 것이 위스키와 샴페인 시장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