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장관, 인도에 한국 기업 지원 요청
호주와 핵심 공급망·사회·문화 현안 이행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은 13일 인도에서 활동하는 한국 기업에 합당한 관세 부과 기준이 적용되도록 인도 정부 당국에 요청했다.
박 장관은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장관과 한·인도 외교장관 회담을 했다.
두 장관은 K-9 자주포(인도명 바지라)로 대표되는 방산 협력과 함께 디지털, 바이오헬스, 우주를 비롯한 첨단기술 분야, 안정적인 국제 공급망 확보에서 협력을 지속 발전시켜 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 |
박진 외교부 장관이 1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수브라마냠 자이샨카르 인도 외교장관과 한·인도 외교장관 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
두 장관은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을 개선해 교역과 투자를 지속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두 나라 간 경제협력 잠재력을 실현하고 공급망 회복력을 증진하며 호혜적인 혜택을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두 장관은 지난 12일 북한의 신형 고체연료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비롯한 핵・미사일 위협이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국제사회 평화와 안정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고 규정했다. 국제 사회의 단합된 대응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박 장관은 "인도가 G20 의장국으로서 전 지구적 도전 과제 대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 장관은 "한국은 G20 일원으로서 인도의 성공적인 의장국 수임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 |
박진(왼쪽) 외교부 장관이 13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회의 참석을 계기로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 한·호주 외교장관 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외교부] |
또 박 장관은 이날 페니 웡 호주 외교장관과 회담했다. 두 장관은 ▲양국관계 ▲지역과 한반도 정세 ▲인태 전략 ▲실질 협력 등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했다.
북한의 ICBM 발사와 핵·미사일 위협이 한반도와 인태지역, 국제사회 평화와 안정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규정했다.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대응이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다.
두 장관은 인태지역에 대한 시각이 유사하며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해 양국 간 연대와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박 장관은 "국방·방산과 핵심광물 공급망, 사회·문화 협력 등 현안들을 충실히 이행해 나가자"고 했다.
역내 대표적으로 가치관을 공유하는 두 나라가 2021년 '포괄적 전략 동반자'(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로 관계를 격상한 이후 고위급 교류가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다양한 분야에 걸친 협력을 통해 양국 관계를 한층 더 공고히 발전시켜 나가자는 데 뜻을 함께 했다.
박 장관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계기로 지난 5월 한·호주 정상회담과 2023 한·태평양도서국 정상회의 때 리차드 말스 호주 부총리 방한, 지난 7월 12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 계기 AP4(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 정상 회동을 통해 긴밀한 소통과 공조가 이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외교장관 회담은 지난해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담 이후 약 1여 년 만에 개최됐다. 그간 다방면에서 확대 중인 협력을 지속 강화하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