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뉴스핌 채널 추가
뉴스핌 채널 추가 안내

봇물처럼 쏟아지는 이통3사 특화 요금제...내게 유리한 건?

기사입력 : 2023년06월04일 08:04

최종수정 : 2023년06월04일 08:04

청년 겨냥 브랜드 내놓은 이통3사
여전히 알뜰폰 못 이겨, 혼란 가중 지적도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SK텔레콤은 만 34세 이하의 청년을 대상으로 5G 요금제를 대폭 확대하고 요금제도 4만원대로 대폭 인하했다. KT는 20대 고객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2배 혜택을 제공하며, LG유플러스는 HD 영상을 보더라도 끊기지 않는 3Mbps의 데이터 속도를 유지한 5G 중간요금제를 내놓았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3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SKT 5G 신규요금제 신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핌DB]

연초부터 청년요금제부터 시니어 요금제까지 다양한 5G 요금제가 쏟아지고 있다. 정부가 고물가 부담의 원인으로 통신사를 저격하며 요금제 다양화를 요구하고 있는 탓이다. 특히 합리적 소비에 강한 청년층을 공략하려는 이통3사의 경쟁이 치열하다. 

◆"데이터 많이 주세요" 가격은 줄이고 혜택 늘리고

SK텔레콤의 '0(영)청년 요금제'는 이통 3사 중 가장 넓은 범위의 청년 세대를 포함한다. 만 34세 이하를 대상으로 출시된 요금제는 기본 데이터 제공량이 일반 요금제 보다 20~50% 많다. 기존 LTE 사용 고객을 겨냥한 온라인 전용 청년 상품 '0청년 다이렉트 플랜'은 일반 5G 청년 요금제와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면서 월 요금이 30%가량 저렴하다.

SK텔레콤 측은 "월 4만3000원 요금제(0 청년 43)은 만 19세 이상이 사용하는 이통 3사 5G 요금제 중 가장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KT의 'Y덤'은 별도 가입 절차 없이 기존 데이터 혜택을 2배로 적용받을 수 있다는 것이 차별점으로 부각된다. 만 29세 이하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고객 범위는 다소 좁지만 국내 이통3사 가운데 가장 많은 규모의 데이터가 제공된다. 

LG유플러스는 구직자 혜택에 주목했다. 취업 정보를 확인하거나 온라인으로 지원서를 제출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사용에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제로레이팅'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중간요금제 중 유일하게 데이터 이용속도(QoS)가 3Mbps로, 유튜브 영상을 고화질로 볼 수 있는 정도의 속도를 유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5G요금제 사용자의 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5.8GB다. 이를 토대로 30GB 이상 요금제를 정리해봤을 때 SK텔레콤의 '0 청년 다이렉트 42(36GB, 4만2000원)'이 가장 저렴하다. 

앞서 SK텔레콤·KT·LG유플러스는 각각 청년들의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는 담당 조직, 브랜드를 신설하고 적극 화답했다. SK텔레콤은 연초 '청년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고 청년 브랜드 '0(Young)' 적용 대상을 30대 중반으로 확대했다.

KT는 대학생 마케팅 서포터즈를 선정하고 그들이 직접 뽑은 키워드를 대상으로 20대 혜택 'Y덤'을 출시했다. LG유플러스도 연초 20대 전용 브랜드 '유쓰'를 론칭하고 7월 전용 다이렉트 요금제 출시를 앞두고 있다.

시니어 요금제는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이용자 특성을 반영해 평균 가격은 4만원 대, 데이터 제공량은 8~15GB 정도다.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가격이 낮아진다. 80세 이상 고령층의 부담은 월 1만원 수준으로 내려간다. 월 평균 3만9000~4만4000원의 요금에 선택약정(25%)과 기초연금수급자 대상 복지 할인(월 최대 1만2100원) 등을 적용한 것이다.

이통 3사 중에는 LG유플러스의 5G 시니어 C형 요금제(80세 이상)가 월 1만7150원으로 가장 저렴한 혜택을 제공한다.

◆"청년 범위 넓혀달라" 여전히 비싼 기본요금

신규 요금제에 대한 가장 큰 불만은 청년 범위에 들어가지 못하는 30대 층에서 관찰됐다. 특히 SK텔레콤의 청년 범위에 대한 다른 통신사 이용 고객들의 불만이 컸다. 현재 SK텔레콤만 청년 요금제를 만 34세 이하로 지정하고 있으며 KT와 LG유플러스는 만 29세 이하로 범위가 한정적이다.

연초부터 쏟아진 5G 요금제의 다변화가 오히려 혼란을 가중시킨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데이터를 많이 쓴다는 것을 알지만 통신사가 제공하는 데이터량이나 속도가 자신의 소비 습관과 맞는지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박윤규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지난 4월 '통신요금정책 개선방향 논의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용자들이 통신요금에 대해 더 많이 알고, 더 많이 비교해 선택해야 이용자의 선택을 받기 위한 통신사들 간 경쟁이 더 활성화될 것"이라며 관련 정책 추진의 의지를 밝혔다.

결과적으로 가격 면에서는 알뜰폰 요금제를 이기지 못하는 것 아니냐는 반응도 적지 않다. 기존 통신사 망을 빌려 그대로 제공하기 때문에 통화 품질이나 데이터 속도 면에서도 이통3사의 요금제와 유사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알뜰폰을 버릴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소비자연맹 4월 조사에 따르면 올해 이통3사가 출시한 중간요금제는 결국 기존 요금제의 최저 가격보다는 높게 형성되어 있다. KT와 LG유플러스의 중간요금제 중 가장 저렴한 상품은 6만1000원(데이터 제공량 각각 30GB, 31GB)이고, SK텔레콤은 5만9000원(24GB)이다.

이통3사가 청년, 시니어 등 다양한 연령층을 공략하기 시작한 것은 정부의 통신비 인하 압박과 알뜰폰 시장 견제를 위해서다. 고물가 시대 소비자들이 고정 지출인 통신비를 절감하고자 알뜰폰, 자급제 등 통신사를 거치지 않은 저렴한 요금제를 선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5월 한 달간 이통 3사에서 알뜰폰으로 갈아탄 가입자수는 11만7513명이다. 알뜰폰 출시 11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업계 관계자는 "특히 합리적으로 소비하는 청년층을 공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며 "다양한 혜택과 서비스가 앞으로도 많이 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bean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신유빈-전지희, 북한 꺾고 金... 한국 21년만에 '금빛 스매싱'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남북이 33년 만에 녹색테이블 위에서 금메달을 놓고 만났다. 신유빈-전지희 조는 북한을 꺾고 한국 탁구에 '21년 만의 금메달'을 안겼다. 아시안게임 탁구에서 남과 북이 결승에서 겨룬 건 1990년 베이징 대회 남자 단체전 이후 33년 만이다.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한 건 2002년 석은미-이은실 조가 복식 금메달을 땄던 부산 대회 이후 21년 만이다. [항저우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유빈이 2일 열린 아시안게임 탁구 여자 복식 결승전에서 서브를 넣고 있다. 2023.10.2 psoq1337@newspim.com 신유빈-전지희 조는 2일 중국 항저우의 궁수 캐널 스포츠파크 체육관에서 열린 항저우 아시안게임 탁구 여자 복식 결승전에서 북한의 차수영-박수경 조에 4-1(11-6 11-4 10-12 12-10 11-3)로 이겼다. 이번 대회에서 남과 북이 결승에서 금메달을 놓고 대결을 펼친 건 전 종목에 걸쳐 처음이다. [항저우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유빈(왼쪽)과 전지희가 2일 열린 탁구 여자 복식 결승전에서 승리한 후 얼싸안고 기뻐하고 있다. 2023.10.2 psoq1337@newspim.com 신유빈은 이번 대회에서 여자 단식, 혼합 복식, 여자 단체전에서 3개의 동메달에 이어 금메달까지 챙기며 참가한 모든 종목에서 입상했다. 또 전지희와 짝을 이뤄 2021 도하 아시아선수권대회 복식에서 금메달을 수확하고 두 번째 메이저 대회 금메달을 거머쥐게 됐다. [항저우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유빈이 2일 열린 아시안게임 탁구 여자 복식 결승전에 앞서 북한 선수와 악수하고 있다. 2023.10.2 psoq1337@newspim.com 1게임에서 신유빈-전지희 조는 기선제압에 성공했다. 신유빈-전지희 조는 한 템포 빠른 공격을 앞세워 11-6으로 1게임을 잡았다. 2게임에서도 전지희의 예리한 백핸드와 신유빈의 파워 넘치는 포핸드로 연속 득점했다. 결국 11-4로 쉽게 따냈다. 3게임에서 북한은 공격이 조금씩 살아났다. 접전 끝 10-10 듀스 상황에서 한국의 범실로 내리 2점을 올리며 승리했다. 전열을 정비한 신유빈-전지희 조는 4게임에서 9점에 먼저 도착했다. 북한의 추격을 허용, 10-10 듀스가 됐다. 북한의 예리한 역습을 버텨낸 신유빈-전지희 조는 내리 2점을 뽑아내며 4게임을 따냈다. [항저우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유빈(왼쪽)과 전지희가 2일 열린 아시안게임 탁구 여자 복식 결승전에서 승리한 후 눈물을 흘리고 있다. 2023.10.2 psoq1337@newspim.com 신유빈-전지희 조는 5게임에서 5-0으로 앞서며 승기를 잡았다. 전의를 상실한 북한을 몰아붙여 11-3으로 완승했다. 21년 만에 한국에 탁구 금메달을 선물한 신유빈과 전지희는 서로를 얼싸안고 기뻐했다. [항저우 로이터 =뉴스핌] 박상욱 기자 = 신유빈(오른쪽)과 전지희가 2일 열린 탁구 여자 복식에서 우승한 후 태극기를 들고 기뻐하고 있다. 2023.10.2 psoq1337@newspim.com 신유빈은 준결승에서 일본을 이긴 뒤 "북한이 올라올 경우 데이터가 좀 없다 보니까 경기에 들어가서 상대가 어떤 스타일인지를 파악해야 하니, 그건 좀 어려운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의 차수영과 박수경은 준결승에서 인도를 꺾은 후 "1등 한 다음에 말하겠습니다. 이긴 다음에 말하겠습니다"라고 한국과의 결승전 필승 각오를 밝혔다.  '삐약이' 신유빈은 어릴 적부터 탁구 신동으로 불렸다. 도쿄 올림픽에서 입상하지는 못했지만 차세대 에이스로 주목받았다. 2021년 휴스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손목 피로골절 부상으로 중도 기권하는 시련을 겪었다. 두 차례나 수술을 받고 인고의 재활을 거쳐 한국 여자탁구의 에이스로 성장했다. 신유빈은 전지희라는 띠동갑 언니를 만나며 세계적인 복식 강자로 떠올랐다. 지난 5월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중국의 주전 복식조인 쑨잉사-왕만위 조를 준결승에서 물리치는 파란을 일으키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psoq1337@newspim.com 2023-10-02 20:28
사진
이른 '세리머니' 하다 역전패...한국 롤러 남자 계주 은메달 [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이른 김칫국 마시기에 메달 색깔이 금에서 은으로 바뀌었다. 한국 롤러스케이트 스피드 남자대표팀이 너무 이른 '우승 세리머니'로 금메달을 눈앞에서 놓쳤다. 최인호(논산시청), 최광호(대구시청), 정철원(안동시청)으로 구성된 대표팀은 2일 중국 저장성 항저우 첸탕 롤러스포츠 센터에서 열린 3000m 계주 결승에서 1위로 달리다 결승선에서 대만에 0.01초 차이로 역전을 당했다. 한국 롤러스케이트 스피드 남자대표팀 마지막 주자(오른쪽)가 3000m 계주 결승선에서 팔을 들고 '우승 세리머니'를 하고 있는 동안 대만 선수가 왼발을 들이밀며 1위로 골인하고 있다. [사진 = 스포티비 중계화면 캡처] 한국은 마지막 바퀴를 돌 때까지만 해도 선두를 달렸다. 한국의 마지막 주자는 승리를 예감하고 결승선을 통과하기 직전 우승을 예감하고 허리를 펴고 두 팔을 번쩍 들어 올렸다. 뒤에 있던 대만 선수가 왼발을 쭉 내밀며 간발의 차로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우승으로 착각하고 '태극기 세리머니'에 나섰던 한국 선수들은 뒤늦게 공식 기록을 확인한 뒤 당혹감을 숨기지 못했다. 이후 공동취재구역(믹스트존)에서도 기자들의 취재 요청에 응하지 않은 채 울먹이며 경기장을 빠져나갔다. psoq1337@newspim.com 2023-10-02 12: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