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뉴스핌 채널 추가
뉴스핌 채널 추가 안내
경제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작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49만개 늘었지만…청년층·도소매업 '고전'

기사입력 : 2023년05월26일 12:00

최종수정 : 2023년05월26일 13:51

통계청, 2022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동향 발표
건설업, 보건·사회복지, 제조업 등에서 고른 증가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지난해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49만1000개 늘었지만 세대간 격차는 뚜렷했다.

30대 이상 일자리는 늘었지만, 20대 이하는 크게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제조업의 중심인 도소매업에의 일자리 감소가 뚜렷했다. 

◆ 작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2045만6000개…전년비 49만1000개↑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4분기(11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45만6000개로 전년동기대비 49만1000개 증가했다. 

2022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통계청] 2023.05.26 jsh@newspim.com

전년동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417만6000개(69.3%),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56만4000개(17.4%)로 나타났다.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71만7000개(13.3%), 기업체 소멸 또는 사업 축소로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22만5000개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보면 전년동기대비 건설업(12만1000개), 보건·사회복지(7만8000개), 제조업(7만2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건설업은 전문직별 공사업(11만4000개), 종합건설업(7000개)에서 모두 늘었다. 보건·사회복지는 사회복지 서비스업(4만5000개)과 보건업(3만3000개)에서 증가했다.

2022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통계청] 2023.05.26 jsh@newspim.com

일자리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전자통신(1만8000개), 기계장비(1만3000개) 등이다. 반면, 섬유제품(-3000개), 고무·플라스틱(-2000개) 등에서 감소했다. 

소분류별로는 반도체(7000개), 특수 목적용 기계(7000개), 기타식품(6000개) 등에서 늘었다. 

◆ 20대 이하 일자리 3만6000개 감소…도소매·공공행정 감소 뚜렷

지난해 4분기 늘어난 일자리를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전년 동기 대비 23만2000개, 여성이 26만개 각각 증가했다. 

남성은 건설업(8만5000개), 제조업(4만9000개), 정보통신(3만1000개) 등에서 늘었다. 여성은 보건·사회복지(6만6000개), 건설업(3만7000개), 숙박·음식(3만2000개) 등에서 증가했다. 

2022년 4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통계청] 2023.05.26 jsh@newspim.com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28만4000개), 50대(14만7000개), 40대(6만3000개), 30대(3만3000개)에서 늘어난 반면, 20대 이하(-3만6000개)는 감소했다. 

특히 60대 이상은 보건·사회복지(6만개), 건설업(5만6000개), 제조업(5만개) 등에서 증가했다. 반면 20대 이하는 도소매(-2만2000개), 사업·임대(-1만6000개), 공공행정(-1만개) 등에서 감소했다.

조직형태별로는 회사법인(41만3000개), 회사이외의 법인(4만6000개), 개인기업체(2만6000개), 정부·비법인단체(7000개)에서 모두 증가했다. 

j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상장 직전 한 종목 대량매수는..." 이석우, 김남국 의혹 견해는?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이석우 대표가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 4차 전체회의에서 '상장 직전에 한 종목을 대량으로 매수하는 행태가 가장 이상하다'고 발언한 것으로 1일 확인됐다.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은 가상자산 논란으로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무소속 의원 관련 의혹을 조사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석우 업비트 대표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05.31 leehs@newspim.com 한 조사단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사견임을 전제로 '가장 이상한 건 상장 직전에 어떤 한 종목을 그렇게 많이 살 수 있다는 게 가장 이상하다'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이 대표가 직접 김 의원을 짚진 않았지만, 상장 직전 마브렉스(MBX) 코인을 대량으로 매수한 김 의원의 거래를 염두에 두고 이같이 답했다는 것이다. 그에 따르면 조사단은 이 대표에게 '조직의 수장인 동시에 개인적으로는 코인 전문가니까 전문가로서 어떻게 보느냐'고 물었다. 위 단원은 "일반인이 봐도 이상한데 전문가도 같은 이야기를 하고, 그런 생각을 한다면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거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떻게 보면 법적으로 책임져야 하는 조심스러운 자리일 수 있는데 그정도 이야기한 거면 상당히 많이 이야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조사단원은 "전날(31일) 회의는 일반론적으로 예시를 드는 방식으로 이뤄졌다"며 "우리(조사단)는 김 의원 사례에서 예시를 따왔다"고 설명했다. 이는 업비트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상 고객의 거래 정보를 외부에 이야기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다. 해당 조사단원은 "누군가 수십억원의 코인을 클레이스왑을 통해서 테더 코인과 클레이페이 코인으로 반반씩 교환하는 것을 두고 (이 대표가) 국제 보고서 등에 따르면 코인 거래에 있어 자금세탁이 충분히 의심될 수 있는 그런 거래라고 직접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장에서는 양측 다 김 의원의 자금세탁 의혹 가능성에 공감하는 그런 대화를 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앞서 조사단 단장인 김성원 의원은 전날 4차 회의 후 브리핑에서 "업비트 측에선 '김남국 의원의 클레이스왑을 통한 거래가 일반적인 시각, 전문가적 입장에서 봤을 때 자금세탁이 매우 의심되는 비정상적 거래라고 보인다'고 답변했다"고 밝혔다. 업비트(두나무) 측도 전체회의 후 "두나무는 특정인에 대해 명시적으로 언급한 사실이 없고, 일반적인 사례에 대해 설명드렸음을 말씀드린다"고 입장을 밝혔다. 다만 김 의원 측은 업비트의 공식 입장을 인용하며 "국민의힘의 자금세탁 주장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고 반박했다. heyjin@newspim.com 2023-06-01 10:37
사진
'10% 적금까지 나왔다' 2금융권 금리인상 '속앓이'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새마을금고 연신내점이 지난 5월 한 달 동안 정기적금을 특별 판매하면서 연 10% 금리를 제공해 화제를 모았다. 보험 상품 가입을 묶어 파는 상품이지만, 워낙 고금리인데다 가입 한도도 없어 소비자의 큰 관심을 모았다.  상호금융과 저축은행 등 2금융권 예·적금 금리가 오르고 있다. 기본금리를 낮게 설정한 후 각종 우대조건을 달아 고금리 예·적금 상품으로 포장하는 게 아니라 기본금리 자체를 인상하는 추세다. 1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 금리(만기 1년)는 4.00%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지난해 12월 5.53%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떨어졌다. 지난 4월1일 3.77%까지 내려온 후 바닥을 찍고 오름세로 돌아섰다.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은 OK저축은행이다. OK저축은행 'OK e-안심앱플러스 정기예금' 금리는 4.51%다. 페퍼저축은행 '페퍼스 회전정기예금'은 4.50%, 상상인저축은행 'e-정기예금'은 4.20%, 다올저축은행 'FI 리볼빙 정기예금(비대면)'은 4.10%, 한국투자저축은행 '비대면회전정기예금'은 4.00%, 웰컴저축은행 'e-정기예금'은 4.00%, SBI저축은행 정기예금은 3.60% 등이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3.06.01 ace@newspim.com 정기적금 금리도 최근 상승 추세다. 이날 기준 저축은행 1년 만기 정기적금 평균 금리는 3.51%다. 지난 2월1일 3.72%로 고점을 찍고 4월1일 3.45%까지 떨어졌던 적금 금리가 상승 흐름을 탔다. 새마을금고는 지역별 금고마다 차이가 있으나 1년 만기 기준 정기예금과 정기적금 금리가 각각 5.00%, 10%까지 올랐다. 2금융권에서는 금리를 올린 배경으로 시중은행으로의 자금 이탈을 꼽는다. 시중은행과 2금융권 간 예·적금 금리 차이가 크지 않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보이는 시중은행으로 고객이 돈을 옮겼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저축은행 수신 잔액(말잔)은 지난 2월 118조9520억원에서 지난 3월 116조431억원으로 한 달 사이에 2조9098억원 감소했다. 새마을금고 수신 잔액은 같은 기간 3조1273억원 줄었다.  2금융권 관계자는 "2금융은 1금융에 비해 예금과 적금을 통한 자금 조달 비중이 크다"며 "수신 잔액이 줄면 유동성 우려가 커질 수 있어 예·적금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다만 (대출) 법정최고금리가 정해져 있어 예·적금 금리를 올리면 예·대 마진은 줄어든다"고 우려했다.   ace@newspim.com 2023-06-01 14:5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