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평사, BK·WM·IB 등 전방위 부진 경고
부동산 시장 급랭 영향에...PF 우려↑
운용 채권 상승 가능성이 그나마 '빛'
[서울=뉴스핌] 김준희 기자 = 경기 침체와 자금경색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올해도 증권업 전망은 밝지 않다. 부동산 시장 급랭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기반 유동화증권이 증권업계 잠재적 폭탄으로 주목받는다. 신용평가사들은 증권업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내놓으면서도 리스크 관리 여부에 따라 손실 수준은 차별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 "경기 침체 지속된다"...BK·WM·IB 전방위 부진 예고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가·한국기업평가·나이스신용평가 등 국내 3대 신용평가사는 최근 증권업에 대한 산업 전망을 잇달아 '부정적'으로 제시했다. 높은 금리 수준과 투자심리 위축 등 비우호적 영업환경이 지속되면서 이익창출력은 저하되고 투자손실은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위탁매매(BK) 부문 실적 감소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거래대금은 증시 부진 영향으로 내리막을 타더니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지난 11월 증시 반등과 함께 소폭 상승하며 하락세는 일단락 했지만, 고금리와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실적 개선 기대감은 낮다.
이재우 한국신용평가 금융·구조화평가본부 수석연구원은 "거래대금, 투자자예탁금, 신용공여금 등 관련 지표가 하방을 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올해는 2022년 하반기 수준에서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산관리(WM) 부문도 신규 금융상품 판매 부진으로 영업이 위축된 상태다. 신규 투자처 발굴이 어려운 데다 금융상품에 대한 관심도 낮아졌다. 다만 이미 확보한 고객을 대상으로 안정적인 수수료 수익을 내고 있고, 채권 등 중저위험 투자 수요도 일부 존재한다.
가장 우려가 큰 사업 부문은 투자은행(IB)이다. 그동안 증권사들의 폭풍 성장을 이끌어온 동력이었지만 그만큼 감소 여파도 크다. 지난해에도 급격한 금리 인상 이후 IB 신규 거래는 번번이 무산됐다. 기업공개(IPO) 시장에서도 조(兆) 단위 대어들이 상장을 포기하며 수수료 수익이 급감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재작년 실적이 너무 좋았던 탓에 못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지 증권사들의 지난해 실적도 나쁘지는 않았다"고 평가하면서도 "올해는 지난해보다 좋을 사업 부문이 없어 증권사들이 인건비부터 줄이며 경기침체에 선제 대응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나마 호실적을 기대할 수 있는 부문은 채권 운용 부문이다.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급격한 금리 인상 여파로 지난해 증권사들의 채권평가처분손실은 매 분기 1조원 이상 발생했다. 올해는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해 금리 인상 속도 둔화가 예상되는 만큼 채권 관련 손익도 개선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2.12.30 hkj77@hanmail.net |
◆ 부동산 PF가 최대 변수... '채무보증' 증권사, 유동성·신뢰성 위기
올해 증권업의 가장 큰 변수는 부동산 경기 침체다.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 PF유동화증권 차환 위험이 커지는 만큼, 채무보증을 적극 제공한 증권사 유동성과 자본신뢰성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
당장 둔촌주공아파트(올림픽파크 포레온)의 청약 흥행 실패도 PF 관련 채권 차환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 둔촌주공의 경우 KB증권과 한국투자증권 등의 주관으로 7321억원 규모의 PF 관련 채권을 조달했다. 부동산 미계약이 발생한다면 채권 차환이 어려워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송태준 한국기업평가 IS실 실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도 염두에 두고 모니터링할 계획"이라며 "그 경우 증권사가 부실화된 PF 익스포저를 최종적으로 떠안게 돼 유동성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기평에 따르면 국내 23개 증권사의 부동산 PF 노출 규모(익스포저)는 지난 9월 말 기준 24조3000억원이다. 자기자본의 37% 수준이다. 부실 위험이 높은 브릿지론과 중후순위 익스포저 규모는 각각 6조8000억원, 12조2000억원에 이른다.
부동산 경기가 급랭할 경우 대형사보다는 부동산 익스포저가 높은 중형 증권사가 더 위험하다. 이에 금융당국은 PF 비중이 높은 중소형 증권사를 중심으로 부동산 PF 익스포저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 수석연구원은 "부동산PF에 다른 건전성 저하는 전방위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나 변제순위 구성과 지역 분산 등 리스크 관리 수준에 따라 손실 수준은 차별화될 것"이라며 "브릿지론, 중후순위 본PF 등 고위험자산 선호도가 높았던 회사의 경우 손실 위험에 노출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zuni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