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
수출 1% 증가…수입 5.8% 늘어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지난 3분기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로 한국경제가 0.3% 성장했다. 지난 2분기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수출은 1% 증가로 전환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에 따르면 지난 3분기 GDP는 전기 대비 0.3%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 성장했다.
3분기 GDP 증가는 민간소비와 설비투자가 이끌었다. 3분기 민간소비는 전기대비 1.9% 증가했다. 민간소비의 성장 기여도는 0.9%포인트다. 승용차 등 내구재와 음식·숙박 등 서비스 등에서 소비가 늘었다. 다만 지난 2분기 민간소비가 2.9% 증가했다는 점에서 소비 증가세 둔화가 감지된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 중심으로 전기대비 0.2%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비주거용 건물건설이 늘어 전기대비 0.4%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늘며 전기대비 5% 증가했다. 설비투자 GDP 성장 기여도는 0.4%포인트다.
지난 2분기 -3.1%를 기록했던 수출은 지난 3분기 1% 증가로 전환했다. 반도체 수출이 줄었으나 운송장비와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했다.
수입은 원유와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5.8% 증가했다.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 성장 기여도는 -1.8%다. 수입이 크게 증가한 부분이 한국경제 성장 발목을 잡았다는 의미다.
3분기 GDP 경제활동별로 보면 제조업은 감소했고 서비스업은 증가했다. 농림어업은 축산업 중심으로 5.5% 증가했다. 제조업은 컴퓨터와 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줄어 1.0% 감소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늘어 1.8%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등에서 늘어 0.7% 증가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GDP 증가에도 교역조건 악화로 1.3% 감소했다.
![]() |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 만에 6%대로 치솟았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로 전년동월대비 6.0% 상승했다.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4% 올랐으며 기초적인 물가 상승률을 나타내는 근원물가(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상승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장을 보는 시민들의 모습. 2022.07.05 yooksa@newspim.com |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