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적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 지원…다양한 분석 서비스 제공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디지털 플랫폼 정부 시대, 데이터 기반의 일하는 방식 대전환의 일환으로 공공부문에 데이터 분석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이 구축된다.
![]() |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데이터의 수집부터 저장, 정제, 분석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구축에 착수한다고 15일 밝혔다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해 각 공공기관이 데이터 분석시스템을 개별 구축하지 않아도 고성능의 분석자원을 할당받아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을 지원하게 된다.
그간 행안부는 '혜안' 시스템을 통해 중앙부처와 자치단체의 데이터 분석을 지원했으나 노후화된 시스템과 제한적인 분석자원으로 다양한 분석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행정업무망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행정업무망 접근이 어려운 공공기관(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산하기관, 연구기관 등)에서는 서비스의 제한적 이용이 불가피했다.
이번에 구축되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기존 '혜안'시스템을 가상화(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서비스 이관구축)하고 업무망 중심의 서비스를 인터넷망(공공기관 수용)까지 확대하여 사회관계망(웹소셜) 분석, 온라인 분석 및 표준분석모형(모델) 등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일반 사용자부터 데이터분석 전문가까지 수준별로 맞춤형 분석환경도 제공하는 것도 특징이다. 별도로 운영되고 있는 기존 '공동활용데이터 등록관리시스템' 등 유관 시스템도 유기적으로 연계·통합한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내년 3월까지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 기초환경 조성사업을 마치고 2024년까지 단계적으로 분석자원 제공 자원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김철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장은 "새롭게 구축되는 '범정부 데이터 분석시스템'은 기존의 업무 형태에도 혁신적 변화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정부의 역량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