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소방, 전기차 화재 재연실험 실시
질식소화덮개·냉각수조 등 방법 강구
향후 진화방안 매뉴얼·동영상 제작·배포
[서울=뉴스핌] 최아영 기자 = 서울시 전기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5만대를 넘어선 가운데 전기차 관련 화재도 증가하고 있어 서울시가 대책마련에 나선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전기자동차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하기 위해 화재 재연실험을 실시했다고 16일 밝혔다.
![]() |
전기차 화재 재연실험 모습. [사진=서울시] |
전기차 화재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 화재와 달리 '배터리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는 등 일반적인 방법으로 진화되지 않는다. 실제로 지난 4일 부산 남해고속도로에서는 전기차가 요금소 충격 흡수대를 들이받고 불이 났으나 신속 진화에 실패해 운전자 등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이에 본부는 15일과 16일 이틀간 전기차 화재의 특성을 고려해 다양한 진화법을 적용하기 위해 전기차 화재 재연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에는 국립소방연구원 및 한국소방기술원 관계자 등이 참석했으며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를 제공했다.
실험에 적용된 화재진압방법은 ▲대량방수에 의한 냉각소화 ▲질식소화덮개 설치 후 방수 ▲냉각수조를 활용한 진화 등이다. 각 방법들의 효과성 검증 및 실제 적용 가능 여부 등을 확인했다.
본부는 이번 실험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와 실험결과를 정리해 서울소방 뿐 아니라 타 지자체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 및 동영상을 제작·배포할 계획이다.
최태영 소방재난본부장은 "전기차 보급이 보편화되는 만큼 안전에 대한 해법도 필요하다"며 "이번 실험을 토대로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younga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