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월가 큰손들이 농지를 공격적으로 사들이고 나서 주목된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은 것은 물론이고 상승폭이 더욱 확대되자 헤지에 나섰다는 해석이다.
부동산이 주요 자산들 가운데 인플레이션 헤지에 효과적인 데다 농산물 가격이 가파르게 치솟는 상황도 농지의 투자 매력을 높인다는 분석이다.
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크게 부각되면서 기관 투자자와 억만장자들이 농지 매입에 잰걸음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캐나다의 캘거리에 소재한 자산운용사 베리패스 팜랜드 파트너스의 스티븐 존스턴 파트너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최근 6개월 사이 모든 고객들이 인플레이션 향방에 대한 문의를 빠뜨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업체는 캐나다 서부 지역의 농지 9만에이커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몬트리올에 위치한 피에라 코목스 파트너스도 같은 목소리를 냈다. 전체 운용 자산 13억달러 가운데 3분의 2 가량을 미국과 호주의 농지에 베팅한 업체는 고객들에게도 인플레이션 헤지를 위해 농토 매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브라질의 임야 [사진=블룸버그] |
이와 별도로 미국 부동산 전문 잡지 랜드 리포트에 따르면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FT) 창업자가 개인 포트폴리오에 농지를 대량 사들였고, 대학 기금과 연기금 펀드 역시 농지 매입에 뛰어들었다.
캘리포니아의 아몬드 농장부터 밀과 아마 등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캐나다의 농토까지 큰손들의 투자 열기가 후끈 달아올랐다.
미국 농무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농지 가격은 1에이커 당 3380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 뛰었다.
기관 투자자와 자산가들이 농지에 적극적인 '입질'을 하고 나선 데 대해 시장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가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한다.
이와 함께 금융시장과 상관관계가 지극히 낮은 농지의 특성상 변동성이 치솟는 상황에 피할 곳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퍼듀 대학의 토드 큐드 이코노미스트는 "농지는 주식과 채권을 포함한 전통적인 자산과 상관관계가 매우 낮다"며 "이와 동시에 역사적으로 인플레이션과 매우 강력한 상관관계를 형성해 부자들 사이에 인기가 높다"고 전했다.
농지 이외의 부동산 자산으로도 뭉칫돈이 밀려들고 있다. 이날 CNBC는 은퇴자들을 중심으로 인플레이션 헤지와 정기적인 투자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들이 리츠(REITs, 부동산투자신탁) 시장에서 골드러시를 이루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파트부터 상업용 오피스와 쇼핑몰, 물류 센터까지 다양한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를 찾는 수요가 연일 가파르게 치솟는다는 얘기다.
이미 리츠 시장은 뉴욕증시보다 높은 수익률을 올렸다. 펀드 평가사 모닝스타에 따르면 연초 이후 리츠 인덱스가 33.3% 급등해 S&P500 지수 상승률인 27.2%를 크게 앞질렀다.
리츠의 배당 수익률도 3%로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1.42%를 두 배 이상 웃돌았다.
부동산 투자 열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지난 10월 6.2% 치솟은 데 이어 11월 6.8% 급등, 인플레이션을 둘러싼 경계감이 투자 수요를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부 국가는 금융권과 자산가들의 농지 투자가 달갑지 않다는 표정이다. 캐나다의 농업 지역인 서스캐처원 주정부는 연기금의 농지 투자를 금지시키는 법안을 시행중이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