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센코(대표이사 하승철)는 LG유플러스(대표 황현식), (사)대한산업안전협회(협회장 박종선)와 함께 디지털트윈 기반의 '통합 환경·안전·보건 관리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대응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추진됐다. 중대재해처벌법은 내년 1월 말부터는 50인이상 사업장 약 5만여 개가 우선 규제 대상이 되고, 2024년 1월부터는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 추가적으로 적용된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경우 인력과 자금력의 한계로 처벌에 대한 압박이 커진 상황에서 관련 플랫폼 개발을 통해 사업자들의 부담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사업장의 공정, 설비, 안전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3D시각화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 및 사고발생시 즉시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솔루션이다.
중소기업, 개인사업자가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보건 확보의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환경·안전·보건 분야의 법정 의무교육, 안전진단, 안전점검의 표준메뉴얼과 작업수칙 등을 디지털화되고 클라우드화된 자동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고 반복되는 오프라인 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동화, DB화 기능을 제공한다.
각종 센서, CCTV, 공간 3D모델링 등을 활용해 각 사업장을 디지털 트윈으로 전환해 작업자의 안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한편, 사고발생 감지 시 미리 정해져 있는 자동 표준운영절차(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에 따라 사내에 즉시 사고전파를 하고 119/112 등 긴급신고까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능을 중소기업, 개인사업자가 비용부담을 최소화해 이용할 수 있도록 구독형으로 제공한다는 방침이며, 내년 하반기 제공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센코 하승철 대표는 "당사는 국내 유일의 전기화확식 가스센서 기술과 3D모델링 등 디지털 트윈 기술을 공급할 계획이다"라며 "안전한 작업장 조성에 필요한 차별화된 솔루션을 꾸준히 개발하고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 조원석 전무는 "5G, 디지털트윈 등 발전하는 ICT 기술을 활용해 사람이 인지하기 어려운 위험한 상황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국민안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대한산업안전협회 김창도 사업총괄이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계기로 첨단 재해예방시스템의 개발 및 보급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안전과 IT기술의 융합으로 고도화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전한 사업장 및 사회구축에 앞장서겠다"고 설명했다.
![]() |
[로고=센코] |
ssup82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