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위한 브릿지 전원으로 LNG발전 급증
하루 10톤 규모 포집…울산 제4복합발전소 실증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정부와 한국전력공사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에 대한 이산화탄소(CO2) 포집기술(CCS) 도입을 위한 실증에 최초로 나선다.
탄소중립을 위한 브릿지 전원으로 LNG 발전이 2034년 전력 설비 용량의 30.6%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LNG 발전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것이 핵심과제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에 따르면 한전은 정부과제로 LNG 발전에 대한 CCS 실증사업을 내년 울산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LNG 발전 CCS는 이번달 산업부가 발표할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전략'에도 담길 전망이다.
CCS 기술 정의 개념도 [자료=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저장협회] 2020.12.02 jsh@newspim.com |
산업부는 지난해 제9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을 통해 LNG발전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교두보로 삼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4년을 기점으로 가동연한 30년이 도래하는 석탄발전 30기를 폐지한다. 이 중 24기는 LNG발전소로 전환키로 했다.
당장 신재생에너지로 국내 전력 수요를 감당키 어려운 상황에서 그나마 배출량이 적은 LNG가 중간 다리 역할을 맡는다는 구상이다.
LNG 발전 규모는 2019년 3만9655㎿에서 2034년 5만9096㎿로 늘어난다. 반면 석탄발전은 같은 기간 3만6992㎿에서 2만9012㎿로, 원자력은 2만3250㎿에서 1만9400㎿로 줄어든다.
2034년 전원별 설비용량은 신재생에너지가 40.3%로 가장 많고 이어 LNG 30.6%, 석탄 15.0%, 원전 10.1%의 순이 될 전망이다.
LNG발전은 석탄발전 등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50%에 불과하다고는 하지만 발전 규모가 크게 늘어나면서 CO2 배출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정부는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LNG 발전에 대한 CCS 기술 상용화가 필수적이라고 판단하고 한전에 과제를 맡겨 실증을 추진하는 것이다.
정부과제로 진행 예정인 CCS 기술 실증사업은 하루 10톤 규모로 발전소 출력으로 0.5㎿에 해당되는 양이다. 이를 바탕으로 석탄화력발전에 추진 중인 10㎿ 규모(하루 200톤 규모) 실증 등을 추가로 실시할 계획이다.
한전과 발전사에서는 실증할 발전소는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 내 제4복합발전소다. 포집방식은 습식으로 CO2 포집율은 90% 이상이 될 전망이다.
한전 관계자는 "LNG 발전은 탄소중립으로 가기 위한 브릿지 전원으로 9차 전력수급계획 상 발전 규모가 크게 확대된다"며 "LNG 발전의 CO2 배출이 석탄화력발전보다는 적다고는 하지만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적은 양의 CO2라도 걸러내는 것이 중요한 만큼 정부 과제로 이번 실증을 실시하게 됐다"고 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달 중 탄소중립 산업·에너지 R&D 전략이 발표 될 예정이고 여기에는 핵심기술, 산업, R&D 지원 등의 내용이 담길 것"이라며 "CCUS, 자원순환 등 산업, 에너지, 공통분야에서 기술 개발과제를 도출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담을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한국전력공사 사옥 [사진=한국전력] 2020.08.04 fedor01@newspim.com |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