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 세대, 전대의 은퇴자들과 매우 다른 여행 특징 보여
인생을 풍부하게 해줄 활동 참여형 경험여행에 대한 욕구 커
한국의 시니어 관광은 이제 초창기... 콘텐츠와 플랫폼 개발 시급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국제연합(UN)이 2010년 일찍이 노령화를 '역사를 바꿀 가장 중요한 인구통계학적 변화'로 규정한 사실을 상기하지 않더라도, 전 세계 인구의 노령화는 21세기 가장 중요한 변화임에 틀림없다. 그러면 소위 노령층의 여행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의외의 해답이 나온다. 노령층을 노령층으로 대하지 말 것.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는 27일 국내 최초로 노령층(시니어)의 여행(관광)의 전망과 솔루션에 대해 다각도로 접근하는 '2021 시니어 국제관광 포럼'을 개최했다. UN의 '2020 세계인구고령화보고서(World Population Ageing 2020)'에 따르면 2020년 현재 65세 이상 전 세계인구는 7억 2천만 명에 달하고, 이들의 해외여행도 앞으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번 '시니어 관광 포럼'은 매우 의미가 있는 행사였다.
특히 구미주 지역 시니어 관광객은 고품격·장기여행을 선호하는 점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이후 한국이 그들에게 우선적인 관광 목적지로 인식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점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 틀림 없다.
발제자로 참여한 영국 옥스퍼드대 인구고령화연구소 아델라 발데라스(Adela Balderas) 연구원은 먼저 다음과 같은 의학 연구(Hegde & Rhodes, 2009)를 전제한다. "60세 이상의 노인은 일상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20대 젊은이보다 3배 이상의 빛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그들에겐 보다 밝은 햇빛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의학적인 이 전제는 노령층에게 외출(여행, 관광)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햇빛을 받으려면 밖으로 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령층이 외출하지 않는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개발도상국을 제외한 상당수 나라에서 여행과 레저활동은 노령층 지출항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데라스 연구원은 1999년의 경우 60세 이상 해외 여행은 5억9300만회였는데, 2050년까지 이 수치는 연간 20억 회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국제관광연맹(WTO)의 통계를 예시하며 "늙어가는 것이 여행하려는 사람들의 욕구를 제한하지 않으며, 오히려 나이가 들수록 여행 욕구는 커진다"고 말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역시 발제자로 나온 고선주 서울시 50플러스재단 생애전환지원본부 본부장도 "50-60 세대의 버킷리스트 1위는 여행"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현재의 노령층, 특히 베이비부머 세대는 이전 세대의 은퇴자들과 매우 다른 특성들을 갖고 있고, 여행에 있어서도 매우 다른 특징을 보인다. 발데라스 연구원은 "베이비 부머들은 특정 시즌에 몰리는 집중적인 휴가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즐겁게 지내면서도 '실제 생활'의 경험을 위해 더 독립적으로 여행하려는 동기부여의 변화가 있다"고 결론적으로 말한다. 다시 말해 그들은 발견하고 싶어하고, 활동에 참여하고 싶어하고, 기술과 지식을 얻기 위해 그들의 인생을 풍부하게 해줄 '경험'을 원한다는 것이다.
고선주 본부장도 얼마 전에 페이스북에서 유행처럼 번졌던 '20대 리즈시절 사진 올리기' 현상은 "복잡한 현실과 인간관계의 피곤함에서 벗어나고픈 욕구가 과거 빛났던 시절의 모습에 대한 상기로 나타난 것"이라고 진단하고, "아름다웠던 20대를 현재에 재현하고 싶은 자아의 발현이 여행 특성에도 연계된다"고 말했다. 그래서 베이비부머 세대의 여행은 자신의 자부심을 고양시키는, 즉 자신을 재발견하는 특성을 보인다는 것이다.
고선주 본부장은 또한 "우리나라 베이비부머 세대는 컬러TV 출현 이후 문화적 다양성과 경제성장을 경험한 첫번째 세대이자 '성공 DNA'를 가진 세대로, 재산 대신 경험유산을 물려주고자 생각하는 첫 세대이기도 하다"면서 "다음 세대에 기여하려는 욕망도 매우 크기 때문에 본인이 기여할 수 있는 경험과 학습의 여행을 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강조했다.
한국 생활 10년차로 북촌 한옥에 거주하고 있는 마크 테토(Mark Tetto) TCK인베스트먼트 한국지부장도 발제에서 자신의 부모를 예를 들어 "미국의 은퇴자들은 자신들 호칭에 시니어, 골든 이런 단어가 붙는 것을 매우 싫어하고 자신들을 '액티브 어덜트(active adult)'로 대접해주길 원한다. 플로리다나 남부 캘리포니아에는 은퇴자들을 위한 커뮤니티가 매우 많은데, 액티비티 코디가 상주하면서 체험형 액티비티 프로그램을 늘 제공하는 형태로 운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부모님의 한국 관광을 위해 해외 유명 여행 사이트에 들어가보니 한국 여행 패키지 상품이 거의 없어서 매우 놀랐다. 그 이유를 생각해보니 한국에 대한 버킷리스트가 부족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외국인에게 버킷리스트가 될만한 한국의 특징을 잘 강조한 홍보활동이 중요한데, 그건 뭐 대단한 것이 아니라 경북궁과 북촌, 경주 등만으로 충분하다. 여기에 김치 담그기나 소반 만들기 등의 활동을 곁들이면 아주 매혹적인 상품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아울러 "지방을 다니면 굳이 이러저러한 시설물들을 만들어 눈길을 끌려고 하는데, 한국은 이미 고유한 자연의 아름다움이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공 구조물보다는 웰빙을 부각시킬수 있는 경험과 스토리 텔링이 훨씬 중요하다"고 충고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치 만들기에 도전한 외국인 관광객들. 체험형 여행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2021.10.27 digibobos@newspim.com |
호주의 브로닌 화이트(Bronwyn White) '뉴 영 트래블(New Young Travel)' CEO도 "고령층에게 절대로 시니어라고 하지 말라"며 "여행읕 통해 원하는 것은 결국 자신의 변형 내지 탈바꿈(transform myself)이기 때문에 한국을 찾는 여행자도 자아발견, 자신의 풍요로운 확장을 도와주는 경험을 통해 내가 뭔가 다르고 좋은 사람이 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길 원한다"고 강조했다. 그런 차원에서 "호주인들은 사람들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시골 주민들을 연계해서 한국에서의 삶이 어떠한지 보여주는 그런 관광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또 ' BTS의 인기와 오징어 게임의 열풍으로 인한 한국 붐이 일시적일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일시적인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은 오랜동안 일본의 사촌나라 쯤으로 여겨져왔는데, 사람들이 이제 한국에 대해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런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펠릭스 부시(Felix Busch) 밀레니엄 힐튼호텔 제너럴 매니저는 발제를 통해 "여행지로서의 한국의 강점은 아주 청정한 맑은 하늘과 공기, 노인을 공경하는 유교적 사상, 핸드폰을 놓고 자리를 비워도 아무도 가져가지 않는 치안의 안전과 아주 낮은 범죄율, 저렴한 대중교통 비용, 비행기에서 내리자마자 공항서부터 바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훌륭한 와이파이 인프라, 의료시설 인프라와 의료진의 우수함 등 한국인들이 바로 떠올리지 않는 사실들에 있다"면서 "다만 수도권을 벗어난 야외 액티비티를 지원해주는 시설이나 애플리케이션이 아직 매우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 포럼의 발제자들이나 토론 패널들은 모두 "한국의 시니어 관광은 이제 초창기"라는 점을 모두 강조했다. 시니어 관광이라면 기존의 효도관광 상품만을 떠올리는 풍조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따라서 기존의 실버세대와 뉴 시니어를 나눠서 생각해야 하고,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한 저가 패키지 여행사는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목적지(장소) 중심적 여행에서 활동 중심적 여행으로 변화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이를 플랫폼에 어떻게 유통시킬 것인가가 여행산업에서 매우 중요해졌다. 코로나19 이후 50플러스 세대를 잡기 위한 여행산업의 승패는 결국 이런 노력에서 갈리게 될 것이다.
digibobo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