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유니버스는 금융업 생태계 초월
카뱅 고평가 아니라 정통 은행업이 저평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금융규제 완화해야"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카카오뱅크의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많은 화제를 낳았다. 데뷔하자 마자 시가총액 33조원에 달하며 KB금융지주와 신한금융지주를 미뤄내고 금융주 1위를 차지했다. "왜?"라는 게 금융권 전반위 분위기다. 업종 시스템도 사람도 보수적인 은행권은 "평가 기준이 뭐길래…." 납득하지 못한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1.08.06 hkj77@hanmail.net |
단적인 예로 ROE(자기자본이익률), PBR(주가순자산배율), PER(주가수익배율) 비교다. 카카오뱅크의 올해 ROE 추정치는 5%로 시중은행 평균 8~9%보다 낮다. 그런데도 (공모가 기준)PBR은 4배로 은행평균 0.4배보다 훨씬 높다. 자산가치에 비해 주가가 엄청나게 고평가라는 의미이다.카카오뱅크 ROE가 15%까지 오를 수 있다는 기대를 반영해도 고평가다.
키움증권은 작년 ROE가 22.7%이지만 PBR은 0.97배다. PER을 보면 시중은행은 4~5배인데 카카오뱅크는 146배다. 카카오뱅크가 매출과 이익이 꾸준히 늘어 계획대로 2030년까지 자본을 20조원으로 늘려도 15배나 된다.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다는 JP모건과 US Bancorp의 ROE는 각각 12%, 14%인데 PBR이 2배에 그친다.
전통적인 금융주 밸류에이션 평가로는 도저히 말이 안 된다. 이쯤이면 카카오뱅크와 같은 핀테크는 새로운 시각으로 기업가치를 따져봐야 한다. 우리보다 먼저 인터넷은행을 시작한 일본을 보자. 2001년 설립된 세븐뱅크(Seven Bank)는 편의점업체 세븐일레븐 내 ATM을 채널로 입출금, 송금, 소액 대출서비스만 하는데도, 현재 시총이 15조원이다. 작년 순이익이 2800억원에 ROE 11%, PBR 1.08배 PER 9.7배인데도 말이다.
카카오뱅크의 공모가격 기준인 4개 기업 모델에도 정통 은행은 없다. 브라질 금융기술기업 패그세구로, 미국 소매여신 플랫폼 로켓 컴퍼니, 러시아 디지털 은행 틴코프 뱅크의 최대주주인 TCS홀딩, 스웨덴 디지털 금융 플랫폼 노르드넷 등 4곳을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온라인·모바일 기반 여신 비즈니스와 B2C 금융 플랫폼 비즈니스를 하는 곳이다. 이런 비즈니스로 영업수익의 20%를 버는 곳이다.
카카오뱅크도 자신들을 은행이라고 소개하지 않는다. 금융플랫폼이라고 부르는데, 앱툰·동영상 등 디지털콘텐트, 생활, 쇼핑 등 카카오 유니버스 내에서 금융업을 하겠다고 한다. 이 같은 비즈니스를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이 하기 위해서는 SKT, KT, 네이버, NC소프트, 신세계 등 거의 모든 B to C 기업과 지분투자를 해야만 가능하다. 서로 지분을 주고받고 싶어도 금산분리에 막혀 불가능하다. 카카오뱅크는 이런 규제를 받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본 것이다.
대한민국 금융업은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규제 비즈니스다. 상품, 자본, 영업 등 거의 모든 분야가 금융당국과 정치권에 의해 좌지우지된다. 투자자 피해가 논란이 되자 금융당국은 하루아침에 은행의 사모펀드 판매를 중단시키는 일까지 벌어진다. 직원채용 기준, 고용조건마저 당국의 눈치를 보고 결정한다. 정부의 지시로 코로나 19 자영업자 대출을 해주면서 연체 등 손실은 그대로 떠안는다. 기업이 쓰러지면 기업구조조정법상 은행은 채권자의 권한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해, 대규모 손실을 입는다.
반면 그 동안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핀테크 기업은 규제차익을 누려왔다. 인터넷전문은행특별법이라는 특혜로 은행법의 규제를 대부분 피했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이 나왔고, 금융당국이 움직였다. 중금리대출을 확대하라는 요구했고, 이 부분은 곧 대손확대로 손실로 다가올 수 있다. 곧 디지털금융 규제도 가시화될 전망이다.
카카오뱅크에 대한 증시의 흥분을 계기로 금융당국은 금융업에 대한 관점에 변화를 줘야 한다. 규제를 풀면 새로운 금융비즈니스가 탄생하고 시장은 열광한다. 카카오뱅크가 고평가가 아니라 정통 은행이 저평가다.
hkj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