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ICT

속보

더보기

통신3사, OTT전략따라 CJ ENM과 갈등도 제각각

기사입력 : 2021년06월15일 06:49

최종수정 : 2021년06월15일 08:41

모회사 OTT 고민하는 SKB...스튜디오지니 키우려는 KT는 '조심'
LGU+ "모바일tv 이용자 줄었는데 콘텐츠값 더 내라고?" 반발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인터넷(IP)TV 운영사인 통신3사와 CJ ENM의 프로그램 사용료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그간 IPTV의 부가서비스로만 여겨졌던 통신3사의 모바일 IPTV 애플리케이션(앱)을 동영상스트리밍서비스(OTT)로 봐야하느냐가 이번 갈등의 최대 쟁점이 됐다.

특히 KT나 SK브로드밴드와 달리 자사 OTT 키우기에 소극적인 LG유플러스의 경우 CJ ENM과의 갈등이 쉽게 봉합되기 어려울 전망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가장 먼저 CJ ENM과의 프로그램 사용료 협상기한이 도래한 LG유플러스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인 U+모바일tv에서는 결국 지난 12일 자정부터 CJ ENM의 10개 실시간채널이 송출중단됐다. KT 역시 현재 추가협상을 진행 중이지만 협상과정이 순탄치는 않은 상황이다.

당장은 방송송출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시간 채널에 국한돼 소비자 피해가 크지는 않지만, 갈등의 골이 깊어질 경우 VOD 서비스 종료까지 이어지는 것은 시간 문제라는 것이 업계의 우려다. 

◆조심스러운 KT·SKB, 송출중단 단행한 LGU+

[서울=뉴스핌] 나은경 기자 = 12일 LG유플러스측에 따르면 CJ ENM이 운영 중인 10개 채널(tvN, tvN 스토리, O tvN, XtvN, 올리브, 채널 다이아, 중화TV, 엠넷, 투니버스, OGN)의 실시간 송출이 전면 중단됐다. [자료=U+모바일tv 갈무리] 2021.06.12 nanana@newspim.com

LG유플러스는 지난 12일 콘텐츠 송출중단 이후 즉각 입장문을 내고 "CJ ENM이 전년 대비 대폭 증가한 175%의 콘텐츠 사용료 인상을 요구했다"며 "이는 플랫폼과 대형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사이 통상적인 인상률이 10% 이내임을 감안하면 무리한 수준"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SK브로드밴드는 한국IPTV방송협회를 통해 IPTV에서의 콘텐츠 사용료 인상률이 과도하다는 데 입장을 같이하면서도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모회사인 SK텔레콤이 OTT인 콘텐츠웨이브를 통해 자체제작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어 궁극적으로는 제대로 된 콘텐츠 대가 산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콘텐츠웨이브에는 KBS, MBC, SBS를 비롯한 지상파3사도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최근 시즌(Seezn)을 분사하면서 콘텐츠 제작사로 발돋움하기 시작한 KT도 마찬가지다. 지난 11일 '스튜디오지니 신사옥 오픈하우스'에서 CJ ENM 출신이기도 한 김철연 대표도 모회사인 KT와 CJ ENM의 프로그램 사용료 갈등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김 대표는 "미디어 사업자와 콘텐츠 사업자의 영역 구분이 애매모호해지는 현상은 점점 가속화될 것"이라며 "서로 어떻게 협업해야 잘 해낼 수 있는 것인지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가입자도 적은데" vs "콘텐츠 헐값 취급이 문제"

양사의 본격적인 갈등은 CJ ENM이 이제까지 '모바일 IPTV'로 취급해온 KT와 LG유플러스의 시즌과 U+모바일tv를 OTT로 봐야한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이제까지 시즌과 U+모바일tv는 유·무선통신 가입자 수를 늘리기 위한 IPTV의 부가서비스 개념으로 여겨졌다. 이 때문에 프로그램 사용료 계약시에도 별도의 사용료 산정방식을 쓰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CJ ENM이 지난해 자사 OTT서비스인 티빙을 분사해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고 코로나19로 OTT 시장의 파이가 커지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빅데이터 플랫폼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U+모바일tv와 시즌의 월간순이용자수(MAU)는 각각 213만명, 168만명이다. 1001만명으로 1위를 기록한 넷플릭스와 격차가 큰 것은 물론 2위인 웨이브(395만명)와도 2배 가까운 차이가 난다.

특히 U+모바일tv와 시즌은 3개월 전인 지난해 11월보다 이용자 수가 오히려 줄었다. 같은 기간 넷플릭스의 이용자 수가 1.3배, 티빙의 이용자 수가 1.2배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스튜디오지니 출범을 통해 이제 막 자체제작 콘텐츠를 확보하기 시작한 KT와 아직까지 크게 자체제작 콘텐츠에 주목하지 않는 LG유플러스 입장에서는, 코로나19로 OTT 시장이 급성장했다고는 하지만 이로 인한 눈에 띄는 수익은 크지 않은 셈이다.

이에 대해 CJ ENM 측은 "통신사 가입자를 늘리기 위한 부가서비스로 콘텐츠를 헐값에 쓰는 관행이 문제"라며 "'LG유플러스는 U+모바일tv가 수익창출이 아닌 부가서비스에 가깝다'고 주장하지만 싼값으로 수급한 타사 콘텐츠로 자사 통신요금 수익 극대화에 몰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서는 가운데 결국 갈등은 정부 중재로 마무리될 전망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해 CJ ENM 채널 공급 중단으로 인한 이용자 불편, 사업자 간 협상 과정에서의 불공정행위 및 법령상 금지행위 해당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anan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