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아스트라제네카(AZ)에 이어 존슨앤존슨(J&J)도. 미국과 유럽에서는 J&J제약 자회사 얀센의 코로나19(COVID-19)백신과 관련한 희귀 혈전 사례들이 보고됐다. 이들 보건당국이 백신 접종과 혈전 발생 연관성을 조사 중인 가운데 과학계는 부작용이다, 아니다를 놓고 설전 중이다.
두 백신 모두 아데노바이러스 벡터(vector·전달체) 백신이다. 이는 인체 내 항체 생성을 위한 전달 방식 중 하나인데,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는 말그대로 독성과 감염력을 제거한 아데노바이러스에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 유전체를 싣은 전달체이다.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웩스너 메디컬 센터에서 올해 86세인 바버라 슈멀렌버거 씨가 존슨앤존슨(J&J) 자회사 얀센의 코로나19 백신 주사를 맞고 있다. 2021.03.02 [사진=로이터 뉴스핌] |
예방효능이 90% 이상으로 정평난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기술의 백신이다. 아직까지 이들 백신과 관련한 큰 이상증세는 없다.
AZ와 얀센 백신의 다른 점이 있다면 후자는 한 차례 접종으로 예방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이에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는 얀센 백신이 대국민 접종 속도를 높여 집단면역 달성 시기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이번 혈전 부작용 논란이 발목을 잡았다.
◆ 백신 아닌 전달체가 문제?
과학자들은 두 백신 모두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백신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AZ백신 혈전 부작용 논란 때는 특정 제조사의 백신이 문제로 지목됐다면 이제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요인이 아니냐란 추측이다.
네이처 과학지와 인터뷰한 오스트리아 빈 의과대학의 사빈 아이힝어 혈액학 박사는 "어떤 추론도 가능하다. 전달체의 문제이거나 백신 첨가물일 수도 있고...제조공정 과정에 문제가 발생한 것일 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모르겠다. 이중 어떤 것도 요인일 수 있다"고 말한다.
일각에서는 백신 접종 후 혈전이 발생한 사례가 극히 일부여서 '원래 생길 사람이 생긴 것 아니냐'란 의혹을 제기하지만 아이힝어 박사의 생각은 다르다. AZ백신 접종 후 혈전 발생 환자들 일부는 뇌와 다리, 대장 등 혈전 발생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신체 부위에서 발병했기 때문이다.
아이힝어 박사는 최근 독일 그라이프스필트 대학과 백신 규제기관인 파울 에를리히 연구소(PEI), 캐나다 맥매스터 대학 연구진과 함께 AZ백신과 혈전 연관성 연구를 진행했고 '헤파린-유도 혈소판감소증'(HIT)과 유사하다는 결론을 지었다.
HIT는 항응고제인 헤파린의 투여로 인해 저혈소판을 동반한 혈전이 발생하는 부작용이다. 헤파린과 혈소판 제4인자 복합체(PF4)에 대한 자가항체 출현의 면역학적 부작용이다.
독일과 오스트리아 AZ백신 접종자 중 혈전 증세를 보인 여성 8명, 남성 1명의 환자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중 4명에게서 헤파린과 PF4 복합체에 대한 강력한 항체 양성반응을 확인했다. 이들은 백신 접종 전 헤파린을 투여받은 적이 없다.
벨기에의 한 백신 접종센터 의료진이 아스트라제네카(AZ) 코로나19 백신 주사를 준비하고 있다. 2021.03.18 [사진=로이터 뉴스핌] |
40년 째 HIT를 연구해온 맥매스터대학의 존 켈턴 박사는 매우 드물긴 하지만, 헤파린 투여 없이 HIT 발생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헤파린과 같은 항응고제나 유사 약품을 투여했거나 간혹 무릎 수술, 감염 등을 통해 HIT 증세를 보인 환자들을 만나본 경험을 전했다.
해당 연구만 놓고 보면, 지금은 얀센 백신도 혈전 사례가 보고된 만큼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HIT와 유사한 혈전 증세를 야기할 수 있다는 응용 추론이 가능하다.
예컨데 항원을 싣은 아데노바이러스의 독성이나 감염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을 경우 백신 접종자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지난달 31일, J&J는 미국 볼티모어 공장에서 백신 혼합 과정 중 "품질 기준 미달" 사고가 발생했다고 밝힌 바 있는데, 같은 공장에서 제조되는 AZ백신이 섞였다는 외신 보도가 나와 파문이 일은 바 있다. 제조공정에서 어떠한 실수도 품질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미다.
◆ "혈전 발현 확률 극히 낮아" 기타 요인일 가능성
AZ와 얀센 백신 모두 같은 전달체라고 해서 플랫폼이 혈전 유발 요인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백신 접종 후 혈전 사례는 전체의 극소수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까지 접종된 얀센 백신 680만도스(1회 접종분) 중 혈전 관련 사례는 단 6건. 얀센 백신이 혈전을 유발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AZ백신도 혈전 사례 보고가 나왔지만 소수다.
이에 유럽의약품청(EMA)은 AZ백신의 혈전 유발 위험성은 극히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백신이 주는 이익이 여전히 위험성보다 크다.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위험이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보다 훨씬 더 크다"는 입장이다.
또 미국과 유럽의 경우 백신 접종자는 수천 만명이기 때문에 기저질환자가 아니어도 가족력 등으로 혈전 발생 시기가 백신 접종과 맞물린 것일 수 있다는 의견도 많다.
미국의 심장병 전문의, 베누드 비크델리 박사는 "뇌졸증이나 심장마비를 일으킬 사람이 하필 백신 접종 일주일 후에 발현됐다고 해서 백신 때문이라고 할 수 없다"며 "이상증세에 경계하고 관련 데이터를 수집해 원인을 알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례들은 연구하기엔 심각하게 적다"고 우려했다. 맥매스터대의 켈턴 박사도 혈전 사례가 매우 적어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데 동의한다.
미 CDC는 오늘 14일(현지시간) 외부 자문위원회 긴급회의를 소집하고 얀센 백신의 안전성 재검토를 논의한다. 긴급 사용승인 지속 여부를 결정할 예정인데, 만약 긴급 사용승인이 중단되면 우리나라 집단면역 시기도 미뤄질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 정부는 지난해 12월, 얀센 백신 600만회분 구매 계약을 마쳤다.
wonjc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