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해킹, 북한에 상당한 수입원"
"금융기관들 주의 기울이고 경고해야"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가 "북한의 가상화폐 해킹 활동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특히 중국과 러시아 등에서 활동하는 정보통신 IT 관련 전문가들의 활동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9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패널에서 금융과 경제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애런 아놀드 위원은 8일(현지시간) 영국 합동군사연구소 'RUSI'가 주최한 웨비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사진=게티이미지] |
지난달 말 공개된 안보리 전문가패널 보고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웨비나에서 아놀드 위원은 "보고서에 담긴 가상화폐 해킹은 석탄 수출 등 북한의 전통적인 활동과 비교할 때 상당한 수입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상화폐를 해킹한 뒤 이를 세탁하는 북한의 역량은 계속 정교화하고 있다"며 "북한은 현재 자신들의 활동을 성공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북한은 가상화폐 해킹 활동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가상화폐 가격 역시 북한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최근 비트코인 등의 가격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은 가상화폐를 더 좋은 공격 대상으로 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북한 정권이 확산 금융과 관련해 가상화폐뿐 아니라 기존 활동을 통해서도 계속 수입을 창출하고 있다"며 "이 가운데 하나가 '해외노동자'로, 아놀드 위원은 이번 보고서에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대한 내용이 담겼지만 전문가패널은 정보통신 (IT) 분야 노동자들의 활동에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IT 분야 노동자들은 중국과 러시아, 동아시아, 동유럽에 진출해 있으며 이들은 해커가 아닌 웹 스크래핑과 앱 개발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놀드 위원은 "이들이 해커와 달리 많은 자금을 벌어들이는 것은 아니어도 시간이 지날수록 더 큰 네트워크를 만들어 많은 수익을 만들어낸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각국의 제재 이행에도 허점이 많다"며 "예를 들어 세네갈은 자국 내 추방해야 할 북한 노동자들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제재 대상에 오른 '만수대해외프로젝트 그룹'(MOP)이 세네갈에서 활동하면서 '콜만 건설'로 이름만 바꿨을 뿐 기존 도메인을 바꾸지 않고 계약서에 기존 이메일 주소와 은행계좌를 사용하면서도 활동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금융기관들이 이 같은 관행에 주의를 기울이고 비슷한 사례에 대해 경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이밖에도 해산물과 섬유 수출을 비롯해 조업권 판매 등으로 다양하게 수익 창출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