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기온 12.8도...이전 평년보다 0.3도 증가
봄·여름 빨라지고 4일씩 길어져...겨울은 7일 줄어
연 강수량은 비슷...계절·지역별 편차는↑
[서울=뉴스핌] 이학준 기자 = 최근 30년간 각종 기상·기후 자료의 평균을 낸 '신(新) 기후평년값'이 25일 발표됐다. 새로운 기후평년값은 지구 온난화 여파가 뚜렷이 반영됐다. 전국적으로 평균 기온이 오르고, 폭염·열대야가 증가했다. 봄·여름 시작이 빨라지고 기간은 늘어난 반면 겨울 기간은 줄었다.
기상청은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기온과 강수량 등을 평균한 새로운 기후평년값을 이날 발표했다. 기후평년값은 숫자 '0'으로 끝나는 해의 최근 30년간 기상요소에 대한 누년 평균값으로 세계기상기구(WMO) 기준에 따라 10년 주기로 산출되는 기후 기준값이다. 지금까지는 2011년에 발표한 1981~2010년 평년값을 사용해 왔다.
◆ 연평균 기온 0.3도 상승...폭염·열대야 일수도 증가
새로운 기후평년값에 따르면 한국의 연평균 기온은 12.8도로 이전 평균값보다 0.3도 상승했다. 10년 평균 기온을 놓고 보면 1980년대보다 2010년대가 0.9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스핌] 이한결 기자 = 내일부터 시작되는 장마를 앞두고 폭염특보가 발효된 23일 오후 서울 마포구 연남동 경의선숲길에서 한 시민이 맨발로 산책을 하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내일은 전국에 비가 와 서울은 24도까지 뚝 떨어지겠다. 2020.06.23 alwaysame@newspim.com |
특히 중부내륙지방을 중심으로 평균기온 상승이 두드러졌다. 최고기온보다는 최저기온 상승이 뚜렷했다.
서울 지역 새로운 평년값은 12.8도로 전국 평균과 같은 수준이었다. 제주는 16.2도, 부산은 15도로 다른 주요 도시 평균기온보다 높았다.
기온 상승에 따른 폭염일수는 11.8도로 이전 평년 대비 1.7일 증가했고, 열대야일수는 7.2일로 이전 평년보다 1.9일 늘어났다. 반면 한파일수는 4.8일로 0.9일 감소했다.
폭염일수는 일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고, 한파일수는 아침 최저기온이 -12도 이하인 날을 의미한다. 열대야일수는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이다.
◆ 계절변화도 뚜렷...봄·여름 길어지고 겨울 짧아져
기후변화로 계절의 길이도 바뀌었다. 봄·여름 시작일이 2~6일 빨라지면서 기간은 각가 4일씩 길어졌다. 반면 겨울 기간은 7일 짧아졌다.
새로운 평년값에 따르면 계절별 시작일은 ▲봄 3월 1일 ▲여름 5월 31일 ▲가을 9월 26일 ▲겨울 12월 4일이다.
봄·여름 시작일은 일평균기온이 각 5도와 20도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는 첫날을 의미하고, 가을·겨울 시작일은 일평균기온이 각 20도와 5도 미만으로 떨어진 후 다시 올라가지 않는 첫날이다.
[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울릉(사동)항 태풍피해 모습 [사진=해수부] 2021.01.28 donglee@newspim.com |
전국 연 강수량은 1306.3㎜로 이전 평년인 1307.7㎜와 비슷했지만 계절별·지역별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 강수량은 710.9㎜로 연 강수량의 54%를 차지했고, 봄·가을 강수량도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남부지방과 제주가 각각 1314㎜, 1746㎜로 이전 평년에 비해 크게 늘었지만, 중부지방은 1295.8㎜로 이전 평년 대비 21.6㎜ 감소했다.
새로운 해양 평년 수온은 이전 평년보다 0.2~0.3도 높아졌다. 특히 한반도 주변 수온은 2010년 전후로 0.8도 상승했고, 1월 수온 상승은 1.4도로 연중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기후평년값은 기후변화시대의 새로운 기준"이라며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번 평년값과 보조를 맞춰 기후변화에 적응해 나가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기상기후데이터의 활용도 향상을 위해 더욱 다양한 분석 자료 생산과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자료는 기후변화 분석과 예측 외에도 방재, 건설, 농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준지표로 활용될 방침이다.
hak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