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중국증시 포인트(3.25)]텐센트·샤오미 실적, 테슬라 가격인상, 복성제약 '화이자' 백신 유통중단

기사입력 : 2021년03월25일 13:00

최종수정 : 2021년03월25일 13:00

[편집자] 이 기사는 3월 25일 오전 11시24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무료로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24일 하락 마감한 중국 A주 3대 지수가 25일 일제히 약세로 출발했다. 상하이종합지수가 0.36% 떨어졌고 선전성분지수와 창업판지수도 각각 0.66%, 0.96% 하락하며 거래를 시작했다. 섹터 중에서는 의류·가정용 패브릭(침대용품·커튼·카펫 등), 농업 섹터가 강세를 보이는 반면, 자동차와 증권주는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중국 주요 증권∙경제전문 매체들은 금주 증시와 관련해 눈여겨볼 만한 소식으로 △ 텐센트의 2020년 호실적 달성과 반독점 리스크 우려 △ 샤오미 2020년 실적 기대치 하회 △ 테슬라의 중국 생산 모델Y(Model Y) 가격 인상 △ 복성제약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잠정 중단 소식에 주목했다.

[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 텐센트 2020년 호실적 달성, 반독점 리스크 우려

24일 장 마감 후 중국 대표 IT 기업인 텐센트(00700.HK)가 2020년 실적을 공개했다.

2020년 한해 동안 텐센트는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한 4820억 6400만 위안(약 83조 8700억 원)의 매출과 30% 신장한 1227억 4200만 위안(약 21조 3560억 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2020년 4분기에만 전년 동기 대비 26% 늘어난 1336억 6700만 위안(약 23조 2570억 원)의 매출을 올렸고, 순이익도 30% 증가한 332억 700만 위안(약 5조 7780억 원)을 기록했다.

그중에서도 인터넷 사업 매출이 1561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의 눈에 띄는 성장세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텐센트의 중국 최대 소셜 메신저 앱인 위챗(WeChat·微信)의 중국 국내와 해외버전 월 이용자 수도 전년 동기 대비 5.2% 늘어난 12억 2500만 명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호실적 달성에도 불구하고 마화텅 CEO의 중국 규제 당국 면담 소식에 반독점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마 회장이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관계자들과의 면담에서 텐센트의 반독점 규제 준수 문제가 논의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알리바바를 겨냥했던 반독점 규제의 칼날이 텐센트로 향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마 회장은 실적발표 자리에서 규제 당국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상태다.

◆ 샤오미 2020년 실적 예상치 하회, 칩 공급 물량 부족이 실적 둔화 요인

텐센트가 호실적을 기록한 반면, 샤오미(01810.HK)는 기대치에 못 미치는 2020년 실적을 내놨다.

[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샤오미도 24일 저녁(현지시간) 2020년 4분기와 한해 실적을 발표했다. 2020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4% 증가한 2459억 위안(약 42조 7100억 원),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한 130억 위안(약 2조 2580억 원)을 기록했다.

2020년 4분기 매출과 순이익도 각각 705억 위안(약 12조 2460억 원), 32억 위안(약 5560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4.8%, 36.7% 증가했지만, 시장의 예상치를 밑돌았다.

앞서 시장에서는 2020년 4분기 샤오미가 752억 2600만 위안(약 13조 675억 원)의 매출을 달성, 2020년 한해 133억 4300만 위안(약 2조 3180억 원)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기대했다.

샤오미측은 반도체 칩 공급 물량 부족을 실적 성장 둔화의 주요인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핵심 공급 업체와 공급사슬을 최적화하고 생산 효율을 높인 결과, 2021년 1~2분기 샤오미 스마트폰 생산은 전반적으로 원활할 것이라고 밝혔다.

◆ 테슬라 모델Y 가격 8000위안↑, 배경 놓고 의견 분분

한편, 테슬라가 돌연 중국에서 생산한 모델Y(Model Y)의 가격을 8000위안(약 139만 원) 인상한 데 따른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사진 신화사=뉴스핌 특약]

24일 테슬라의 대외사업 부총재는 중국판 트위터 웨이보(微博)를 통해 당일부터 모델Y 가격을 8000위안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미 예약한 주문건에 대해서는 기존 가격이 적용된다고도 밝혔다.

이에 따라 주행거리가 더 긴 모델인 '모델Y 롱레인지'의 가격은 기존 33만 9900위안에서 34만 7900위안(약 6045만 원)으로 인상되고, 주행거리가 롱레인지보다는 다소 짧지만 성능이 강조된 모델인 '모델Y 퍼포먼스' 가격은 36만 9000위안에서 37만 7900위안(약 6566만 원)으로 오른다.

테슬라의 가격 인상 배경에 대한 여러 가지 해석이 분분한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 칩 부족에 따른 원가 상승이 주요인으로 제기됐으나, 일각에서는 올 1월 1일부터 시작한 모델Y의 예약주문 폭증으로 수요는 늘고 공급은 달리면서 가격을 인상했다는 해석을 내놨다.

한편으로는 테슬라가 중국 시장 공략을 위해 가격인하보다는 고급화 전략을 선택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중국 소비자에 테슬라의 고급 명품 브랜드의 이미지를 더욱 각인시키겠다는 전략으로 테슬라의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하다는 분석이다.

테슬라의 자신감의 배경은 판매량이다. 2020년 테슬라는 중국에서 13만 대가 넘는 차량을 팔았다. 이에 반해 중국의 3대 전기차 스타트업인 니오, 리오토, 샤오펑의 2020년 판매량은 3만~4만 대 수준에 그쳤다.

테슬라의 가격 인상 소식에 24일 중국 증시에서는 중국 최대 리튬 화합물 업체 강봉리튬(002460) 등 테슬라 관련주 주가가 일제히 하락했다.

◆ 백신 접종 중단 복성제약 주가 급락, "경영에 중대한 영향 미치지 않을 것"

이밖에 마카오와 홍콩에서 화이자 백신 접종 중단으로 주가가 급락한 복성제약(600196, 02196.HK)에도 관심이 쏠린다.

[사진=바이두]

홍콩과 마카오에서 화이자 백신은 중국의 제약회사인 복성제약을 통해 공급된다. 복성제약은 24일 제조번호 '210102'의 화이자 백신 뚜껑에 결함이 있다는 고지서를 홍콩과 마카오 정부에 보냈고 이 지역의 화이자 백신 접종이 잠정 중단됐다.

복성제약은 조사가 끝날 때까지 '210102' 백신 접종을 중단하며 두 번째로 홍콩에 공급된 제조번호 '210104' 백신도 봉인해서 보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사태가 그룹의 정상적인 생산과 경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복성제약은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화이자 백신에 대한 중국 내 독점 판매 계약상이자 바이오엔테크의 'BNT162b2' 백신 후보 물질 개발 투자사다. 중국 내에서는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가 개발한 'BNT162b2'를 화이자 백신으로 부르지 않고 있다.

백신 접종 중단 소식에 24일 중국 본토 A주와 홍콩에 상장된 복성제약 주식은 각각 5.78%, 4.83% 급락하며 장을 마쳤다. 25일 오전 9시 51분경(현지시간) 복성제약의 A주 주가는 0.3% 하락한 37.52위안에, 홍콩 주가는 3% 하락한 31.50홍콩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국힘 대선후보 김문수 56.53% 득표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가 3일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5차 전당대회에서 당직자들과 손을 들며 인사하고 있다. 2025.05.03 photo@newspim.com   2025-05-03 17:28
사진
李 파기환송심 서울고법 재판장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유죄 취지로 서울고법에 돌려보낸 지 하루 만에 이 후보의 파기환송심을 맡을 재판부와 첫 공판기일이 정해졌다. 서울고법은 2일 오후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파기환송심을 형사7부(재판장 이재권)에 배당했다. 또 이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관련해 소환장 및 기일통지 발송에 이어, 집행관 송달을 촉탁했다. 집행관 송달은 우편송달이 되지 않을 때 진행하는 특별송달이다.  서울고법의 선거사건 전담 재판부는 형사2부, 6부, 7부 3곳인데 이 후보의 기존 항소심 재판부인 형사6부는 배당 대상에서 제외됐고 6부의 대리 재판부인 형사7부에 배당됐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지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이재권 재판장, '민주당 돈봉투' 등 사건 맡아 해당 재판부는 '민주당 돈봉투' 사건으로 기소된 이성만 전 의원과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의 전 보좌관 박용수 씨 사건을 심리하고 있다. 이밖에 폐수 불법 배출 혐의를 받는 HD현대오일뱅크 사건,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 관련 허위 면담보고서 작성 혐의를 받는 이규원 조국혁신당 전략위원장(전 부부장 검사) 사건도 맡고 있다. 해당 재판부는 이재권(사법연수원 23기) 부장판사와 박주영(33기)·송미경(35기) 고법판사로 구성됐다. 재판장은 이 부장판사가, 주심은 송 고법판사가 맡는다. 이 부장판사는 제주 서귀포 출신으로 제주제일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대를 졸업했다. 1997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로 임관한 뒤 서울행정법원 판사, 제주지법 부장판사, 수원고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지난해 2월부터 서울고법 부장판사로 근무하고 있다. 특히 이 부장판사는 2005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연구심의관, 2006년 법원행정처 사법정책실 판사, 2021~2024년 사법정책연구원 수석연구위원 등을 역임했다. 이용훈·양승태 전 대법원장 재임 당시인 2010년~2012년에는 대법원장 비서실 판사로도 근무했다. 박 고법판사는 서울과학고등학교와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졸업했다. 2004년 서울중앙지법 판사를 시작으로 서울서부지법 판사, 수원지법 판사, 부산지법 부장판사, 의정부지법 부장판사를 역임했고 올해 2월 서울고법에 부임했다. 송 고법판사는 부산서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대학원 법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2006년 서울중앙지법에서 판사 생활을 시작했다. 서울남부지법 판사, 부산지법 판사, 인천지법 판사 등을 거쳐 2022년 2월부터 서울고법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인 2019년~2022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을 지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노총과의 정책협약식에 참석하고 있다. 이날 대법원은 이재명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해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을 파기 환송했다. 2025.05.01 yooksa@newspim.com ◆ 첫 파기환송심 15일...李 불복 뒤 재상고 가능성 커 파기환송심 첫 공판기일은 오는 15일 오후 2시로 지정됐다. 이날 사건이 배당된 지 약 한 시간 만에 재판부가 기일을 지정하면서 이 후보 사건은 신속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파기환송심 선고 결과가 나오더라도 이 후보가 이에 불복해 대법원에 재상고할 것으로 보여 오는 6월 3일 대선 전 최종 판결이 나오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대법 전합은 전날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 상고심 선고기일을 열고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다. 재판부는 이 후보가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과 골프를 쳤다는 의혹과 관련해 '사진이 조작됐다'는 취지로 한 발언, 백현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의 압박 내지는 협박이 있었다고 한 발언이 선거인의 정확한 판단을 그르칠 정도에 해당해 허위사실공표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김씨를 하위직이라서 몰랐다는 발언과 함께 골프 발언을 듣는 일반 선거인으로서는 출장은 같이 갔지만 함께 간 해외줄장 기간에 골프를 치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며 "그런데 피고인은 김씨 등과 함께 간 출장 기간에 골프를 친 것이 사실이므로 이 발언은교유행위에 관한 허위사실 공표에 해당한다"고 판시했다. 또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과 관련해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을 들어 용도지역 변경을 압박했다'는 취지의 발언과 '국토부가 이 사건 의무조항에 따르지 않으면 직무유기를 문제 삼겠다고 협박했다'는 취지의 발언은 사실의 공표이지 단순히 과장된 표현이거나 추상적인 의견 표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대법원 판결은 기속력이 있기 때문에 파기환송심은 이를 뒤집을 만한 중대한 증거가 새롭게 제시되지 않는 이상 대법원 판결 취지에 따라 이 후보에 대한 추가 양형 심리를 거쳐 유죄를 선고하게 된다. 이 후보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판단한 1심은 의원직 상실형인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한 바 있다.  shl22@newspim.com 2025-05-02 18:5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