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수소차, 내연기관차 이상 성능 확보
1000개 부품기업 미래차 관련 기업 전환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정부가 공공과 민간 수요창출을 통해 2025년까지 친환경차 283만대 보급에 나선다. 이후 2030년 785만대를 보급해 자동차 온실가 24% 감축을 추진한다. 또한 전기차와 수소차 모두 내연기관 이상의 성능을 확보해 2025년 친환경차 수출 비중 35%를 달성할 계획이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날 정세균 국무총리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현대기아차 남양연구소에서 '제122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고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을 논의했다.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에는 친환경차 전환을 가속화하고 '2050 탄소중립'을 자동차산업의 성장동력으로 연계하기 위한 친환경자동차 육성전략이 담겼다.
우선 친환경차 확산을 가속화하는 사회시스템 구축한다. 2025년까지 283만대, 2030년까지 785만대의 친환경차가 보급될 수 있도록 대규모 공공·민간 수요창출과 친환경차 공급확대를 추진한다. 연비향상을 통해 하이브리드차를 전주기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적극 활용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자동차 온실가스 24% 감축할 계획이다.
[화성=뉴스핌] 정일구 기자 = 정세균 국무총리가 18일 오전 경기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기술연구소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1.02.18 mironj19@newspim.com |
충전인프라 적재·적소 배치로 생활 친화적인 충전환경을 조성한다. 전기차 보급대수의 50% 이상으로 충전기가 구축되도록 지원(2025년 50만기 이상)하고 20분 충전으로 300㎞ 주행이 가능한 초급속 충전기 보급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전국 어디서든 30분내에 수소충전소 도달이 가능토록 2025년까지 충전소 450기를 구축한다. 차량대비 충전소가 부족한 서울·수도권에 전략적으로 집중 구축한다.
전기 트럭·버스 전용플랫폼 개발을 지언하고 배터리·연료전지 등 핵심소재 국산화 등으로 2025년까지 차량가격을 1000만원 이상 인하하고 올해 만료되는 개소세·취득세 인하 등 친환경차 세제혜택 연장을 적극 검토한다. 특히 배터리리스 사업 도입을 통해 초기 구매가격을 절반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탄소중립을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제도적 기반을 구축한다. 산업계와 협의를 거쳐 산업경쟁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차종별 '친환경차 전환전략'을 연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 자동차 온실가스 기준에 전주기 온실가스 평가 반영을 검토하고 배터리 전수명 품질·적합성 기준의 별도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지난 1월 22일 오후 서울 강동구 현대 EV 스테이션 강동의 모습. 2021.01.22 pangbin@newspim.com |
아울러 기술혁신을 통한 탄소중립 시대를 개척한다. 전기·수소차 모두 내연기관차 이상의 성능을 확보토록 하고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2025년 친환경자 수출 연간 83만대, 수출비중 34.6%를 달성해 수출강국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밀도 향상, 열관리 시스템 효율 개선, 부품 경량화를 통해 2025년까지 주행거리 600㎞이상, 전비 15% 향상(6.5㎞/㎾h)을 추진한다. 2024년 완전자율주행 차량 출시를 위해 6대 핵심부품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 전고체전지(400Wh/㎏)를 2030년까지 상용화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수소상용차를 전차급으로 확대 출시하고, 내구성 50만㎞이상, 주행거리 800㎞ 이상으로 성능을 대폭 개선한다. 액화수소 차량 개발과 실증을 통해 디젤트럭과 동등한 수준의 1000㎞ 이상의 주행거리를 달성한다.
또한 탄소중립 산업생태계로 전환을 가속화한다. 2025년까지 500개, 2030년까지 1,000개의 부품기업을 미래차산업 관련 기업으로 전환한다. 완성차-1·2차 부품사간 연대와 협력을 통해 '가치사슬 One-Shot' 전환을 추진할 방침이다. 연간 100개 이상 사업재편 희망기업 발굴하고 금융·기술·공정·인력 등 사업재편 4대 지원수단을 지속적으로 확충한다.
정세균 총리는 "급격한 자동차 산업의 변화 속에서도, 우리나라가 자동차 산업의 리더로 도약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연대와 협력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변화에 적응해 나가자"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