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뉴스핌] 고규석 기자 = 전남 목포시가 2020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2016년 이래 가장 좋은 2등급을 받았다. 그 비결은 어디에 있는 걸까?
시청 안팎에서는 "민선7기 들어 행정의 공정성·투명성 강화 결과"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 |
목포시 감사실은 청렴도 향상을 위해 외부 7개 시책, 내부 12개 시책을 추진해 왔다. 사진은 부서별 순회 청렴교육 모습. [사진=목포시] 2020.12.09 kks1212@newspim.com |
특히 눈에 띄는 점은 내·외부 평가가 간극 없이 고루 높았다는 데 있다. 목포시 관련 일을 해 본 민원인은 2등급으로 평가했는데 내부 직원들도 자신들의 청렴도를 2등급으로 매겼기 때문이다.
외부청렴도를 측정할 때 실제 업무 처리 과정에서 금품 향응 등 편의제공 여부와 관련한 '부패 경험률' 설문항목이 있는데 이 분야에서 지난해보다 부패경험 영역이 크게 개선됐다는 게 감사실의 설명이다.
무엇보다 시 소속 직원 대상 설문조사 결과로 측정한 조직문화, 인사업무 등 내부청렴도 역시 2등급으로 나타나 내부만족도가 높았다는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내부평가의 핵심 항목인 '인사' 부문에서 금품·향응 제공 경험은 물론 인식, 빈도 측면에서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분석 결과가 포함된 것은 그 의미가 남다르다.
게다가 전대미문의 코로나19라는 극한의 행정환경에도 이를 극복하고 최근 5년 새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둬 더 값진 성과로 받아들여진다.
이 같은 성과의 이면에는 그동안 '청렴'을 시정운영의 핵심가치로 정하고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을 강조해온 김종식 시장의 시정철학이 자리한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청렴행정, 소통행정, 적극행정, 친절행정이 김 시장의 4대 시정철학이다.
시는 청렴도 향상을 위해 '청렴대책 추진체제 확립'과 '내부 통제체제 강화' 등 2개 분야 7개 시책을 추진해왔다.
세부적으로 외부 청렴도 향상을 위해서는 7개 시책을, 내부 청렴도 향상 대책으로는 12개 시책을 추진해왔다.
이는 목포시가 강도 높은 대책을 추진하면서도 내부 청렴도에 더 비중을 뒀다는 점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민선 7기 출범 이후 시행해온 강도 높은 반부패 청렴 정책 역할이 컸다는 데 이견이 없다.
시 감사실은 '청렴대책 추진기획단'과 '청렴대책 실무추진단'을 구성·운영하는 등 청렴도 향상을 위한 시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봤다.
이 가운데 일종의 민원 피드백인 '청렴고객 감동 민원 만족도 조사 해피콜' 실시와 '부조리 신고 청렴엽서' 발송이 가장 효과적이었다는 게 자체 분석이다.
또 인사와 예산 등 취약분야별로 맞춤형 개선대책을 마련해 이를 중점 추진한 점도 청렴도를 빠르게 끌어올리는 데 한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
[목포=뉴스핌] 고규석 기자 = 청렴 엽서 2020.12.09 kks1212@newspim.com |
김 시장은 "목포시민들의 깨끗하고 공정한 사회에 대한 요구와 공무원의 청렴 의식 향상이라는 선순환이 이뤄낸 결과"라는 평가를 내놨다.
그러면서 "이번 평가를 계기로 청렴도 1등급을 목표로 한 '소통행정, 적극행정, 친절행정'을 펴나가 청렴한 공직문화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이번 청렴도 상승이 주는 또 다른 의미는 민선7기 후반기 3년차를 맞아 40개 역점 사업과 각종 시책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이다.
kks121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