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중국 주식]중국의 네 번째 'A+G 상장' 에너지 기업 국투전력

기사입력 : 2020년11월04일 09:48

최종수정 : 2020년11월04일 09:48

지난달 22일 런던증권거래소 상장
수력발전 중심의 종합 전력 상장기업
태양광발전 등 청정에너지 사업 구조전환 속도

[서울=뉴스핌] 조윤선 기자 =중국의 주요 전력회사인 국투전력(國投電力·Sdic Power, 600886.SH)이 영국 자본시장에 상륙했다. 지난달 22일 국투전력은 해외주식예탁증서(GDR) 발행 방식으로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국투전력은 화태증권(華泰證券, 601688.SH), 중국태평양보험(中國太保, 601601.SH), 장강전력(長江電力, 600900.SH)에 이어 네 번째 'A주(중국 본토 증시에 상장된 주식)+G주(런던 증시에 상장된 주식)' 기업이 되었다.

상하이와 영국 런던증권거래소 간 주식 교차거래 제도인 후룬퉁(滬倫通)을 통해 런던에 상장한 국투전력은 A주 1억 6350만 주에 해당하는 1635만 GDR을 발행하여 2억 60만 달러(약 2280억 원)를 조달하기로 했다. 발행 가격은 GDR당 12.27달러로 확정했다.

주목할 점은 국투전력의 2대 주주인 장강전력(長江電力)의 완전 출자 자회사인 '중국 장전국제(홍콩)유한공사(中國長電國際(香港)有限公司)'가 코너스톤 인베스터(초석 투자자)로 참여했다는 점이다. 코너스톤 인베스터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공모가 확정 전에 일부 지분을 배정받는 대형 기관투자자를 가리킨다. 중국 장전국제(홍콩)유한공사는 1억 달러에 상당하는 815만 GDR을 인수하기로 했다.

[뉴스핌=조윤선 기자] 2020.11.04 yoonsun@newspim.com

◆조달 자금, 해외사업에 투자

국투전력은 "GDR 발행은 회사의 국제화 전략을 추진하고 자본 역량을 한층 더 보완하기 위해서다"라면서 "조달한 자금은 기존의 해외에서 추진 중인 청정에너지 사업과 잠재적 해외 인수합병(M&A) 기회를 모색하는데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투전력의 해외사업에는 태국의 쓰레기를 활용한 발전 프로젝트, 인도네시아의 반텐(Banten) 화력발전 사업을 비롯해 국투전력 산하 영국 및 유럽 신에너지 프로젝트 자산관리 및 사업개발 회사인 레드락 파워(Red Rock Power, 紅石能源)의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 등이 포함된다.

레드락 파워는 베아트리체(Beatrice) 해상풍력발전 사업 지분 25%와 스코틀랜드(Scotland)의 인치 케이프(Inch Cape) 해상풍력발전 사업 지분 100% 등을 보유하고 있다. 풍력발전 설비용량이 588메가와트(MW)에 달하는 베아트리체 해상풍력발전 사업은 기초 시설 건설 단계에 있고, 598MW에 이르는 인치 케이프 해상풍력발전 사업은 전반부 사업 개발 단계에 있다.

중국 궈타이쥔안(國泰君安)증권은 "최근 몇 년간 국투전력은 줄곧 해외사업 확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다"며 "성숙한 해외사업팀을 보유하고 있고 경험도 풍부해 국투전력 해외사업 대부분의 내부수익률(IRR)이 8%에 이른다. 이번 GDR 발행으로 해외 자금조달 플랫폼을 활용한 해외사업 발전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 수력발전 중심의 종합 전력 상장기업, 수익성 양호

국투전력은 베이징(北京)에 소재한 투융자 전문 국유기업인 국가개발투자그룹유한공사(國家開發投資集團有限公司,이하 국투그룹) 산하의 자회사로 발전 사업이 전체 영업매출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국화전력(國華電力), 화윤전력(華潤電力), 중광핵(中廣核)과 더불어 중국의 4대 전력 회사 중 하나이다.

또,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화력발전, 풍력발전을 운영하는 종합 전력 상장기업으로, 1676만 킬로와트(KW)에 달하는 중국에서 세 번째로 큰 수력발전 설비용량을 갖춘 기업이기도 하다.

국투전력은 국투그룹의 지원을 등에 업고 자산 투입을 통해 야룽강(雅礱江) 수력발전소, 윈난 다차오산(雲南大朝山) 수력발전소 등 핵심 자산을 손에 넣으며 빠르게 성장했다.

[사진=Sdic Power 홈페이지]조윤선 기자=국투전력이 보유한 다차오산(大朝山)수력발전소는 윈난(雲南)성 린창(臨滄)시에 소재하며 총 발전설비 용량이 1350메가와트(MW)에 달한다. 2020.11.04 yoonsun@newspim.com

실적을 살펴보면, 올 상반기 국투전력의 영업매출은 174억 7000만 위안(약 2조 967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1% 줄었지만, 순이익은 30억 7600만 위안(약 52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14% 늘어났다. 올 1~3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20.27% 증가한 52억 1100만 위안(약 8830억 원)의 순이익을 달성하며 양호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올 1~3분기 국투전력이 생산한 전력은 누계 기준으로 1122억 6400만 킬로와트시(KWh), 전력망을 통해 공급한 전력이 1094억 600만 KWh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73%, 7.33% 줄어든 수치이지만, 이미 양도한 사업의 발전량을 제외하면 오히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9%, 2.55% 증가했다. 동 기간 국투전력 산하 기업의 평균 전기요금은 KWh당 0.3위안(약 51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7% 떨어졌다.

창장(長江)증권은 "3분기 국투전력은 수력발전 규모와 가격 면에서 모두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며 "수력발전 비용이 비교적 안정적인 것을 감안하면, 수력발전 사업의 이윤이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청정에너지 사업으로 구조전환 속도

국투전력은 화력발전 자산을 처분하고 청정에너지 사업에 주력하며 사업구조 전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3월 국투전력은 안후이(安徽)성 쉬안청(宣城)시에 있는 화력발전소 지분 51%를 비롯한 화력발전 자산 6곳의 지분을 양도하며 '13차 5개년 계획(2016~2020년)' 기간의 화력발전 퇴출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

더불어 청정에너지 사업과 관련해서 국투전력은 올 5월에 베이징 엔터프라이즈 클린 에너지 그룹(北控清潔能源· Beijing Enterprises Clean Energy Group)이 간접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태양에너지 발전 자산인 샹수이헝넝(響水恆能)과 샹수이융넝(響水永能) 지분을 모두 사들였다. 이 두 회사는 장쑤(江蘇)성 옌청(鹽城)시에 각각 100MW 규모와 20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두고 있다.

또, 올해 9월에는 8200만 위안을 투자해 태양에너지 발전 업체인 장산홀딩스(江山控股, KongSun Holdings)가 보유하고 있던 산시(陝西)성 위린(榆林)시 징볜(靖邊)현의 즈광신에너지개발유한공사(智光新能源開發有限公司)도 인수했다. 이 업체는 산시성 위린시에 50MW의 태양광발전소를 가지고 있다.

[뉴스핌=조윤선 기자] 2020.11.04 yoonsun@newspim.com

둥우(東吳)증권은 "국투전력의 수력발전소가 있는 야룽강의 올해 수원이 풍부하고 적자를 냈던 화력발전 자산을 처분한데다, 내년과 내후년 야룽강 중류의 량허커우(兩河口), 양팡거우(杨房沟) 수력발전소가 전력 생산에 돌입하면서 향후 3년 국투전력의 이윤이 평균적으로 15~2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둥우증권은 2020~2022년 국투전력의 순이익이 각각 62억 1200만 위안, 76억 4200만 위안, 79억 3700만 위안에 달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0.6%, 23%, 3.9%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이란 관측도 내놨다. 동 기간 주당순이익(EPS)은 각각 0.89위안, 1.10위안, 1.14위안으로, 주가수익배율(PE)은 각각 10배, 8배, 8배로 제시하며 '매수' 등급을 유지했다.

다만, 거시경제 둔화와 산업 기업의 수익성 하락에 따른 전력 수요 감소, 야룽강 수위 상황이 수력발전량에 미치는 영향, 전기요금 하락 리스크 등에 유의할 것을 조언했다.

한편, 중국 증시에서 국투전력의 주가는 3일 종가 기준, 9위안으로 전 거래일 대비 0.66%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625억 위안(약 10조 5980억 원)에 달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