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후 국가순위 최대폭 상승
기업·정부 효율성 및 인프라 순위↑
경제성과 '주춤'…고용부문 하락
1위 싱가포르…中 20위·日 34위
[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한국이 지난해 28위에서 23위로 5계단 상승했다. 지난 2013년 이후 7년만에 최고등급이며, 5계단 높아진 것은 2000년대 들어 처음이다.
1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D 산하 세계경쟁력센터(WCC)는 이날 발간한 '2020년 IMD 국가경쟁력 연감'에서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전체 평가 대상국 63개국 중 23위인 79.2점(100점 만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전년(28위)대비 5단계 상승한 것으로, 2000년 이래 최대 폭으로 순위가 올랐다.
[자료=기획재정부] 2020.06.16 onjunge02@newspim.com |
인구 2000만명 이상인 국가 29개국 중에서는 8위를 차지해 지난 2012년(8위)과 함께 역대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 인구 5000만명 이상을 뜻하는 '30-50 클럽' 국가(7개국)들 중에서는 미국, 독일, 영국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주요 결과를 보면 4대 분야 중 지난해와 순위가 동일한 경제성과(27위) 부문을 제외하고 ▲정부효율성(31→28위) ▲기업효율성(34→28위) ▲인프라 (20→16위) 부문에서 모두 순위가 상승했다.
가장 크게 오른 부문은 기업효율성(34→28위)이다. 이 부문에서는 작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한 생산성과 금융시장 분야를 제외하고 노동시장과 경영활동 평가, 행태·가치 분야에서 크게 개선됐다.
노동시장은 교육훈련강화 및 경제활동인구 증가에 힘입어 개선됐고, 경영활동은 경영자 신뢰제고와 기업의 시장 대응력이 크게 개선 등으로 순위가 대폭 상승했다. 행태·가치 측면에서는 국민의 위기대응능력과 가치관 강화, 사회개혁에 대한 공감대 확대 등이 순위 상승에 기여했다.
인프라 부문(20→16위)도 개선됐다. 최상위 수준인 과학 인프라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 전체 순위가 올랐다. 특히 철도 확대 및 벤처 지원 활성화, 학업성취도 상승 등이 전체 순위를 견인했다.
정부 효율성은 소폭(31→28위) 올랐다. 제도‧기업‧사회여건 부문은 정부정책 투명성(42위→32위), 실업지원제도(40위→28위) 등이 개선되면서 순위가 올랐다. 그러나 지난해 확장 재정정책의 영향으로 재정수지(3→13위)와 정부부채 증가율(40→54위, Background data) 순위가 하락하면서 전체 순위는 3계단 상승에 그쳤다.
다만 경제성과는 국내경제와 국제무역 및 물가분야에서 상승했으나 고용분야가 하락하면서 전년(27위) 수준을 유지했다. 국내경제·국제무역·물가 분야 양호한 경제성장과 경제회복력, 낮은 소비자 물가상승률 등을 바탕으로 개선됐지만, 고용부문에서 실업률(18→20위)과 공공부분 고용비중(9→12위) 영향으로 순위가 하락했다. (표 참고)
[자료=기획재정부] 2020.06.16 onjunge02@newspim.com |
주요국 중에서는 싱가포르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가 8위에서 6단계 상승한 2위, 스위스가 1단계 상승해 3위를 기록했다. 캐나다와 노르웨이는 각각 8위와 7위를 기록해 10위 안에 진입했다. 미국은 전년대비 7단계 하락한 10위를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지난해 2위였던 홍콩이 3단계 하락한 5위를 차지했다. 중국은 6단계 하락한 20위, 일본이 4단계 하락한 34위를 기록하며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한편 IMD WCC는 한국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과 중국 칭화대, 일본 미쓰비시종합연구소 등 각국 파트너기관과의 협력하에 1989년부터 매년 주요 4대 분야(경제성과, 정부효율성, 기업효율성, 인프라)에 대한 국가경쟁력 순위를 발표해오고 있다.
onjunge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