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을 필두로 주요국이 8조달러에 달하는 슈퍼 부양책을 가동하고 나선 가운데 후폭풍을 경고하는 주장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를 포함한 각국 중앙은행의 양적완화(QE)에 기대 투자자들의 채권 매입이 뒷받침되고 있지만 불과 1년 뒤 상황은 크게 달라질 것이라는 얘기다.
월가 [사진=로이터 뉴스핌]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이 진정되면서 경기 회복이 가시화될 경우 국채 수요가 크게 위축되면서 금리가 치솟을 것이라는 우려다.
14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 코로나19 충격을 진화하기 위한 주요국의 부양책이 금융시장에 파괴적인 결과를 일으킬 것이라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내놓은 부양책 규모는 무려 3조달러.
일본은 연간 GDP의 20%에 해당하는 재정 확대로 코로나19 충격에 대처하기 위해 18조2000억엔(1700억달러)의 국채 발행에 나섰고, 독일과 이탈리아도 각각 GDP의 30% 규모로 총 1조8400만달러에 달하는 재정 부양을 시행하고 있다.
주요국이 가동중인 부양책의 규모는 8조달러에 이른다. 각국 정부가 발행해야 하는 국채 물량이 천문학적인 규모라는 얘기다.
최근까지 커다란 시장 혼란 없이 물량이 소화되는 것은 연준을 포함한 중앙은행의 QE와 무관하지 않다.
투자자들이 중앙은행의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최후의 보루 삼아 쏟아지는 국채 물량을 받아내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시장 상황이 급변할 수 있다는 것이 월가의 주장이다. 이턴 반체 매니지먼트의 에릭 스타인 채권 책임자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주요국 곳곳에서 중앙은행이 전방위 자산 매입에 나섰고, 이 때문에 국채 매입 수요가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다"며 "하지만 앞으로 1~2년 뒤의 상황은 크게 다를 것"이라고 내다봤다.
팬데믹이 진정되면서 침체에 빠져들었던 주요국 경제가 회복 신호를 보일 여지가 높고, 인플레이션이 함께 상승하면서 국채 수요가 '절벽'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다.
멜버른 소재 헤지펀드 업체 K2 애셋 매니지먼트의 조지 부부라스 리서치 헤드 역시 "각국 정부의 국채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이 막히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중앙은행이 QE에서 발을 빼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 없는 시장 혼란이 전개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경기 침체가 본격화된 데 따라 안전자산인 선진국 국채 수요가 뒷받침되는 상황이지만 유럽 주요국이 발행에 나설 때마다 입찰 물량을 확보하는 데 만전을 기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이라는 분석이다.
가령, 독일과 영국은 투자자 저변을 확대하는 한편 입찰 참여를 최대한 확대하기 위해 국채 발행 물량의 일부를 신디케이트 형태로 소화했다.
또 미국이 30여년만에 20년 만기 국채 발행을 재개할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새로운 수요를 일으키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수요 절벽과 국제 유가 폭락이 맞물리면서 디플레이션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더 높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아베르딘 스탠더드 인베스트먼트의 제임스 애디 머니매니저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쏟아낸 대규모 유동성 때문에 앞으로 18개월 뒤면 인플레이션이 크게 뛸 전망"이라며 "이 때 국채 매물이 봇물을 이룰 것"이라고 경고했다.
메디올라늄의 찰스 디벨 머니매니저도 "코로나 위기가 종료되는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면 국채시장이 수요 절벽을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