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환경청, 폐사 원인분석 연구결과 발표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 안동댐에서 왜가리들이 폐사한 이유는 질병이나 중금속 중독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구지방환경청(청장 정경윤)은 13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안동댐 상류지역 왜가리 폐사원인 분석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대구환경청은 안동댐 상류 번식지에서 왜가리 폐사체가 지속 발생됨에 따라 중금속 등에 의한 폐사 여부를 밝히기 위해 2018년도부터 원인을 조사해 왔다.
연구용역을 맡았던 경북대 산학협력단 수의과대학 연구팀(연구책임자 이영주 교수)에 따르면, 왜가리의 폐사에 질병이나 중금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2018년 12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11개월에 걸쳐 안동댐 지역 7개체, 타지역(봉화·영주) 4개체 등 총 11개체를 대상으로 병원체 검사, 중금속 검사, 외상 및 내장부검 등 3개 분야에 대해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사진 참고).
[자료=대구지방환경청] 2020.05.13 dream@newspim.com |
병원체 검사결과, 대장균, 살모넬라 및 가금콜레라와 같은 세균성 질병의 감염은 없었고,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도 확인되지 않았다. 총 9개 항목의 중금속(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아연, 니켈, 세슘, 크롬) 분석결과 카드뮴과 비소는 미검출, 그 외에 중금속은 미량 검출됐다.
안동댐 인근 왜가리와 타지역 왜가리를 비교시 일부 항목에서 안동댐 인근 왜가리의 체내 중금속 농도가 약간 높았지만 의미있는 수준의 중금속 수치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조사된 중금속 농도가 왜가리의 생리활성에 비정상적 요인으로 작용할만한 수치로 검출되지 않았다. 수은의 경우 안동댐 인근 왜가리에서는 0.63㎍/g으로 대조군인 타지역(봉화·영주) 왜가리 0.28㎍/g 보다 높게 검출됐으나, 폐사가 일어날 수 있는 농도(8.5㎍/g)보다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상 및 내장부검 결과, 육안적 병기검사 가능한 개체의 경우 심장, 간, 폐 등 모두 정상이었고 이상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일부 개체에서 관찰되는 날개와 다리의 출혈과 두부(頭部) 천공은 둥지에서 떨어지거나 다른 동물에 의한 공격으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문헌조사 결과 모든 조류의 67%는 여러 가지 이유로 첫해에 사망하는 특징이 있으며, 왜가리의 경우 평균수명은 약 5년 정도로 출생 후부터 2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은 약 26%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왜가리 폐사 원인분석 외에 환경부와 대구지방환경청은 왜가리 폐사 원인분석 외에도 낙동강 상류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원인 규명과 대책 마련을 위해 다양한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있다.
환경부에서 2018년 8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실시한 안동댐 상류 수질·퇴적물 조사·연구(1차) 결과, 카드뮴·아연 농도가 영풍석포제련소 상류에 비해 하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지금은 영풍석포제련소와 폐금속 광산 등 오염원별 영향 범위와 기여율을 밝히기 위한 후속 조사·연구(2차)가 2019년 12월부터 진행되고 있따.
대구지방환경청에서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실시한 제련소 2공장 침출수 유출 조사·연구에서는 카드뮴 농도가 높은 공장 내부 지하수가 외부로 누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정경윤 대구지방환경청장은 "이번 연구는 2017년과 2018년에 폐사한 왜가리 사체를 확보하기 어려워 2019년에 폐사한 왜가리들을 주 대상으로 해 한계는 있다"면서 "앞으로 왜가리 번식지 보호를 위해 안동시와 협의해 보전대책을 마련하는 등 지속적으로 야생동물 안전관리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