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유황유 생산, 하반기부터 7만 배럴 기대
중국 보조금 정책 변화…면밀히 모니터링중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SK이노베이션이 올해 배터리 사업 부문에서 연간 매출 2조원을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SK이노베이션은 31일 열린 기업설명회에서 "올해 상반기 헝가리와 중국 공장이 상업가동할 예정이고 서산공장은 작년과 같이 안정적으로 가동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감압잔사유 탈황설비(VRDS) 설비와 관련해서는 "1월말 기준 99.9%이며 오는 3월이나 4월 상업 가동할 예정"이라며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하반기부터는 저유황유(LSFO) 생산이 현재 3만 배럴에서 7만 배럴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LG화학과 벌이고 있는 배터리 소송과 관련해서는 "현재 언론보도에 나온 모든 것들이 소송의 진행과정 중에 있고, 소송이 마무리되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회사로선 현재 결정된 게 없기 때문에 관련해서 입장을 언급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중국 보조금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는 "중국 현지 정부의 기조를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며 "현지 업체와 단체등과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외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서는 "과거 사스나 메르스 등의 상황을 비춰볼 때, 석유사업 시황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봤다.
다만 "중국 정부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할 경우 1분기 이후에 IMO(국제해사기구) 2020 규제 효과와 더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진
사진
![]() |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미국 조지아주 잭슨 카운티 커머스시에 건설 중인 전기차배터리 공장. [제공=SK이노베이션] 2020.01.16 yunyun@newspim.com |
감압잔사유 탈황설비(VRDS) 설비와 관련해서는 "1월말 기준 99.9%이며 오는 3월이나 4월 상업 가동할 예정"이라며 "정상적으로 가동하는 하반기부터는 저유황유(LSFO) 생산이 현재 3만 배럴에서 7만 배럴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LG화학과 벌이고 있는 배터리 소송과 관련해서는 "현재 언론보도에 나온 모든 것들이 소송의 진행과정 중에 있고, 소송이 마무리되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회사로선 현재 결정된 게 없기 때문에 관련해서 입장을 언급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중국 보조금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는 "중국 현지 정부의 기조를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라며 "현지 업체와 단체등과 긴밀한 협력관계 유지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 외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서는 "과거 사스나 메르스 등의 상황을 비춰볼 때, 석유사업 시황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봤다.
다만 "중국 정부가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할 경우 1분기 이후에 IMO(국제해사기구) 2020 규제 효과와 더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yuny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열병식에서 공개된 DF-5C 핵미사일
3일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DF-5C 핵미사일이 공개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9-03 13:41

김주애, 아빠 따라 첫 외교무대 데뷔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주애(12)가 중국 방문길에 동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일 밤 김정은의 베이징역 도착 소식을 전하면서 3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오후 전용열차 편으로 베이징역에 도착해 중국 측 인사들의 환영을 받고 있다. 김정은 뒤편으로 딸 주애(붉은 원)와 최선희 외무상이 보인다. 김주애가 해외 방문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09.02 yjlee@newspim.com
여기에는 환영나온 왕이 외교부장 등 중국 측 인사와 만나는 김정은 바로 뒤에 서있는 딸 주애가 드러난다.
김주애가 해외 방문에 나선 건 지난 2022년 11월 공개석상에 등장한 이후 처음이다.
김주애는 검은색 바지 정장 차림으로 김정은을 따라 전용열차에서 내렸고, 그 뒤는 최선희 외무상이 따랐다.
그러나 붉은 카페트를 걸어가는 의전행사에는 빠져 공식 수행원에 명단을 올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주애가 중국 전승절(3일) 행사참석을 위해 방중한 김정을을 수행함으로써 그의 후계자 지명 관측에는 더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또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와 김정은이 만나는 자리에 주애가 동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알현 행사' 성격을 띠게 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yjlee@newspim.com
2025-09-02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