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부터는 야생멧돼지 총기포획은 중단…동계 기상 고려"
"민간엽사 총기포획과 포획틀·포획트랙 이용한 포획은 지속"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군이 지난 10월부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매개체로 알려진 야생멧돼지 포획에 나선 결과 총 2005두의 야생멧돼지를 포획했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20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지금까지 야생멧돼지 포획을 한 결과, 사체로 발견한 것 152두, 포획틀이나 포획트랙으로 포획한 것 1110두, 민·관·군 합동으로 총기 포획을 한 것은 743두 등 총 2005두를 포획했다"고 밝혔다.
야생 멧돼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앞서 지난 10월 경기 북부, 인천 강화군 등의 돼지 농장에 돼지열병이 확산됐다. 이와 관련해 먼저 돼지열병이 발병·확산된 북한에서 넘어 온 야생멧돼지가 돼지열병 확산의 매개체가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됐다. 실제로 비무장지대(DMZ) 인근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발견되기도 했다.
우리측 남방한계선 일대에 설치된 철책은 과학화 경계시스템이 구축돼 있어 DMZ로부터 남측 이동이 차단돼 있다. 반면, 북측 북방한계선에 설치된 북측의 철책은 우리처럼 견고하지 않아 DMZ 내로의 야생동물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이에 군 당국은 "DMZ 내에서 야생멧돼지가 북측에서 남측으로 넘어 온 사례는 없다"고 밝혔지만, 야생멧돼지로 인한 돼지발병 사전 예방조치 차원에서 즉시 최전방 야생멧돼지 서식지에 저격요원을 배치해 야생멧돼지 총기포획에 나선 바 있다. 동시에 포획틀과 포획트랙을 사용한 포획활동도 벌였다.
또 매일 200여 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해 도로방역, 이동통제초소 지원, 농가초소 지원 등의 대민지원을 지속하기도 했다.
다만 군은 다음 주부터는 야생멧돼지 총기포획은 중단하기로 했다. 겨울철 기상을 고려한 환경부의 통제에 따르기로 한 것이다.
군 관계자는 "군은 야생멧돼지 총기포획을 중단하지만, 지금까지 해 왔던 포획틀과 포획트랙을 이용한 (포획) 활동은 계속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민간엽사들은 총기포획 활동을 지속 실시한다"며 "군은 출입조치 안내, 안전조치 등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