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홍콩의 슈퍼 부자들이 현금을 챙기고 있다.
지난 6월부터 본격화된 이른바 송환법 반대 시위가 반중 및 반정부 시위로 확대, 장기화되면서 경기 침체 위기가 닥치자 보유중이던 자산을 팔아치우고 현금 비중을 대폭 늘린 것.
고액 자산가들이 싱가포르를 포함한 해외로 보유 자금을 옮긴 데 이어 투자 심리의 냉각을 드러내는 단면으로 풀이된다.
신중국 건국 70주년 기념일인 1일, 홍콩의 반정부 시위대가 입법회 인근을 행진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15일 컨설팅 업체 캡제미니에 따르면 투자 자산 100만달러 이상의 홍콩 자산가들이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을 30.3%로 확대했다.
이는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백만장자들의 현금 비중은 주식 비중 28.7%를 훌쩍 웃돌았다. 이는 2015년 이후 4년만에 처음이다.
이와 별도로 UBS에 따르면 홍콩의 패밀리 오피스 역시 현금 비중을 12~14%로 늘린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2015년 데이터 집계가 시작된 이후 최고치에 해당한다.
패밀리 오피스는 고액 자산가들의 투자 자금 운용 창구라는 점에서 이번 수치가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주요국 패밀리 오피스의 평균치와 비교할 때 홍콩의 현금 비중이 현격하게 높다는 것이 UBS의 설명이다.
홍콩 부호들이 지극히 보수적인 전략을 취하는 것은 4개월 이상 이어지는 과격 시위로 인해 실물경기 한파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자산가들 가운데 내년 경기 침체를 예상하는 이들이 56%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홍콩의 GDP는 1분기 대비 0.4% 위축됐고, 3분기 역시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
캠프덴 웰스의 레베카 구치 리서치 이사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전세계 패밀리 오피스가 지정학적 리스크에 강한 경계감을 보이고 있고, 글로벌 경제의 확장 사이클이 종료를 맞았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전했다.
크레디트 스위스(CS)의 존 우즈 아시아 태평양 부문 최고투자책임자는 “이미 홍콩 투자자들이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브렉시트 리스크,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에 움츠리기 시작한 가운데 과격 시위에 따른 실물경기 충격이 자산시장의 매도를 부추기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홍콩 자산가들의 현금 비중 상승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과격 시위를 진정시킬 해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한편 홍콩증시의 항셍지수는 7월 말 이후 4.6% 하락했다. 이는 선진국 증시 가운데 최악의 성적에 해당한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