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한국 진출하는 중국 전기차 바이튼, 차세대 프리미엄 브랜드로 돌풍예고

기사입력 : 2019년10월14일 17:13

최종수정 : 2019년10월14일 17:13

바이튼 난징 제조라인 완공, 2020년부터 정식 생산 돌입
전기차 사전 주문량 5만대, 유럽 등 해외 시장서 발생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중국의 전기차 브랜드 바이튼(BYTON,拜腾)이 한국에서 위탁 생산을 추진하면서 자동차 업계의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다. 특히 차량 생산이 본격화 되면 수출 물량외에 국내 시장으로도 중국 전기차가 팔릴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돼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바이튼의 협력사인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엠에스 오토테크(MS Autotech)의 계열사 명신은 지난 3월 한국 GM의 군산 공장을 인수했다. 명신측은 인수 당시 군산 공장을 전기차 생산을 위한 전진기지로 삼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바이튼과 명신의 협약에 따르면, 바이튼의 전기차는 오는 2021년부터 군산 공장에서 생산된다.

바이튼은 웨이라이(蔚來), 웨이마(威馬) 등을 포함한 ‘중국판 테슬라’로 불리는 신흥 전기차 업체중 하나로, 중국의 전기차 ‘르네상스 시대’를 이끌 유망 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바이튼과 명신은 지난 9월 위탁생산을 위한 협약식을 열었다[사진=바이두]

◆스마트 전기차로 차별화, 프리미엄 브랜드 지향

바이튼은 지난 텐센트, 폭스콘,허셰치처(和谐汽车) 3개사가 지난 2015년 3월 전기차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공동으로 출자해 설립된 업체인 퓨처 모빌리티(FMC)의 전기차 브랜드이다.

올해 출범 4년차인 스타트업 바이튼은 저렴한 가격으로 ‘가성비’로 승부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설립 초기부터 미국 테슬라와 정면 승부를 하는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실제로 이 업체는 테슬라,BMW 등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에서 근무한 실력 있는 인재들을 영입하면서 스마트 카 개발에 시동을 걸었다.

바이튼의 SUV '엠바이트' [사진=바이두]

이 업체는 지난 2018년 세계 최대 IT 박람회인 CES를 통해 컨센트카를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에 화려하게 데뷔했다. 당시 바이튼은 손짓,음성,터치 등 생체 인식기능을 통한 내부 기능 조정과 개별 운전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기능을 구현한 ‘스마트 전기차’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생산라인도 마련됐다. 얼마 전 프레스, 차체 용접, 도장, 조립 등 세부 공정 라인을 갖춘 장쑤(江蘇)성 난징 공장을 완공한 바이튼은 10월부터 시범 양산에 들어간다. 또 오는 2020년부터 중국 시장 판매를 시작으로 북미와 유럽시장 겨냥한 본격적인 전기차 모델 생산에 돌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튼 난징공장[사진=바이두]

중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생산하게 될 차량 모델은 지난 9월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공개된 SUV인 ‘엠바이트’(M-BYTE)로 알려졌다. 

이 SUV 모델은 안면인식, 동작 인식 등 첨단 기술 적용을 통해 운전자와 차량이 쌍방향 ‘소통’하는 최적화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중 차체의 B필러에 위치한 센서를 통해 운전자의 얼굴 정보 확인 후 차문을 개폐하게 된다. 또 바이두의 음성 네비게이션, 다중뎬핑(大眾點評), QQ 뮤직, 아이치이(愛奇藝) 등 앱이 장착된다.

이와 함께 세계 최초로 48인치의 대형 스크린이 앞 좌석에 배치되면서 운전자와 다른 탑승자간에 차량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창’이 구현됐다. 이 대형 스크린은 중국의 디스플레이 업체 징둥팡(BOE)이 납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튼 차량 내부[사진=바이두]

한편, 바이튼측은 지난 9월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5억 달러 규모의 시리즈 C 시리즈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장쑤(江蘇)성,난징 (南京)시 산하 산업기금, 이치그룹(一汽集團) 등 기업이 참여했다

이와 관련, 대니얼 커처트(Daniel Kirchert) CEO는 “C 시리즈 투자금으로 차량 양산에 필요한 충분한 자금을 마련했다”며 “R&D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곧 바로 다음 단계의 투자금 유치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그러면서 “바이튼은 이미 5만여대의 사전 주문이 있었다”며 “그중 2만대가 유럽 시장에서 주문됐다”고 덧붙였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