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7월 4일 오전 11시13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하 기대가 상반기를 종료하는 시점에 글로벌 채권시장에 파란을 일으켰다.
취임 이후 매파 기조를 고집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웠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목소리를 달리 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 5월10일 미국의 관세 인상으로 중국과 무역 전면전 리스크가 고조된 이후다.
2015년 12월 제로금리 정책 종료 후 지난해 12월까지 아홉 차례에 걸쳐 25bp(1bp=0.01%포인트)씩 금리인상을 단행한 연준이 연초 통화정책 정상화에 ‘브레이크’를 건 데 이어 금리인하 카드를 꺼내 들자 신흥국과 유럽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일제히 선제적인 행보를 취했다.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투기 세력이 달러화 하락 포지션을 취하면서 금과 위험자산으로 파장이 확산됐고,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한 때 2.0%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월가의 투자은행(IB) 업계는 일제히 연말 수익률 전망치를 낮춰 잡았다.
이 밖에 시장금리의 가파른 하락에 정크본드 발행이 봇물을 이뤘다. 자금 조달 비용이 떨어지자 투기등급 기업들이 신규 및 차관 발행에 뛰어든 결과다.
통화 정책 변수 이외에 2분기 채권시장을 쥐락펴락한 것은 거시경제 리스크에 대한 경계감이다. 미국과 중국이 일촉즉발의 대치 상황을 연출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 경기 침체 경고가 쏟아졌고,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고조되면서 이른바 ‘서브 제로’ 채권 규모가 12조5000억달러를 웃돌며 사상 최고치 기록을 갈아 치웠다.
◆ 미 10년물 2.0% 아래로..주요국 통화완화 잰걸음 = 지구촌 국채시장에 커다란 반전을 일으킨 것은 6월 연준 통화정책 회의 결과였다.
성명서 문구에서 ‘인내심’이라는 문구를 삭제, 정책자들은 금리인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했다. 실제로 연내 연준이 금리를 내릴 경우 지난 2009년 12월 제로금리 정책 시행 이후 10여년만에 첫 인하가 되는 셈이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국채 선물 트레이더들이 예상하는 7월 금리인하 가능성이 6월 하순 100%까지 상승, 통화정책 반전에 대한 시장의 강한 기대를 드러냈다.
이 같은 상황을 반영, 미국 벤치마크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한 때 2.0% 아래로 떨어졌고 상징적 지지선에 대한 시험이 지속되고 있다.
연준 정책자들 사이에 꼬리를 무는 금리인하 주장은 국채 수익률 하락을 더욱 부채질했다. 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는 지난달 오하이오에서 열린 컨퍼런스에서 실망스러운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더 지켜보고 있다가는 더욱 공격적인 통화정책 완화에 나서야 하는 상황을 맞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금리 표결 권한을 갖지 않은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준은행 총재는 은행 웹사이트에 올린 글에서 6월 회의에서 50bp의 금리인하를 주장했다고 밝히고, 핵심 물가가 2% 선에서 안정을 이룰 때까지 금리를 올려서는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주요 신흥국은 금리인하에 본격 나섰다. 6월 러시아가 기준금리를 7.75%에서 7.50%로 하향, 1년여만에 첫 금리를 단행한 한편 추가 인하 가능성을 예고했다.
이에 앞서 칠레와 인도가 기준금리를 내렸고,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도 같은 행보를 취했다. 중국 인민은행(PBOC)은 은행권에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하는 형태로 통화완화를 시행했다.
월가의 투자가들은 올해 여름 남아공과 인도네시아, 이집트, 한국 역시 실물경기 부양을 위해 정책적인 대응에 나설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한편 IB 업계는 연말 금리 전망치를 일제히 낮춰 잡았다. 골드만 삭스가 연말 10년물 국채 수익률 목표치를 2.80%에서 1.75%로 대폭 떨어뜨린 한편 일본과 유로존 금리 전망치도 하향 조정했다.
코메르츠방크가 연말 10년물 수익률이 1.25%까지 떨어질 가능성을 예고했고, JP모간 역시 같은 행보를 취했다.
◆ ‘서브 제로’ 채권 사상 최대, 후폭풍 경고 = 한동안 잠잠했던 소위 ‘서브 제로’ 채권이 다시 몸집을 확대했다.
독일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마이너스 0.3% 선으로 후퇴, 한 때 사상 최저치 기록을 세운 한편 프랑스와 스웨덴 10년물 국채 수익률도 마이너스 영역에 진입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리스크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안전자산으로 투자 자금이 밀려든 데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금리인하 기대가 번진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6월 하순 기준 전세계 서브 제로 채권 규모는 12조5000억달러를 넘어서며 2016년 기록했던 최고치를 뛰어 넘었다.
시장 전문가들은 후폭풍을 경고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 심리가 상승하거나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가 한풀 꺾일 경우 해당 채권을 매입한 투자자들이 커다란 손실 리스크를 떠안게 된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이뤄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에서 협상 재개와 추가 관세 보류가 결정, 최악의 시나리오를 모면한 데 따라 이 같은 주장에 힘이 실린다.
다른 한편에서는 정크본드 발행이 활황을 이뤘다. 금리 하락에 자금을 확보하려는 기업들이 발행 시장으로 몰려든 데다 고수익률에 목마른 투자 수요가 맞물린 결과다.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에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2.0% 아래로 떨어지자 회사채 발행 대기 물량이 쏟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 무역 냉전 모면, 7월 연준의 결정은 = 투자자들이 주시하는 것은 연준의 7월 통화정책 결정이다. 무엇보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담판 결과에 대한 연준 정책자들의 대응이 뜨거운 감자다.
3000억달러 물량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추가 관세가 보류, 일단 최악의 시나리오를 모면했지만 통상 시스템 개혁을 둘러싼 신경전이 팽팽한 만큼 무역 냉전 리스크가 여전히 잠재된 상황.
통화정책 결정에 인플레이션을 포함한 경제 지표를 최우선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연준이 잠재적인 무역 마찰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인지 여부에 투자자들의 시선이 고정됐다.
무역 협상 결과와 무관하게 채권 트레이더들은 연내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는 움직임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7월 회의 결과가 투자자들을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뉴욕증시는 물론이고 달러화와 금값까지 자산시장 전반에 또 한 차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