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리설주 직접 영접…국빈급 의전 21발 예포
이례적 두 차례 환영행사…北 주민 24만명 동원
시진핑 맞춤형 대집단 체조 '불패의 사회주의' 관람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중국 최고지도자로는 14년 만에 북한을 방문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북측으로부터 성대한 영접을 받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평양 순안공항에 직접 나와 최고 수준의 예우를 보여줬다. 25만 평양 주민들도 동원돼 시 주석을 열렬히 환영했다. 비핵화 교착 국면에서 '북중동맹'을 대외적으로 과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오전 북한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함께 환영행사에 참여하고 있다.[사진=노동신문] |
◆김정은·리설주, 평양 순안공항서 시진핑 부부 영접…국빈급 의전 21발 예포
지난 20일 오전 11시께 시 주석과 펑리위안(彭麗媛) 여사, 딩쉐상(丁薛祥) 공산당 정치국 위원 겸 중앙판공청 주임, 양제츠(楊潔篪) 정치국 위원 겸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왕이(王毅) 국무위원 국무위원 겸 외무부장, 허리펑(何立峰) 국가발전대혁위원회 주임이 탑승한 전용기가 등장하자 미리 대기 하고 있던 1만여 명의 환영단은 일제히 우레와 같은 함성을 내질렀다.
이윽고 시 주석 내외가 전용기에서 내리자 김 위원장과 리설주 여사는 이들을 맞이했다. 김 위원장의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과,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겸 당 부위원장, 리만건 당 조직지도 부장, 리수용 당 중앙위원회 국제담당 부위원장, 김영철 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 등 고위 간부들도 총출동 했다.
특히 국내서 '숙청설'이 나돌았던 김 부위원장은 지난 2일 군 공연장에서 건재를 과시한 데 이어 이번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또 그간 김 위원장을 밀착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던 김 제1부부장은 영접단 전면에 서며 달라진 위상을 가늠케 했다. 김 제1부부장의 역할은 현송월 삼지현관현악단장 겸 당 부부장이 맡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 관영 CCTV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면 현 부부장은 김 위원장 부부 근저리에서 '김정은 집사'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과 함께 있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아울러 양측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에는 21발의 예포가 발사됐다. 국빈급 의전에 맞춘 최고수준의 예우를 상징하는 장면이라는 지적이다.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은 나란히 북한 인민군 의장대를 사열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과 시 주석 뒤에는 리설주와 펑리위원 여사가 뒤따랐다.
![]()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오전 북한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한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의장대를 사열하고 있다.[사진=노동신문] |
◆이례적 두 차례나 환영행사…北 주민 24만명 총동원
공항 환영행사를 마치고 두 정상은 김일성과 김정일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으로 향하기 위해 무개차에 몸을 실었다. 이후 '평해튼(평양+맨해튼)'이라 불리는 평양 려명거리 부터는 함께 무개차에 탑승해 카퍼레이드를 시작했다. 중국 CCTV에 따르면 카퍼레이드를 진행하는 북중 정상을 환영하기 위해 평양 주민 25만명이 동원됐다고 한다.
금수산태양궁전에 도착한 시 주석은 김 위원장이 마련한 두 번째 환영식을 지켜봤다. 수만개의 풍선이 하늘을 수놓았으며 같은 색깔의 한복을 맞춰 입은 '행사 인원'들은 대열을 맞춰 율동을 선보이기도 했다.
북한이 금수산태양궁전에서 외국 지도자를 위한 환영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해 9월 방북 시 공항 환영행사와 카퍼레이드는 했지만 금수산태양궁전에서 환영행사는 받지 못했다. 이에 김 위원장이 연이어 환영행사를 개최하며 시 주석에 대한 각별한 '우정'을 선보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 |
20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무개차에 탑승해 평양 려명거리에서 카퍼레이드를 진행하고 있다.[사진=노동신문] |
금수산태양궁전에서는 김 위원장의 '오른팔'이자 권력 서열 2위인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겸 국무위원회 제1부부장이 제일 먼저 영접했다. 김재룡 총리와 박광호·김평해·오수용·박태성 당 부위원장도 모습을 드러냈다.
시 주석은 공식 환영행사를 마친 후 금수산태양궁전 인근 금수산 영빈관에 머문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북중 두 정상은 오후 4시부터 금수산 영빈관에서 단독·확대회담을 가졌다.
◆시진핑 맞춤형 대집단체조 '불패의 사회주의' 관람
정상회담이라는 '주요 일정'을 소화한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은 오후 7시부터 목란관에서 환영만찬을 가졌다. 중국 CCTV는 "장엄한 분위기의 목란관에는 환한 불빛과 함께 장엄하고 기쁜 분위기가 감돌았다"고 전했다.
만찬 이후 북중 두 정상은 평양 능라도 5.1경기장에서 대집단체조(매스게임)인 '불패의 사회주의'를 관람했다. 당초 알려진 '인민의 나라'가 아닌 시 주석의 방북에 맞춰 새로 기획된 것으로 보인다.
CCTV는 "1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능라도 5.1경기장에는 빈자리가 없었다"며 "'시진핑 주석과 펑리위안 여사를 열렬히 환영합니다', '평양-베이징' 등 플래카드가 각별히 눈에 띄었다"고 보도했다.
시 주석과 김 위원장이 9시40분께 준비된 연단에 모습을 드러내자 자리를 매운 환영인파들은 일제히 박수를 치며 환호했다고 한다.
![]() |
북한을 공식 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내외와 함께 20일 저녁 평양 5.1 경기장에서 집단체조 공연을 지켜보고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 중국 CCTV 캡처] |
공연의 주제는 '북중 우의는 영원토록 푸르리라'로 이는 2008년 국가부주석이던 시 주석이 북한을 방문해 방명록에 남긴 글귀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연은 '사회주의는 우리의 가정', '승리의 함성', '더 나은 내일을 위해', '견고한 우의' 등 총 4가지로 구성됐다.
CCTV는 "북한의 3대 악단인 국립교향악단, 공훈합창단, 삼지연관현악단이 처음으로 함현을 선보였다"며 "공연장은 화려한 조명과 공연, 환호와 박수 소리가 여기저기서 울려퍼져 내내 감동을 자아냈다"고 했다.
공연이 끝난 후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은 출연자들과 관중들에게 박수를 보냈다. 특히 출연자들에게 꽃바구니를 전달하기도 했다.
![]() |
공연장을 가득 채운 평양시민들 [사진 = 중국 CCTV 화면캡처] |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북중최고영도자 동지들을 모시고 진행된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불패의 사회주의'는 위대한 새시대를 맞이한 북중친선단결사에 아름답고 소중한 한페이지를 아로새겼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편 '황제 대접'을 받은 시 주석은 21일 김 위원장과 함께 평양시내에 위치한 북중 우의탑을 참배할 것으로 전망된다. 6.25전쟁에 참전한 중국군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북중 우의탑을 방문함으로써 '북중혈맹'을 더 강조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오찬을 겸한 추가 회담 가능성도 있다. 앞서 김 위원장이 네 차례 중국을 방문했을 때도 북중 두 정상은 오찬을 하며 논의를 이어간 바 있다.
이후 시 주석은 귀국길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환영행사 때처럼 환송행사도 성대히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