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YG娱乐陷入毒品风波 业界担忧影响韩流形象

기사입력 : 2019년06월17일 14:44

최종수정 : 2019년07월16일 13:54

韩国造星公司——YG娱乐陷入毒品风波,最大股东兼首席制作人梁铉锡宣布辞去一切职务。业界预测,YG娱乐作为韩国三大娱乐公司(SM娱乐,JYP娱乐)之一,20多年来在促进K-POP走出国门发挥重要作用。如今,公司陷入毒品风波无法自拔,恐对K-POP产业形象带来巨大影响。

【图片=NEWSPIM】

▲警方组成“B.I专门调查组”

YG娱乐旗下男团iKON成员B.I(金韩彬)疑似尝试购买毒品,本人否认后决定退团。

京畿道南部地方警察厅表示,成立16人专项调查组,包括毒品调查队事件组、毒品组、法律支援组的相关人士,对B.I涉嫌购买毒品并吸毒一事进行调查。

警方为查明当时YG娱乐是否为隐瞒B.I购买吸食毒品一事,将对事件的关键证人——目前滞留在海外的A某进行调查。

▲YG娱乐涉毒引网友反弹

虽然梁铉锡及其弟弟梁珉锡表明辞职意向,但YG娱乐并不会因此陷入停摆。公司于14日公开了变更代表理事的相关条文,业界也预测YG娱乐将于本周任命全新代表理事,而此前由梁铉锡担任的首席制作人一职有可能空缺。其间,梁铉锡主要负责YG内容的整体方向和细节,因此即便没有首席制作人这一职务,公司内部其他制作人也可按原定路线开展业务。

YG娱乐涉毒风波以及梁铉锡宣布辞职的消息第一时间通过SNS传递至全球。CNN报道称,防弹少年团(BTS)虽努力提升K-POP在海外人气,但负面新闻也备受瞩目。公告牌也以题为“YG创始人梁铉锡在混乱之中离开公司”,对YG娱乐涉毒风波进行了报道。

此外,该风波还在网友中引发反弹,不少网友展开抵制YG娱乐的运动。

▲21年!YG娱乐的明与暗

YG娱乐推出BIGBANG、2NE1、BLACKPINK等重量级团体,吸引全球目光,为韩流在海外的快速传播做出贡献。公司自1998年成立以来,YG家族、Jinusean等均以Hiphop文化作为公司的DNA,因此很多歌手具有自由与个性等形象。但有声音指出,YG娱乐独有的这种家族式氛围是一把“双刃剑”。

多年来,有关YG娱乐旗下艺人涉毒的新闻屡见不鲜。某娱乐公司负责人表示,YG娱乐在制作内容时强调自由和个性,也有助长艺人脱离现实的一面,加上公司采取自上而下的运营机制,引发艺人发展与公司相互矛盾的现象。

业界呼吁,希望警方严查相关案件,因为只有这样,才能消除围绕在YG娱乐现有艺人、K-POP乃至社会的疑惑。

记者 주옥함(wodemaya@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