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줌인 분양현장] 세종시 ′어울림 파밀리 센트럴′ vs ′자이 e편한세상′ 승자는?

기사입력 : 2019년05월25일 07:00

최종수정 : 2019년05월25일 07:00

브랜드와 입지서 경쟁력 갈려..수요층 분산 전망
분양가 상한제 적용..주변 분양단지 '1억원대' 웃돈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 BRT·상가 바로 앞

[서울=뉴스핌] 김성수 기자 =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아파트 견본주택 두 곳이 동시에 문을 열었다.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세종 자이 e편한세상'과 교통을 비롯한 입지여건이 좋은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이 격돌한다.

25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4-2생활권에 짓는 GS건설·대림산업 컨소시엄의 세종 자이 e편한세상(L4블록), 금호건설·신동아건설 컨소시엄의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M1·M4블록)가 견본주택을 열었다. 두 단지 모두 세종시 집현리 일원에 있다.

우선 세종 자이 e편한세상은 지하 2층~지상 최고 25층, 18개동, 총 1200가구 규모다. 이중 특별공급 물량(△이전기관 600가구 △기관추천 53가구 △다자녀가구 54가구 △노부모부양 21가구 △생애최초 70가구 △신혼부부 106가구)을 제외하면 일반공급은 296가구다.

주택형별 가구수는 전용면적 △84㎡A 313가구(일반 27가구) △84㎡B 73가구(일반 11가구) △84㎡C 188가구(일반 25가구) △84㎡D 146가구(일반 19가구) △101㎡ 274가구(일반 120가구) △124㎡A 71가구(일반 31가구) △124㎡B 90가구(일반 40가구) △124㎡AP(펜트하우스) 26가구(일반 13가구) △124㎡BP 3가구(일반 2가구) △129㎡P 3가구(일반 1가구) △144㎡P 4가구(일반 2가구) △160㎡P 6가구(일반 3가구) △153㎡T 3가구(일반 2가구)다.

[자료=함스피알]

◆ 분양가 상한제 적용..기존 분양단지 '1억원대' 웃돈

두 단지는 모두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다. 인근 분양 단지의 3.3㎡당 시세가 1163만1000~1470만원인 것에 비하면 저렴하다는 평가다.

세종 자이 e편한세상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1099만원이다. 전용면적별 분양가는 △84㎡A 3억1900만~3억6600만원 △84㎡B 3억1900만~3억6500만원 △84㎡C 3억1300만~3억5900만원 △84㎡D 3억2000만~3억6600만원 △84㎡E 3억1200만~3억5800만원 △101㎡ 3억9300만~4억3900만원 △124㎡A 4억6000만~5억600만원 △124㎡B 4억6200만~4억9100만원 △124㎡AP(펜트하우스) 5억4800만원 △124㎡BP 5억4700만원 △129㎡P 5억6500만원 △144㎡P 6억3500만원 △160㎡P 7억1600만원 △153㎡T(테라스) 5억7400만~5억7700만원이다.

전용면적별 발코니 확장비는 △84㎡A1 1170만원 △84㎡A2 1270만원 △84㎡B 940만원 △84㎡C 1080만원 △84㎡D1 790만원 △84㎡D2 850만원 △84㎡E 1040만원 △101㎡ 1300만원 △124㎡A 1340만원 △124㎡B 1190만원 △124㎡AP 1680만원 △124㎡BP 1120만원 △129㎡P 1090만원 △144㎡P 1620만원 △160㎡P 1110만원 △153㎡T(테라스) 1300만원이다.

유상옵션으로는 △폴리싱타일 145만~250만원 △붙박이장 193만~262만원 △다용도 데스크 134만~169만원 △하이브리드 쿡탑 55만원 △광파오븐 35만~54만원 △BIS 냉장고 540만원 △BI 김치냉장고 110만~115만원 △천장형 시스템 에어컨 495만~1220만원이 있다.

세종자이e편한세상 위치도 [자료=GS건설, 대림산업]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은 세종시 4-2생활권 M1블록, M4블록에 들어선다. 지하 2층, 지상 최고 29층, 17개 동, 총 1210가구 규모다. 특별공급을 제외하면 일반공급 물량은 M1블록 75가구, M2블록 129가구다.

전용면적별 물량은 M1블록의 경우 △59㎡A 199가구 △59㎡B 52가구 △59㎡C 63가구 △74㎡A 120가구 △74㎡B 54가구 △74㎡C 57가구 △74㎡D 29가구 △84㎡A 28가구 △84㎡P 10가구다.

M4블록은 △59㎡A 21가구 △59㎡B 36가구 △59㎡C 177가구 △84㎡A 42가구 △84㎡B 96가구 △84㎡C 56가구 △100㎡A 44가구 △100㎡B 57가구 △100㎡C 57가구 △100㎡D 8가구 △100㎡P 4가구로 구성됐다.

3.3㎡당 평균 분양가는 1100만원대다. M1블록은 전용면적 60㎡ 이하 단지가 평균 1028만원, M4블록 전용면적 60㎡ 이하 단지가 평균 1023만원이다. M1블록과 M4블록 모두 전용면적 60㎡ 초과 단지 분양가가 1100만원 이하다. 계약금은 10%, 중도금은 40% 이자후불제가 적용된다.

전용면적별 분양가는 M1블록의 경우 △59㎡A 2억2550만~2억5060만원 △59㎡B 2억2230만~2억4690만원 △59㎡C 2억2550만~2억5060만원 △74㎡A 3억150만~3억3500만원 △74㎡B 3억1510만~3억3520만원 △74㎡C 2억9850만~3억3170만원 △74㎡D 2억9540만~3억2820만원 △84㎡A 3억4100만~3억7890만원 △84㎡P 3억9690만원이다.

M4블록은 전용면적별 분양가가 △59㎡A 2억3060만~2억4530만원 △59㎡B 2억1660만~2억4070만원 △59㎡C 2억2060만~2억4510만원 △84㎡A 3억4990만~3억7220만원 △84㎡B 3억3540만~3억7260만원 △84㎡C 3억4990만~3억7220만원 △100㎡A 4억220만~4억4690만원 △100㎡B 3억9430만~4억3810만원 △100㎡C 3억9650만~4억4050만원 △100㎡D 3억9740만~4억4150만원 △100㎡P1 4억7540만원 △100㎡P2 4억7250만원이다.

발코니 확장비는 M1블록의 경우 △59㎡A 965만7000원 △59㎡B 631만1000원 △59㎡C 1144만5000원 △74㎡A 715만1000원 △74㎡B 1211만2000원 △74㎡C 829만1000원 △74㎡D 1158만9000원 △84㎡A 1073만7000원 △84㎡P 1256만5000원이다.

M4블록은 △59㎡A 965만7000원 △59㎡B 556만7000원 △59㎡C 1050만7000원 △84㎡A 1137만1000원 △84㎡B 1134만9000원 △84㎡C 1192만2000원 △100㎡A 1187만3000원 △100㎡B 1256만3000원 △100㎡C 1090만원 △100㎡D 1323만원 △100㎡P1 1381만5000원 △100㎡P2 1580만3000원이다.

M1블록에서는 유상옵션으로 △천장형 시스템 에어컨 374만~946만원 △TBI냉장고 583만~594만원 △김치냉장고 121만~132만원 △전기오븐 33만~66만원 △하이브리드 쿡탑 55만~66만원 △붙박이장 176만~209만원 △팬트리 209만원 △폴리싱타일 154만~220만원이다.

M4블록 유상옵션은 M1블록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며 △붙박이장 176만~231만원 △팬트리 165만~209만원 △폴리싱타일 154만~286만원이다.

세종시 집현리 인근 A공인중개사 사무소 관계자는 "이달 세종시에서 입주하는 리슈빌 수자인은 현재 분양가 대비 웃돈(프리미엄)이 1억1494만원 붙었다"며 "오는 2021년 2월 입주할 리더스포레(나릿재 1단지)는 웃돈이 1억4612만원"이라고 말했다.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 [자료=금호산업, 신동아건설]

◆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 BRT·상가 바로 앞

교통을 비롯한 입지여건이 상대적으로 좋은 단지는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이다. 단지 앞에 간선급행버스(BRT) 정류장이 들어설 예정이다.

BRT는 '땅 위의 지하철'로 불린다. 시내버스를 일반 차량이 다니는 도로에서 분리해서 버스중앙전용차로로 따로 운영한다는 게 특징이다. BRT를 위한 환승시설과 신호체계가 있기 때문에 신호가 걸리거나 길이 막힐 염려 없이 철도처럼 '정시'에 도착할 수 있다.

또한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은 상업 업무용지도 가까워서 향후 상가가 들어서면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세종시 내부순환도로와 대전 진출입이 가능한 행복도시~부강역 연결도로가 오는 2021년 개통 예정이다. 반경 500m 내 초등학교 2곳, 중학교 1곳도 생긴다.

반면 '세종 자이 e편한세상'은 브랜드 인지도가 높다. 인근에 세종 테크노밸리, 국내·외 대학공동캠퍼스를 비롯한 산학연 클러스터가 조성된다는 점도 장점이다. 근처에 세종시청,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있어서 직주근접이 가능하다.

단지는 BRT 정류장과 상업시설까지 걸어서 15~20분 걸릴 전망이다. 하지만 세종시에는 차량 이용자가 많고 상가 공실이 높은 편이기 때문에 BRT·상업시설과의 거리가 큰 약점이 되지는 않을 것이란 게 업체 측 설명이다.

분양 관계자는 "세종시 사람들은 BRT를 이용하지만 아직 교통여건이 불편해 가구당 차량 2대를 가진 경우가 많다"며 "기존 세종시에 있는 상가들도 이미 높은 공실률을 겪고 있기 때문에 상가, BRT가 얼마나 멀고 가깝냐가 두 단지에 차별성을 주는 주요 포인트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시에서 대학 캠퍼스가 들어설 부지 [사진=김성수 기자]

또한 두 단지 모두 세종시 4-2생활권에 생기는 다양한 인프라를 누릴 수 있다. 세종시 4-2생활권에는 대학교용지 4-2 및 4-7블록에 약 60만㎡(약 18만1500평) 규모의 세종시 공동캠퍼스가 생긴다. 현재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과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충북대학교, 충남대학교, 트리니티칼리지(아일랜드), 브루노국립예술대(체코)를 유치했다.

또한 세종시 4-2생활권 첨단산업·복합용지에는 약 75만1533㎡(약 22만7338평)의 산학연 클러스터가 생긴다. 작년 6월까지 54개 기업체가 입주 계약을 맺었고 추가적으로 100곳을 더 유치할 예정이다. 내년까지 생명공학기술(BT), 정보통신(IT) 지식기반산업 분야의 약 6800명 근로자가 종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지 근처에 있는 교육시설로는 금남초등학교, 보람중학교(작년 자립형사립고등학교 1명, 예술고등학교 및 체육고등학교 2명 진학), 소담중학교, 글벗중학교, 소담고등학교, 보람고등학교, 세종예술고등학교가 있다.

세종 자이e편한세상 견본주택과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 견본주택은 세종고속버스시외터미널 인근 세종시 대평동 264-1번지에 있다.

입주 시기는 세종 자이e편한세상이 오는 2021년 10월, 세종 어울림 파밀리에 센트럴은 오는 2021년 11월 예정이다.

공사 현장 부지 [사진=케미트리]

 

sungso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