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지완 기자 = 이번주 달러/원 환율은 시장에 한껏 긴장감을 줬다. 외환시장 참여자들은 외환위기, 금융위기가 재현되는 것 같다는 말로 시장 분위기를 전했다. 그럼 다음주 달러/원 환율은 어떤 흐름일까. 미중 무역협상이 관건이다. 시장에선 "'모' 아니면 '도'"라는 이들도 있다.
지난 월요일(7일) 1169.80원으로 시작한 달러/원 환율은 금요일 오후 한때 1182.90원까지 오른 뒤, 1177.00원에 마감했다. 불과 3주만에 달러/원 환율은 50원이나 튀어올랐고, 금융기관의 달러/원 환율 전망치 상단을 모두 넘었다. '환율 상승에는 캡이 없다'는 진리를 다시 한번 깨닫는 주간이었다는 얘기도 들린다.
도장 찍을 일만 남았다던 미중 무역협상이 경로를 크게 이탈해, 파열음을 내는 파국열차가 돼 버렸다. 문제는 미중 무역협상이 현재진행형이라는 것이고, 더 큰 문제는 트럼프와 시진핑간 대치에 정작 피멍은 한국이 드는 상황이다.
악수하기 위해 다가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로이터 뉴스핌] |
양측이 설정했던 '10일 13시 01분'의 데드라인은 이미 지나갔고, 예정대로 관세율은 높아졌다. 이 시간 이후 중국을 떠나간 항공기와 배에 있는 상품에 현행 10%에서 25%로 높아진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중국에서 미국까지 비행기는 10시간, 배로는 3~4주가 걸린다. 이를 이유로 한쪽에선 '협상 시간을 벌었다'라고 말하고, 또 다른 쪽에선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상반된 관점에서 바라보기도 한다.
김환 NH투자증권 과장은 "단기적으로 무역갈등 불확실성이 다시 높아졌다"며 "글로벌 교역량 감소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가 부각되며 엔화 및 달러화 안전자사 통화 수요가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무역갈등 심화 우려로 원화 추가 약세가 가능하다"며 "한국 경기 회복 모멘텀 부재 등으로 대외 이벤트 발생시 원화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민경원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는 "무역전쟁이 재개될 경우 한국은 대만과 함께 위험반열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며 "원화자산에 대한 외국인 투자심리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우려했다.
이영화 교보증권 이코노미스트도 "미중 무역협상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나오면, 2분기 지표 반등이 더 불명확해지면서 원화약세가 더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미중무역 협상이 '결렬'이 아니라 '연장'이라면 얘기가 달라질 수 있다.
김유미 키움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분쟁이 이번 주말 극단으로 치닫지만 않는다면, 추가상승보다는 하락전환 가능성이 있다"며 "극단적인 가정하지 않는다면 현재 수준에서 추가상승은 제한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라고 전했다. 다만 "우리는 무역협상 결렬보다는 분쟁이 길어지는 쪽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영화 이코노미스트는 "미중 무역협상에서 극단적인 결과가 안 나온다면 1190원이 상단"이라면서 "1200원은 안갈 것으로 본다"고 힘주어 말했다.
일각에선 유로존이 달러강세를 짓누를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도 있다.
오는 14일 유로존 3월 산업생산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이미 발표된 독일의 3월 산업생산이 전월비 0.5% 증가로 플러스 전환됐다. 기존 전망치는 -0.5%, 2월 발표치는 0.4%였다.
김환 과장은 "현재 컨센서스(예상치)가 집계되지는 않았지만 연초 이후 전월비 감소를 지속했던 유로존의 산업생산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유로존 경기 반등은 점차 달러화 강세 압력을 진정시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swiss2pa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