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비핵화 약속’에 발목잡힌 北, 폼페이오 흔들기 나서
기존 비핵화 협상 틀을 뒤집고 새판짜기 나서기 위한 포석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북한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비핵화 협상에서 배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이 ‘폼페이오 찍어내기’에 나선 것은 다소 의외다. 폼페이오 장관은 협상과 대화를 중시해온 대북 비둘기파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베트남 하노이 2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빅딜론’을 앞세워 협상을 뒤흔든 장본인은 폼페이오 장관이 아니라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다.
볼턴은 백악관은 물론 미국내 보수 그룹에서도 대표적인 대북 매파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 ‘빅딜론’을 내세우고 3차 북미정상회담도 서두르지 않겠다는 입장으로 선회한 것도 볼턴 보좌관의 입김 때문이란 게 워싱턴의 일치된 견해다.
이에 비해 폼페이오 장관은 백악관의 강경한 대북 기조에 동조하면서도 대북 유화 제스처도 꾸준히 병행해왔다. 그는 지난 15일 3차 북미정상회담을 언급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감사를 표시하며 조기 개최를 희망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또 최근 의회 정문회에서는 대북 제재 해제에 약간의 여지가 있다고도 언급했다.
그런데도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8일 권정근 북한 외무성 미국담당국장을 인용해 “앞으로 미국과의 대화가 재개되는 경우에도 나는 폼페이오가 아닌 우리와의 의사소통이 보다 원만하고 원숙한 인물이 우리의 대화상대로 나서기 바랄 뿐"이라고 보도했다.
권 국장은 이어 "하노이 수뇌회담의 교훈에 비추어보아도 일이 될 만 하다가도 폼페이오만 끼어들면 일이 꼬이고 결과물이 날아나곤 하는데 앞으로도 내가 우려하는 것은 폼페이오가 회담에 관여하면 또 판이 지저분해지고 일이 꼬일 수 있다"고 말했다.
평양이 문제 삼는 것은 폼페이오 장관의 협상의 스타일이 아닐 수 있다. 기존의 비핵화 협상의 틀을 뒤집고 새판을 짜려는 포석으로 읽힌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직접 만나 비핵화 약속을 받아냈고, 이를 토대로 북미 간 비핵화 협상도 급물살을 탔다. 그 연장선 상에서 북미정상회담도 두차례나 개최됐다. 그러나 현재 북미 간 협상은 그 출발점이 됐던 ‘비핵화 약속’의 문턱을 넘지 못해 중단된 상태다.
악수하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사진=로이터 뉴스핌] |
북한으로선 ‘김정은의 비핵화 약속’에 발목이 잡힌 형국이 됐다. 미국은 ‘김 위원장의 약속’을 내세워 북한에 완전한 비핵화 이행을 계속 압박하고 있다. 그 산 증인이 바로 폼페이오 장관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최근까지 기회가 있을 때마다 “김 위원장이 직접 내게 비핵화를 6차례나 약속했다”고 강조해왔다.
결국 북한은 ‘최고 지도자 동지’ 인 김 위원장의 비핵화 약속이란 족쇄를 풀기 위해 폼페이오 장관을 흔들고 있는 셈이다. 평양 당국은 적어도 ‘김정은의 약속’을 들먹이는 폼페이오 장관과 트럼프 정부에 경고를 주려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 같다.
문제는 북한의 이같은 움직임이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상대로 추진했던 기존의 비핵화 로드맵을 무효화하고 새로운 협상틀과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정지 작업의 성격이 짙다는 점이다. 김 위원장이 연일 군 부대를 현장 지도하고 있고, 외교 무대에서 미국을 견제해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도 앞두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지난해 평창 동계 올림픽을 계기로 짜여졌던 비핵화 로드맵에 균열이 오고 있는 징후들이다. 한반도 주변 정세도 다시 안개 속으로 빠져들 수 있다. 한국 정부로선 북미를 기존의 협상 태이블로 복귀시키는 노력이 절실하다. 그러나 향후 전개될 한반도 상화에 맞게 새로운 대비책을 고민하고 준비할 시기도 놓쳐선 안된다. 한반도 주변 조류가 다시 바뀌고 있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