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증권·금융 주식

[마감] 코스피,14거래일만에 상승행진 스톱..아시아나도 하락

기사입력 : 2019년04월17일 16:18

최종수정 : 2019년04월17일 17:41

퀄컴·애플 소송 합의 여파 LG전자 매물 출회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보 배당주 ‘급등’

[서울=뉴스핌] 김유림 기자 = 코스피 지수는 외국인 순매수에도 불구하고 기관과 개인의 매도공세로 14거래일만에 하락했다. 매각 기대감으로 급등했던 아시아나 항공은 8거래일만에 하락반전했다. 또한 퀄컴과 애플의 소송 합의 이후 스마트폰 관련주의 매물 출회도 연속 상승 행진에 제동을 걸었다.

[사진=키움증권 HTS]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47포인트(0.12%) 내린 2245.89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별로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38억원, 137억원 사들였다. 반면 개인은 436억원 순매도하며 하락세를 이끌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시장은 전날 미국 증시가 강보합으로 마감한 데 힘입어 상승 출발했다”며 “그러나 퀄컴과 애플의 소송 합의 이후 LG전자를 비롯한 일부 종목에 대한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하는 등 보합권 혼조 양상을 보였다. 게다가 중국 증시가 양호한 경제지표 결과에도 불구 보합권 등락에 그친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16일(현지시간) 애플과 퀄컴이 2017년부터 시작한 모든 법정 다툼을 끝내고 특허와 칩셋 공급 조건에 합의했다. 300억 달러에 달하는 양사의 소송전은 막을 내리게 됐다. 이에 따라 퀄컴 5G 모뎀칩이 애플에 공급된다면 신형 5G 아이폰의 출시가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애플의 경쟁사로 꼽히는 국내 스마트폰 제조사 LG전자(-2.57%)와 삼성전자(-0.42%)가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특히 이날 LG전자는 기관 순매도 종목 1위, 외국인 순매도 7위를 기록했다.

매각기대감으로 3510원에서 8450원까지 급등했던 아시아나항공도 이날 전날대비 1330원(15.745) 내린 7120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보자로 오른 기업의 배당주는 일제히 상한가를 기록했다. 한화우(29.93%), SK네트웍스우(29.75%), 한화투자증권우(29.90%), SK디스커버리우(30.00%), 한화케미칼우(29.96%), CJ씨푸트1우(29.79%), 대상홀딩스우(30.00%), SK케미칼우(29.98%) 등이 급등했다.

코스닥은 전날 대비 1.87포인트(0.24%) 오른 766.89에 장을 마쳤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379억원, 86억원 순매수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반면 외국인은 413억원 팔았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통신서비스(2.77%), 종이/목재(1.96%), 섬유/의류(1.78%), 인터넷(1.71%), 출판/매체복제(1.35%) 등이 상승세를 나타냈다. 반면 금융(-0.93%), 제약(-0.71%), 운송장비/부품(-0.49%), 방송서비스(-0.51%) 등은 하락세로 마쳤다.

시가총액 상위권을 살펴보면 셀트리온헬스케어(0.14%), 포스코케미칼(0.81%), 펄어비스(2.07%), SK머티리얼즈(0.64%), 휴젤(1.98%) 등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CJ ENM(-0.72%), 바이로메드(-1.37%), 메디톡스(-1.85%), 에이치엘비(-1.85%), 셀트리온제약(-0.69%), 제넥신(-1.74%) 등이 하락했다.

uri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