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뉴스핌] 남경문·남동현 기자 = 부산 시민공원 주변 재정비촉진사업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이 부산시의 공공성 확보 방침에 따라 재개발이 지연되자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부산 시민공원주변 재정비 촉진사업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은 3일 오후 2시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거돈 부산시장의 일관성 없는 갑질행정, 오락가락 행정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조합 측은 "부산시는 지난 2008년 부산시민공원 일대를 재정비촉진구역으로 묶으면서 지역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상업지역 65층과 주거지역 60층으로 높여 짓도록 했다"면서 "하지만 오거돈 부산시장 취임이후 지난해부터 경관 심의를 전면 보류시키고 있다.시는 지난해 12월 사회적 합의기구 성격의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상업지역 45층 이하로 주거지역은 35층으로 줄이는 방안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성토했다.
![]() |
부산 시민공원주변 재정비 촉진사업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이 3일 오후 2시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부산시의 재정비 촉진계획 변경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남동현 기자]2019.4.3. |
그러면서 "부산시민공원 주변 재정비촉진구역은 지난 2001년 1월 부산광역시 도시재개발기본계획으로 정비예정구역으로 공고된 이후 19년이 지나도록 건축 제한, 심의 지연 등에 발목이 잡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해 슬럼화가 가속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지역주민과 뜻을 같이하는 부산시민 약 12000여명의 탄원서 제출에도 불구하고 재정비촉진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울 정도의 치명적인 내용으로 촉진계획 변경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일관성과 원칙없는 부산시의 행정으로 스스로 행정 불신을 자초하면서 큰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고 맞섰다.
조합 측은 "아무리 시민공원 개장이라는 당면 현안 해결되었다고 10년도 더 지난 지금에 와서 보호해야 할 사유재산권을 침해하며 그때와는 환경이 달라졌다는 행정 편의적 논리로 일관성과 신뢰성을 훼손하는 촉진계획 변경은 어떠한 명분으로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오는 2020년 4월까지 착공에 들어가야 한다"고 설명한 뒤 "시공사와 계약하면서 착공일이 지연되면 다시 공사비를 산정하게 되어 있다. 1조원 공사인 점을 고려해 물가상승률 2%를 감안하면 연간 200억원을 물어줘야 한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부산시 관계자는 "사회적인 변화라든가 그런 부문이 일부 있다. 경관위원회에서도 심의하면서 문제가 있으니 그런 부문에 대해 충분히 검토해보라는 것"이라며 "공공성 확보를 위한 제3자적인 관점에서 시민자문위원회가 검토를 하라는 내용이었기 때문에 시민자문위원회의 결정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민자문위원회의 결정이 나오면 조합 측과 수용이 가능한지 여부와 문제점 등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는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news2349@newspim.com